식재료 아카이브

i1.JPG
채소류 오이

오이는 95%가 수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시원한 맛이 특징인 식재료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생채나 김치, 장아찌 등으로 많이 섭취하며, 서양에서는 주로 샐러드에 들어가거나 피클로 활용된다.

오이란?

오이 재배의 역사는 3000년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원산지는 인도의 서북부 히말라야 지방과 네팔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1500년 전 삼국시대에 중국으로부터 도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각 지역에 전파된 오이는 그 지역의 기후풍토에 적응하여 서로 다른 생태형으로 분화됨. 우리가 먹는 오이의 품종은 크게 취청과 다다기로 구분된다. 취청 중에 가시가 도드라지게 있으면 가시오이, 없으면 청장오이라고 부르며, 다다기 중에서 흰색이 많으면 백다다기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취청 계열은 수분이 많고 생으로 먹으면 시원한 맛이 좋으며, 바로 먹을 수 있는 생채나 무침으로 이용한다. 식이섬유가 풍부해 소금에 절여도 물러지지 않고, 볶고 튀기는 요리에 알맞다. 다다기는 대중적으로 가장 많이 소비되는 품종으로, 단맛이 있고 향이 짙은 편이다. 부드러운 식감이 특징이며, 생채나 겉절이, 샐러드, 오이소박이용 등으로 사용된다. 저장성이 뛰어나 오이지나 오이피클 등에도 많이 활용된다. 이 외에도 조선오이 계통의 노각이 있는데, 중량이 700g 이상 될 때까지 키운 뒤 수확하는 오이로, 수분이 적고 조직이 부드러운 것이 특징이며 아삭한 식감이 도드라져 김치나 생채 무침, 장아찌 등으로 많이 활용된다.

외국어 표기

cucumber(영어)

학명 Cucumis sativus L.
분류 채소 > 과채류
원산지 인도, 네팔 히말라야 부근
유사재료 참외오이(오이와 비슷하나 열매가 통통하고 껍질이 누르스름함)
정의 박목 박과의 쌍떡잎식물
주요 생산지 - 충남 천안
- 경북 상주
- 충북 진천
특징 특유의 향긋한 냄새와 아삭한 식감으로 다양한 요리에 쓰이고 있다. 겉에 오돌토돌한 돌기가 있으며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녹색 빛을 띤다.
종류
(구분, 품종)
가시오이, 청장오이, 백다다기, 청다다기, 노각
효능 풍부한 수분과 칼륨이 갈증 해소를 돕고 체내 노폐물을 배출한다. 비타민 C가 함유되어 있어 피부 건강과 피로 회복에 좋다.
열량 100g당 11kcal
이용 열매를 식용하며, 미용재료, 약재로 사용
음식궁합 배와 함께 섭취하면 좋다. 배의 열을 식히는 효과와 오이의 이뇨작용이 서로 도움을 준다.
활용 각종 샐러드의 재료, 볶음, 나물로 활용한다.
고르는 법 꼭지가 싱싱하고 과육이 단단하며 너무 굵지 않고 모양이 일정한 것이 좋다.
손질법 생으로 먹을 때는 굵은소금으로 겉면을 문질러 씻은 뒤 물에 헹궈주면 쓴맛이 없어진다. 꼭지 부분은 쓴맛이 강하고, 농약이 끝부분에 몰려있을 수 있으므로 제거한다.
보관법 오이를 씻은 후 물기를 제거하고 하나씩 키친타월이나 랩으로 싸서 냉장고에 세워서 보관한다.

 

유래

재배 역사는 3000년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1500년 전 삼국시대에 중국으로부터 도입된 것으로 추정됨
지중해 연안을 거쳐 유럽과 미국으로, 또는 중앙아시아와 실크로드를 거쳐 중국 북부로 전파된 것으로 보임
라틴어의 오이는 식기(가운데가 빈 그릇)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오이의 과실을 잘라 두 조각 내면 그 모양이 식기와 비슷해서 이로부터 유래

 

생육환경

35℃ 이상의 고온과 5℃ 이하의 저온에서는 생육이 중지, 생육 적온은 주간 22~28℃이며 밤과 낮의 온도 차는 7~10℃ 내외가 적당하다
비교적 약한 광에서도 생육은 잘 되나, 일조 부족 시 품질과 수량에 큰 차이가 발생
습도에 민감하여 공중 건조 시 생육 및 과실크기가 현저히 억제되나, 습도가 너무 높으면 노균병 등 각종 병해 및 증산량 감소에 따른 생리장해가 쉽게 발생
알맞은 습도는 주간에는 70~80%, 야간에는 90% 정도로 다른 과채류에 비하여 사앙히 높은 편이다
천근성을 띄는 오이 뿌리가 깊고 넓게 자랄 수 있도록 토양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
뿌리가 얕게 분포하기 때문에 산소 요구량이 크며, 건조나 다습에 약한 특성이 있음

※ 출처 : 농촌진흥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생육 특성

- 국내 주분포지

- 충남 천안, 충북 진천, 경북 상주, 강원 춘천, 경기 안성 등 일원

- 특성

- 줄기는 능선과 더불어 굵은 털이 있고 덩굴손으로 감으면서 다른 물체에 붙어서 길게 자람

-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손바닥 모양으로 얕게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거침

- 꽃은 단성화이며, 5~6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지름 3cm 내외이며 주름이 생김

 

모양 및 특징

식물 전체에 잔털이 나 있고, 잎은 호생하고 모가 난 잎자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3~5개의 결각이 있고 암꽃과 수꽃이 한 그루에 따로 핌
과실은 자방과 주변의 화탁이 유합되어 발달한 과실로 기다란 원통형이 대부분임
재배형태에 따라 분류가 가능함
하우스오이는 촉성용 오이라고하며 녹색계통과 담록색계통이 있음
오이의 품종은 크게 취청과 다다기로 구분되며 취청 중에 가시가 도드라지게 있으면 가시오이, 없으면 청장오이라고 부르며, 다다기 중에서 흰색이 많으면 백다다기라고 함
이 외에도 조선오이 계통의 노각이 있는데, 중량이 700g 이상 될 때까지 키운 뒤 수확하는 오이로, 수분이 적고 조직이 부드러운 것이 특징임

※ 출처 : 경기도농업기술원, 문화원형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농촌진흥청, 우수식재료디렉토리

 

재배형태

10월~익년 1월에 하우스 안에서 파종하여 1~4월에 수확하는 촉성재배, 1·2월 상순에 파종하여 3~6월에 수확하는 반촉성재배, 2·3월에 씨를 뿌려 5~7월에 수확하는 조숙재배, 4·5월에 노지에 직파하여 6~8월에 수확하는 여름재배, 7·8월에 씨를 뿌려 9·10월에 수확하는 억제제배가 있음

 

다양한 오이의 종류

구분 가시오이 취청오이 다다기오이
사진
특징 - 다다기, 취청오이와 비슷한 형태이나 좀 더 큼
- 여름에 경남 지역에서 주로 많이 재배
- 과표면에 주름이 많고 요철이 심하며, 흰가시(침)가 많음
- 과장 : 30~35cm 정도로 장과
- 껍질이 얇고 길쭉하고 오돌토돌한 돌기가 많이 돋아나 있음
- 더위에 견디는 힘은 강하나, 저온에는 취약함
- 날것으로 먹거나 무침, 생채, 샐러드 등으로 섭취함
- 가시오이와 백다다기 오이의 혼합형, 청오이라고도 함
- 남부지방 겨울철에 주로 재배
- 과침(가시)이 흑색인 것이 특징이며, 전체적으로 청록색을 띠고, 쉽게 무르는 편이다.
- 과피에 돋아난 혹과 침이 큼
- 과장 : 25~30cm 정도
- 저온에는 강한 반면, 여름철 고온기 재배시에는 생육이 좋지 않음
- 청오이라고도 하며, 색이 짙고 윤기가 나며 매끈함
- 오이소박이나 절임으로 섭취함
- 식이섬유가 단단해 소금에 절여도 물러지지 않고, 볶고 튀기는 요리에 알맞음
- 주로 봄에 중부지방에서 주로 많이 재배
- 고온에 견디는 힘이 강하여, 봄·가을 재배에 적합함
- 줄기부분은 녹색을 띄나, 중간 부분부터 엷은 녹색 또는 반백색을 나타냄
- 저온에 약하나 고온에 강함
- 암꽃의 착생이 왕성하게 이루어지고, 마디성이 높은 품종이 많음
- 과장 : 20~25cm 정도
- 날 것으로 먹거나 샐러드, 절임 등으로 섭취함
구분 노각오이

조선오이
(백오이)

사진
특징 - 조선오이 계통의 오이
- 중량이 700g이상 될 때까지 키운 뒤 수확
- 수분이 적어 육질이 부드럽고 단단함
- 아삭아삭한 맛이 좋아 여름철 밑반찬으로 오이김치, 생채무침이나 장아찌를 해먹으면 좋음
- 우리나라 토종오이
- 일반오이보다 굵고 짧으며 껍질이 두꺼움
- 육질이 단단하고 쉽게 무르지 않아 아삭아삭한 맛이 좋음
- 주로 오이지를 담그는데 사용되지만 오이물김치로 담가도 좋음

※ 출처 : 농촌진흥청,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쿡쿡TV, 위키백과, 농촌진흥청

 

국내 오이 육성 주요 품종

품종명 사진 주요특성
겨울살이청장 - 과실의 비대가 빠르고 조기 수량이 많음
- 과색이 진하고 과형이 좋아 상품성이 우수함
- 고온장실에서 육묘하면 절성이 낮아짐
겨울나기청장 - 저온신장성이 좋으며 잎이 크지 않음
- 과형이 반듯하고 과피에 윤기가 있어 상품성이 있음
- 고온기에 육묘하면 암꽃 착생이 적어짐
- 흑종호박에 접목재배를 하면 저온기의 생육이 좋아짐
가락만춘 - 잎이 작은 편으로 초세가 강하고 마디성이 높게 안정됨
- 과비대력이 좋고 연속 착과가 가능하며 상과수량이 많은 조기 다수성 품종임
- 백침으로 침이 적고 과색이 진하며 광택이 우수하여 상품성이 매우 높음
장죽청장 - 초세는 중정도이며 저온에서도 과의 비대 및 신장이 양호한 품종임
- 과형은 원통형으로 우수하며, 초기 및 후기 수량이 많아 다수확 할 수 있음
- 흑침이 단단해서 원거리 수송에 유리함
미리내청장 - 하우스 반촉성재배용 품종으로 초세가 중간 정도로 잎이 큰 편임
- 과는 백침이 많고 혹의 크기가 작으며 과신장이 빠름
- 내한성 및 내병성이 강한 편이고 내서성은 무난함
은성백다다기 - 반백색이 선명고 과형이 H형임
- 과실의 비대가 빠르고 조기 수량이 많음
- 육질이 아삭아삭하고 맛이 좋음
여름삼척 - 늦봄부터 여름재배용 오이로 녹록색 작과형임
- 초세가 강건하고 주지 6~8절에서 수확이 가능함
- 과에 백분이 있어 신선감이 오래 유지되며 시장성이 좋음
장형흑진주 - 다수확 품종이므로 특히 퇴비를 많이 주어야함
- 마디성이 떨어질 경우에는 곁가지에서 수확하는 것이 좋음
- 양분과 수분이 부족하면 불량과가 생길수 있음

※ 출처 : 농식품백과사전,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 품종
   - 화남형 : 주지의 다다기성이 크고 저온에도 잘 자라고 약한 광조건 하에서도 잘 견디며 반촉성, 촉성재배에 이용됨
   - 화북형 : 측지의 발생이 좋으며, 또한 측지 암꽃발육이 매우 좋고, 내서성과 내병성이 강하여 여름과 가을재배에 적당함
   - 유럽형 : 주로 온실용, 슬라이스형으로 절임용도로 많이 사용되며 내서성이 매우 약하나 저온신장성이 강함

- 기후조건과 재배지역에 따라 화남형(남지형), 화북형(북지형), 유럽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국내에서 재배되는 품종으로는 가시(여름철재배)·취청(겨울철재배)·다다기(봄·가을재배)가 대표적임

※ 출처 : 우수식재료디렉토리

품목별 도매가격

이용안내

도매시장 중도매인 상회에서 소상인 및 실수요자에게 판매하는 가격입니다.
● 농산물 특성상 크기와 색상 등이 다양하고 저장기간, 기후변화에 따라 동일 등급에도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평년은 5년간(금년 제외) 해당일에 대한 최고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3년 평균값.
● 조사단위가 중량이 아닌 품목(포기, 개, 마리 등)은 kg 단위 환산이 제공되지 않음.
● 본 가격자료는 전국 주요 시장에서 조사된 도?소매 평균가격으로 개별 판매처 및 산지, 브랜드, 규격 등에 따라 가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실거래에 있어서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2018.1.8일 부터 깐마늘(국산)은 대서종과 남도종 구분조사·제공합니다. (이전 깐마늘가격은 품종 혼합가격임)2020.6.23일 부터 난지형 피마늘은 대서종과 남도종 구분조사·제공합니다. (이전 난지형 피마늘 가격은 품종 혼합가격임)
(중도매인 판매가격 - 기간별) 채소류 / 오이 / 가시계통,   등급 : 상품,   단위 : 10kg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4 2023 2022 2021
1월 57,114 59,550 41,675 45,225
2월 64,579 59,375 41,556 40,917
3월 49,475 40,643 35,090 31,500
4월 27,412 28,375 23,536 25,273
5월 - 20,525 17,274 23,737
6월 - 20,710 22,288 19,318
7월 - 30,290 43,129 19,614
8월 - 31,632 33,445 24,762
9월 - 32,658 24,138 29,447
10월 - 27,737 23,197 35,368
11월 - 29,477 19,395 37,727
12월 - 35,342 39,702 38,182
연평균 50,500 34,633 30,271 30,722
(중도매인 판매가격 - 기간별) 채소류 / 오이 / 다다기계통,   등급 : 상품,   단위 : 100개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4 2023 2022 2021
1월 117,266 103,410 91,367 75,148
2월 123,334 99,928 71,930 72,163
3월 93,279 71,502 69,910 58,211
4월 60,744 50,803 44,770 37,552
5월 - 40,674 36,671 40,523
6월 - 46,639 43,770 36,164
7월 - 68,992 82,197 47,035
8월 - 75,711 90,008 67,075
9월 - 81,249 77,044 63,449
10월 - 64,837 56,545 67,409
11월 - 75,253 48,580 81,103
12월 - 90,492 79,675 83,548
연평균 100,275 72,301 66,013 60,589
(중도매인 판매가격 - 기간별) 채소류 / 오이 / 취청,   등급 : 상품,   단위 : 50개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4 2023 2022 2021
1월 60,135 53,502 44,435 39,158
2월 67,839 56,158 39,243 42,956
3월 57,112 48,326 42,135 39,252
4월 44,482 36,423 29,408 30,179
5월 - 28,415 21,835 30,354
6월 - 21,394 23,752 24,986
7월 - 34,583 52,503 23,633
8월 - 35,248 43,076 24,970
9월 - 44,282 36,253 32,418
10월 - 34,804 24,861 40,623
11월 - 52,230 22,345 51,344
12월 - 43,581 43,163 38,367
연평균 57,825 40,750 35,271 34,742

품목별 소매가격

이용안내

대형마트, 전통시장 등에서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가격입니다.
● 농산물 특성상 크기와 색상 등이 다양하고 저장기간, 기후변화에 따라 동일 등급에도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평년은 5년간(금년 제외) 해당일에 대한 최고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3년 평균값.
● 경동, 영등포, 부전, 동구, 현대, 양동, 역전, 지동, 중앙, 육거리, 남부, 상남, 신정, 동문시장은 전통시장임.
● 조사단위가 중량이 아닌 품목(포기, 개, 마리 등)은 kg 단위 환산이 제공되지 않음.
● 본 가격자료는 전국 주요 시장에서 조사된 도?소매 평균가격으로 개별 판매처 및 산지, 브랜드, 규격 등에 따라 가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실거래에 있어서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22.4.4부터 축산물 소매가격은 축산물품질평가원에서 조회 가능합니다.
(소매가격 - 기간별) 채소류 / 오이 / 가시계통,   등급 : 상품,   단위 : 10개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4 2023 2022 2021
1월 19,179 19,265 14,499 15,252
2월 22,477 20,580 14,956 16,213
3월 20,203 17,378 13,963 11,248
4월 14,084 13,933 12,320 9,237
5월 - 10,327 8,681 7,696
6월 - 10,511 9,122 8,303
7월 - 11,687 15,894 8,164
8월 - 12,297 15,178 9,352
9월 - 13,157 13,415 11,432
10월 - 13,447 11,430 11,156
11월 - 12,396 9,468 14,447
12월 - 14,408 13,137 14,350
연평균 19,135 14,090 12,655 11,351
(소매가격 - 기간별) 채소류 / 오이 / 다다기계통,   등급 : 상품,   단위 : 10개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4 2023 2022 2021
1월 14,686 13,208 12,015 11,142
2월 15,962 14,098 11,386 11,827
3월 12,376 11,767 9,612 9,436
4월 8,987 8,826 8,366 7,017
5월 - 8,129 6,487 6,296
6월 - 7,897 6,699 6,572
7월 - 9,888 11,223 7,013
8월 - 11,067 13,135 8,426
9월 - 11,872 11,760 9,869
10월 - 11,145 10,287 9,163
11월 - 10,848 7,652 12,143
12월 - 11,589 10,608 11,856
연평균 13,162 10,850 9,916 9,205
(소매가격 - 기간별) 채소류 / 오이 / 취청,   등급 : 상품,   단위 : 10개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4 2023 2022 2021
1월 18,656 16,970 12,992 11,951
2월 20,027 17,626 13,643 14,537
3월 19,350 16,255 12,723 12,398
4월 15,968 14,530 12,127 10,332
5월 - 12,175 8,997 8,587
6월 - 10,930 9,775 9,358
7월 - 13,457 16,447 9,119
8월 - 13,493 15,888 9,413
9월 - 14,829 13,663 11,367
10월 - 13,596 11,903 11,168
11월 - 14,720 9,520 15,868
12월 - 14,622 13,456 13,810
연평균 18,582 14,427 12,594 11,488

일일동향

(중도매거래) 채소류/ 오이/ 다다기계통, 2024-04-24, 부산지역

작성자 : 김윤태 조사원
    ● 부산, 경북 상주 지역에서 주 출하됨
    ● 기온상승 등으로 소비가 활발한 가운데 비 수확주기로 출하량이 감소하여 오름세에 거래됨
    ● 도매가격은 100개 기준 약 4,000원 오른 상품 51,000원, 중품 46,000원에 거래됨
    ● 향후에도 출하량 감소로 강보합세에 거래될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오이/ 가시계통, 2024-04-23, 부산지역

작성자 : 김윤태 조사원
    ● 부산, 경남 창녕, 김해, 밀양, 함안, 경북 영천 지역에서 주 출하됨
    ● 기온상승으로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나, 생육활발과 출하지역의 확대 등으로 많은 물량이 출하되고 있어 내림세에 거래됨 
    ● 도매가격은 10kg 기준 약 1,000~2,000원 오른 상품 18,000원, 중품 14,000원에 거래됨
    ● 향후에도 출하량과 시중물량이 풍부하여 약보합세에 거래될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오이/ 가시계통, 2024-04-22, 대구지역

작성자 : 윤현우 조사원
    ● 경북 경산, 상주, 영천, 경남 김해, 창녕, 밀양지역에서 주로 출하됨                
    ● 주말 대기물량 반입으로 시장내 반입량은 증가하나 최근 채소가격 강세로 거래는 부진하여 약보합세
    ● 도매가격은 10kg 기준 전주대비 1,000원 내린 상품 21,000원 중품은 17,000원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산지 기온상승에 따른 생산량 증가로 약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오이/ 취청, 2024-04-22, 대전지역

작성자 : 황유진 조사원
    ● 논산, 순천에서 반입됨
    ● 겨울 오이 끝나고 여름청오이 출하되는 교체 시기로 기존 물량 상품성 하락으로 가격 하락세
    ● 도매가격은 50개 기준 상품이 전일 대비 6,000원 하락한 26,000원, 중품은 3,500원 하락한 19,000원 선에서 거래됨
    ● 4월 중순 이후 생육 회복 및 출하량 증가에 따라 가격 약하락세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오이/ 다다기계통, 2024-04-18, 부산지역

작성자 : 김윤태 조사원
    ● 부산, 경북 상주 지역에서 주 출하됨
    ● 기온상승 등으로 소비가 증가하고 있고, 비 수확주기로 출하량은 감소하여 오름세에 거래됨
    ● 도매가격은 100개 기준 약 4,000원 오른 상품 48,000원, 중품 43,000원에 거래됨
    ● 향후에도 출하량 및 시중물량 부족으로 강보합세에 거래될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오이/ 다다기계통, 2024-04-18, 서울지역

작성자 : 강지우 조사원
    ● 주로 경남 밀양, 창원, 충남 논산, 공주 등의 지역에서 반입됨
    ● 전날 대비 반입량이 감소하고, 최근 큰 일교차로 인해 작황이 부진하여 가격이 오름세를 보임
    ● 도매가격은 100개 기준 상품 47,500원, 중품 35,500원에 거래됨
    ● 향후 좋은 기상여건으로 인한 생산량 및 반입량 증가, 따뜻한 날씨로 인한 수요 증가가 예상되어 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오이/ 취청, 2024-04-17, 대전지역

작성자 : 황유진 조사원
    ● 주로 충남 논산, 전남 순천 등에서 반입됨
    ● 봄 작기 물량 출하가 증가하면서 시장 내 거래가 활발하고 반입량이 증가해 가격이 내림세로 거래됨
    ● 도매가격은 50개 기준 전일 대비 상품이 2,500원이 감소한 34,700원, 중품이 800원이 감소한 24,2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일기 호전에 따른 반입량 증가가 예상되어 약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오이/ 다다기계통, 2024-04-16, 부산지역

작성자 : 김윤태 조사원
    ● 부산, 경남 함안, 창원 지역에서 주 출하됨
    ● 전일 우천으로 시중재고가 남아 있은 가운데 기온상승으로 출하량은 풍부하여 연일 내림세에 거래됨
    ● 도매가격은 100개 기준 약 4,000원 내린 상품 46,000원, 중품 41,000원에 거래됨
    ● 향후에도 출하량이 풍부하여 약보합세에 거래될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오이/ 다다기계통, 2024-04-12, 대전지역

작성자 : 황유진 조사원
    ● 주로 전북 김제, 충남 논산, 공주, 세종 등에서 반입됨
    ● 봄 작기 물량이 출하되고, 기상 회복 등 생육 환경이 개선되어 생산량이 증가해 가격이 내림세로 거래됨
    ● 도매가격은 100개 기준 전일 대비 상품이 7,200원이 감소한 58,500원, 중품이 11,300원이 감소한 38,7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일기 호전으로 산지 출하량 증가가 예상되어 약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오이/ 취청, 2024-04-11, 광주지역

작성자 : 최지혜 조사원
    ● 주로 전남 순천, 전북 남원 등에서 반입됨
    ● 순천의 낙안 오이가 높은 가격을 형성하며 오름세에 거래됨
    ● 도매가격은 50개 기준 5,300원 오른 상품 58,300원, 3,600원 오른 중품이 45,6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높은 가격을 유지하여 가격은 강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오이/ 다다기계통, 2024-04-09, 서울지역

작성자 : 강지우 조사원
    ● 경남 창녕, 창원, 전남 구례, 고흥 등지에서 출하됨
    ● 일기호전에 따른 생육상황이 좋아지면서 반입량 증가로 소폭 내림에 거래됨
    ● 도매가격 100개 기준 상품 59,000원 중품 46,0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일기호전에 따른 반입량 증가로 약보합세를 전망함

(중도매거래) 채소류/ 오이/ 가시계통, 2024-04-08, 대구지역

작성자 : 윤현우 조사원
    ● 경북 경산, 상주, 영천, 경남 김해, 창녕, 밀양지역에서 주로 출하됨                
    ● 주말 대기물량 반입으로 시장내 반입량은 증가하나, 주중 선거일로 소비는 다소 한산하여 약보합세
    ● 도매가격은 10kg 기준 전주대비 2,000원 내린 상품 32,000원 중품은 28,000원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산지 기온상승에 따른 생산량 증가로 약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오이/ 가시계통, 2024-04-02, 대구지역

작성자 : 윤현우 조사원
    ● 경북 경산, 상주, 영천, 경남 김해, 창녕, 밀양지역에서 주로 출하됨                
    ● 시장내 반입량은 전주와 비슷하나, 주초부터 대구지역 기온상승으로 소비가 다소 증가하여 강보합세
    ● 도매가격은 10kg 기준 전일대비 3,000원 오른 상품 33,000원 중품은 29,000원 선에 거래
    ● 향후에는 산지 기온상승에 따른 생산량 증가로 약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오이/ 다다기계통, 2024-04-02, 광주지역

작성자 : 최지혜 조사원
    ● 전북 김제, 전남 나주, 함평 등의 지역에서 주로 출하됨
    ● 기온 상승으로 거래처 수요가 증가하면서 오름세에 거래됨
    ● 도매가격은 100개 기준 1,200원 오른 상품 78,0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높아지는 기온으로 외식업 수요 증가가 꾸준할 것으로 예상되어 강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오이/ 다다기계통, 2024-04-01, 대구지역

작성자 : 윤현우 조사원
    ● 경북 군위, 칠곡, 경산, 상주, 고령, 경남 창녕, 전북 장수지역에서 주로 출하됨
    ● 주말대기 물량 반입과 출하지역 확대로 시장내 반입량이 증가하여 약보합세  
    ● 도매가격은 100개당 전주대비 2,000원 내린 상품 75,000원, 중품 70,0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산지 기상회복에 따른 생산량 증가로 약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오이/ 가시계통, 2024-03-29, 부산지역

작성자 : 김윤태 조사원
    ● 경남 창녕, 창원, 김해, 밀양, 함안 지역에서 주 출하됨
    ● 비 수확주기와 우천 등으로 출하량이 감소하였고, 납품용 등 상인들의 물량확보 수요는 증가하여 오름세에 거래됨
    ● 도매가격은 10kg 기준 약 5,000원 오른 상품 35,000원, 중품 30,000원에 거래됨
    ● 향후에도 비 수확주기로 출하량이 부족하여 강보합세에 거래될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오이/ 다다기계통, 2024-03-28, 대구지역

작성자 : 윤현우 조사원
    ● 경북 군위, 칠곡, 경산, 상주, 고령, 경남 창녕, 전북 장수지역에서 주로 출하됨
    ● 주초부터 이어지는 산지 우천으로 출하작업 감소와 출하량 감소로 강보합세  
    ● 도매가격은 100개당 전일대비 2,000원 내린 상품 70,000원, 중품 65,0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는 산지 기상회복에 따른 생산량 증가로 약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오이/ 취청, 2024-03-28, 대전지역

작성자 : 황유진 조사원
    ● 주로 충남 논산, 전북 진안 등에서 반입됨
    ● 금일 우천으로 인해 산지 작업이 부진하고 출하량 감소 및 수요 부진으로 가격이 오름세로 거래됨
    ● 도매가격은 50개 기준 전일 대비 1,500원이 증가한 상품이 39,000원, 중품이 23,7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는 기온 상승, 일조량 증가 등 기상 회복에 따른 출하량 증가가 예상되어 약보합세 전망

(소매거래) 채소류/ 오이/ 가시계통, 2024-04-24, 부산지역

작성자 : 우경무 조사원
    ● 주로 경남 밀양, 창원, 창녕 등에서 반입됨
    ● 기온 상승에 따라 반입량이 증가하여 내림세에 거래됨
    ● 전통시장 소매가격은 10개 기준 상품 9,660원 중품 8,33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출하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약보합세 전망

(소매거래) 채소류/ 오이/ 취청, 2024-04-23, 광주지역

작성자 : 박지혜 조사원
    ● 주로 전남 장성, 충남 논산 등에서 반입됨
    ● 물량 출하가 증가하면서 시장 내 거래가 활발하고 반입량이 증가해 가격이 내림세로 거래됨
    ● 전통시장 소매가격은 10개 기준 상품 10,0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기상여건 호전에 따른 반입량 증가가 예상되어 약보합세 전망

(소매거래) 채소류/ 오이/ 다다기계통, 2024-04-22, 대전지역

작성자 : 이성현 조사원
    ● 주로 대전, 세종, 충남 논산, 천안, 충북 진천, 보은 에서 반입됨
    ● 충청권 봄작기 오이 출하가 활발하고 시장으로 물량이 풍부히 반입되며 가격이 내림세로 거래됨
    ● 소매시장에서 10개 기준 상품이 300원 내린 5,800원선에 거래되며, 중품은 330원 내린 4,800원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좋은 생육 요건으로 생산량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내림세 전망
    

(소매거래) 채소류/ 오이/ 가시계통, 2024-04-17, 부산지역

작성자 : 우경무 조사원
    ● 주로 경남 밀양, 창원, 창녕 등에서 반입됨
    ● 기온이 상승하면서 산지 출하량이 증가하여 내림세에 거래됨
    ● 전통시장 소매가격은 10개 기준 상품 10,600원 중품 9,16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기온 상승에 따른 시장 반입량 증가로 약보합세 전망

(소매거래) 채소류/ 오이/ 다다기계통, 2024-04-16, 광주지역

작성자 : 박지혜 조사원
    ● 전남 장성, 충남 논산 지역에서 주로 반입됨
    ● 봄작기 오이 물량이 출하 시작되면서 반입 물량이 증가하여 내림세로 거래됨
    ● 전통시장 소매가격은 10개 기준 상품 10,3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일기호전에 따른 반입량 증가로 약보합세를 전망함

(소매거래) 채소류/ 오이/ 다다기계통, 2024-04-15, 대전지역

작성자 : 이성현 조사원
    ● 주로 대전, 세종, 충남 부여, 논산, 천안, 충북 진천 등에서 반입됨
    ● 봄작기 오이 본격 출하로 시장 내 반입 물량이 증가하여 가격이 내림세로 거래됨
    ● 소매시장에서 10개 기준 상품이 1,500원 내린 7,500원선에 거래되며, 중품은 700원 내린 6,660원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따뜻한 기온 등 좋은 생육 조건으로 생산이 원활하여 출하량 증가가 예상되므로 약보합세 전망

(소매거래) 채소류/ 오이/ 다다기계통, 2024-04-12, 부산지역

작성자 : 우경무 조사원
    ● 주로 경남 창원, 창녕, 경북 상주 등에서 반입됨
    ● 기상 상황이 회복되면서 산지 출하량이 증가하여 내림세에 거래됨
    ● 전통시장 소매가격은 100g 기준 상품 1,210원 중품 1,05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출하량 증가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어 약보합세 전망

(소매거래) 채소류/ 오이/ 취청, 2024-04-05, 광주지역

작성자 : 박지혜 조사원
    ● 충남 보령, 논산 등의 지역에서 주로  반입됨
    ● 높은 가격을 유지하였으나 시장 내 재고 물량 대비 소비량이 적어 내림세에 거래됨
    ● 소매시장에서 10개 기준 600원 내린 13,200원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소비 비수기가 이어지며 약보합세 전망
    

(소매거래) 채소류/ 오이/ 다다기계통, 2024-04-03, 대전지역

작성자 : 이성현 조사원
    ● 주로 대전, 세종, 충남 청양, 계룡, 논산, 부여, 전북 김제 등에서 반입됨
    ● 충청지역 봄작기 오이가 본격 출하되며 반입 물량이 증가하여 가격이 내림세로 거래됨
    ● 소매시장에서 10개 기준 상품이 500원 내린 9,100원선에 거래되며, 중품은 270원 내린 7,430원선에 거래됨
    ● 주 출하 지역인 충청권 오이 재배면적 확대 영향으로 향후 생산량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약보합세 전망

(소매거래) 채소류/ 오이/ 가시계통, 2024-03-28, 부산지역

작성자 : 우경무 조사원
    ● 주로 경남 밀양, 창원, 창녕 등에서 반입됨
    ● 기온이 상승하면서 산지 출하량이 증가되어 내림세에 거래됨
    ● 전통시장 소매가격은 10개 기준 상품 13,500원 중품 12,6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기상 회복 등으로 출하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약보합세 전망

유통단계별 거래형태

도매시장

- 주로 10kg, 20kg 골판지 상자 단위로 거래됨
- 다다기 7.5kg, 15kg(50개, 100개) / 취청 10kg 골판지 단위로 반입됨
- 등급표시는 특·상·보통으로 구분됨

 

전통(소매)시장

-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낱개 형태, 2~3개 묶음 형태, 비닐 소포장 등 다양한 판매 형태로 거래됨

 

대형유통업체

- 낱개, 벌크 형태 등 다양한 판매 형태로 거래됨
-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구매가능한 벌크형태와 2~3개 정도의 소포장형태로 주 거래됨
- 마트에 따라, 오이를 이용한 반찬류와 가공식품(통조림) 등이 판매되고 있음

주요 반입되는 지역

주요 출하지역(‘22년 기준)

ㆍ주 출하도는 충청남도 경기도 강원도 순

ㆍ시 군은 충남 천안시 경북 상주시 충북 진천군 순

ㆍ총 반입량 중 3개 도에서 68.77%, 3개 시군에서 42.85%가 출하

 

순 위

도 별

비율(%)

순 위

시군별

비율(%)

1

충청남도

39.0

1

충남 천안시

27.0

2

경기도

15.3

2

경북 상주시

8.9

3

강원도

14.5

3

충북 진천군

7.0

4

경상북도

10.1

4

충남 공주시

6.8

5

충청북도

9.5

5

강원 홍천군

6.0

6

전라남도

8.4

 

강원 춘천시

4.9

7

경상남도

1.0

 

경기 안성시

4.8

8

대전광역시

0.9

 

전남 고흥군

4.3

9

서울특별시

0.7

 

경기 양주시

4.2

10

전라북도

0.6

 

충남 부여군

2.3

 

지역별 출하비율 및 월별 반입량 점유율(‘17년 기준)

※ 출처 :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월별 주요 출하지역(‘17년 기준)

월 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출하지
(물량순)
고흥군
상주시
고흥군
상주시
천안시
상주시
상주시
천안시
진천군
천안시
아산시
천안시
천안시
춘천시
홍천군
춘천시
춘천시
천안시
진천군
천안시
공주시
천안시
고흥군
상주시

※ 출처 :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최근 5개년 생산량 추이(전국)

 

그래프 오이의 재배면적, 생산량 및 단수 추이/ 재배작형별 생산액 추이)

출하 기간 및 동향, 전망(충북 진천)(2018년)

※ 출처 : 통계청, KREI, 농촌진흥청

 

선별장 집하에서 출하까지(충북 진천)(2018년)

 

진천지역 오이 집하 및 출하 관련 특이사항

 

서울 가락동 도매시장 월별 반입량(톤/2022년)

구 분

1

2

3

4

5

6

7

8

9

10

11

12

반입량

()

3,860

4,362

8,104

14,738

16,049

17,071

11,906

8,171

7,228

5,270

4,144

4,251

 

 

시군별 및 시기별 거래현황(2015년)
- 시군별 출하비율 순
    - 천안시 21.0%, 상주시 9.8%, 춘천시 8.3%, 진천군 7.4%, 안성시 5.9%, 공주시 5.8%, 고흥군 4.4%, 아산시 4.1%, 구례군 3.4%, 부여군 2.6%, 기타지역 4.9% 수준임(전체 출하시군 : 126개 지역)
- 시기별 출하비율
    - 주로 동절기 보다는 하절기(4~7월)에 거래량이 가장 활발함
    - 동절기 경북상주지역에서 시작하여 점차 물량증가와 더불어 충남천안지역을 거쳐 하절기 강원도 춘천지역으로 확산 이동하는 형국임

 

최근 5개년 생산량 추이(전국)

※ 출처 : 통계청

 

조사지역 관내 '16년도 재배면적․생산량 증감(전년대비)
- 2016년도 재배면적은 지난해와 비슷하나 총 생산량은 바이러스 및 각종 병충해 등으로 인한 영향으로 감소되었으며 상품성 또한 현저하게 품위저하품이 많이 생산되고 있음
- '16년도 재배면적 생산량 증감현황 기재(지자체, 유관기관 의견)
- 2016년 상주지역 재배면적은 비슷하나 바이러스 및 병충해 발생 증가에 따른 영향으로 생산량이 감소된 것으로 판단됨

 

출하전망(경북 상주)(2016년)

생산자 · 산지유통인 거래동향
- 상주지역 노지오이 정식은 6월 초·중순 경이며 노지오이는 2015년 75ha로 전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됨
- 노지오이가 대부분 정식이었으나 바이러스 병, 충해로 인하여 생산량의 감소가 예상됨

출하기간 및 동향
- 6월 초중순경부터 ~ 6월 30일(정식) : 병해충으로 인하여 재 정식 농가 발생됨
- 노지오이(단동하우스) 정식 후 한 달 정도부터 수확 작업이 이루어짐

 

최근 5개년 생산량 추이(충북 보은)

※ 출처 : 보은농업기술센터 달관조사

 

조사지역 관내 '16년도 재배면적․생산량 증감(전년대비)
- 정식 초기에 고온과 가뭄 및 7월초에 장마로 인하여 노균병 등 발생이 많아져 전년대비 생산량은 감소한 것으로 예측됨
- '16년도 재배면적 생산량 증감현황 기재(지자체, 유관기관 의견)
작황은 정식초기에 고온 가뭄이 지속되었고 7월에는 잦은 비와 주야간의 일교차가 심하여 오이 생육이 전반적으로 좋지 않고 기형과 노균병이 심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임

 

출하전망(충북 보은)(2016년)

생산자 · 산지유통인 거래동향
- 보은지역은 주재배지역이 보은, 수한면, 삼승면, 산외면, 속리산면 지역으로 전체생산량의 90% 이상이 수한면지역에서 생산되며 판매는 농협지점을 통해 거래됨

출하기간 및 동향
- 출하기(6월下 ~ 7월中) · 성출하기(6.20 ~ 7.20)
- 6월 중순 정식농가 : 9월 중순까지 출하 예상됨 (생산 농가의 20% 정도)

 

최근 5개년 생산량 추이(전국)

※ 출처 : 국가통계포털(KOSIS)

 

조사지역 관내 ‘14년도 재배면적. 생산량 증감(전년대비)(대전 유성)
- 대전광역시 유성구청 담당자는 금년도 일조량이(기온) 좋아 작황은 양호한 편이고 재배면적은 지난해와 비슷한 약 50㏊ 정도이며 예상 생산량은 수확 초기로서 대체적으로 전년도에 비하여 10%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출하전망(대전 유성)(2014년)

생산자 · 산지유통인 동향
- 농가의 대부분이 작목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매회 출하할 때마다 전문 화물차를 이용하고 있으며 운영비용은 오이를 출하할 때 상자 당 일정액을 각출하여 운영하고 있고 금년도 현재까지의 작황은 양호한 편으로서 향후 출하량은 급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출하기간
- 충청지방은 2월하순경부터 출하가 시작되어 7월 초·중순경까지 90∼95%정도 출하가 이루지고 있으며 그 이후에는 경기도 및 충북 산간지방인 준·고랭지에서 강원도지방으로 주산지가 전환되어 출하되고 있음

 

노지재배 주산지 : 안성, 여주, 괴산, 화성, 연천, 포천, 파주시 등
시설재배 주산지 : 춘천, 창녕, 공주, 천안, 부여, 상주, 순천, 군위, 안성, 평택, 양구, 고흥, 부산 강서 등

   - 재배방법에 따라 크게 시설재배와 노지재배로 나눌 수 있는데, 총 재배면적에서 시설재배가 약 75% 이상을 차지

   ※ 출처 : 농림통계연보

 

최근 5개년 생산량 추이(전국)

 

경기지역 생산량 추이

※ 출처 : 통계청

※ '11년도 자료는 '12.6월 공표예정

 

조사지역 관내 '12년도 재배면적생산량 증감(전년대비)

경기 이천, 안성, 평택지역의 전년대비 재배면적은 비슷하나, 예년에 비해 낮은 기온에 따른 유류비 증가 및 생육부진으로 수확량이 10%정도 감소가 예상됨

 

출하전망(경기 이천, 안성, 평택)(2012년)

생산자․산지유통인 동향

작목반을 통한 출하로 공급이 원활하며, 시세가 낮지 않아 도매시장으로의 출하비율이 70%이상 차지함

출하기간

봄오이는 평균 4월초에 파종하여 6월말까지 출하되며, 가을오이는 8월초에 파종하여 12월까지 수확하고, 여름오이는 7월초에 파종하여 8월까지 공급됨
 

 


표준규격 출하율

부류별
표준규격포장 출하율(%) 데이터저장
구분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전체 73.6 75.7 76.5 76.8 77.2 80.5 84.5 85.3 84.2 80.6
과일류 98.5 95.4 94.1 96.8 97.2 97.5 97.2 98.2 98.1 94.4
과채류 78.4 72.7 68.8 74.4 75.4 80.1 85.2 87.8 78.0 79.5
양념류 26.6 29.4 38.6 55.9 70.0 70.0 71.3 71.5 71.0 66.0
엽근채류 74.1 78.3 78.9 76.8 63.6 73.5 79.8 78.5 83.9 78.3
서 류 95.4 96.7 93.7 93.7 96.6 97.1 98.4 99.5 95.6 88.4
화훼류 82.9 85.0 88.2 84.9 87.5 88.2 91.2 92.3 92.9 96.4
품목별
표준규격포장 출하율(%) 데이터저장
구분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사 과 99.0 99.0 94.5 95.5 97.2 98.8 97.0 96.4 97.0 82.6
97.8 98.5 98.7 95.6 89.1 92.7 96.2 99.7 99.3 99.0
단 감 98.2 98.7 99.5 99.6 99.9 100.0 99.5 99.6 97.7 98.9
감 귤 99.0 87.8 88.6 98.6 99.1 98.2 96.1 97.1 98.9 99.8
복숭아 99.3 100.0 100.0 98.6 99.6 100.0 98.2 99.2 96.9 98.3
자 두 92.0 91.7 93.7 100.0 97.0 99.8 100.0 100.0 99.7 99.7
포 도 97.9 98.5 95.7 94.5 98.9 97.7 99.2 99.6 98.5 97.3
참다래 94.9 97.2 80.7 78.8 93.7 92.1 100.0 100.0 100.0 96.4
풋고추 98.7 99.6 100.0 98.2 99.2 96.8 98.2 99.4 99.8 99.9
오 이 91.8 93.7 94.8 91.7 98.2 96.9 92.4 83.2 90.8 81.4
호 박 93.3 95.1 94.3 96.1 97.8 95.9 92.8 98.0 89.4 83.9
가 지 92.5 94.7 87.5 72.3 95.5 91.1 94.9 99.8 96.4 88.6
토마토 99.1 99.4 97.0 98.9 99.8 98.0 98.9 100.0 94.8 95.2
방울토마토 98.2 100.0 96.0 96.7 88.9 99.4 97.8 99.4 98.7 96.1
참외 98.9 99.9 98.0 97.8 96.9 99.3 100.0 100.0 100.0 99.4
딸기 72.8 71.7 79.7 76.3 64.1 72.7 95.2 97.2 90.1 79.2
수박 12.7 7.9 9.0 1.8 12.0 9.6 12.8 6.6 2.6 10.0
조롱수박 100.0 100.0 100.0 50.0 - - - - - -
메 론 95.4 96.8 93.0 94.6 98.9 91.9 99.6 100.0 89.7 98.3
피 망 98.3 99.0 98.8 99.1 99.8 100.0 99.7 99.7 99.9 95.3
건고추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양 파 29.2 34.0 52.3 71.4 91.8 95.1 96.1 95.9 99.2 96.6
마 늘 85.0 91.7 76.7 58.8 73.1 84.3 93.6 100.0 97.2 95.2
대 파 0.2 0.3 0.0 0.0 0.0 0.0 0.0 0.3 0.2 0.2
쪽 파 28.7 25.6 19.9 24.5 18.4 39.2 29.4 21.6 5.6 17.9
81.2 89.4 90.3 86.6 97.1 97.5 97.4 98.9 95.8 94.7
열 무 41.1 34.1 28.7 25.0 38.8 47.1 38.2 23.6 8.8 -
총각무 0.0 0.0 0.0 0.0 0.0 0.2 2.4 0.0 0.0 0.4
배 추 69.0 72.4 67.4 71.2 42.1 73.5 76.0 74.0 94.3 87.0
얼갈이배추 41.3 45.7 50.4 43.1 43.4 56.6 62.2 61.2 43.6 -
양배추 98.0 97.4 92.7 88.5 20.1 57.8 70.0 83.7 84.5 78.4
당 근 87.9 79.8 60.5 76.4 96.9 97.7 98.1 98.9 95.3 89.9
시금치 54.4 52.5 58.4 55.1 83.1 72.2 66.3 48.8 72.4 77.0
상 추 93.5 95.3 82.8 85.9 97.6 96.4 94.5 95.8 97.6 78.0
깻 잎 78.8 70.1 62.5 71.9 85.7 83.0 83.2 92.5 85.6 73.4
부 추 40.2 51.6 61.7 50.3 16.2 34.5 34.8 15.9 38.8 27.6
쑥 갓 78.7 85.3 89.0 92.6 96.9 99.4 98.8 100.0 92.5 94.7
미나리 56.1 45.8 51.5 52.6 40.2 49.7 47.8 25.3 14.9 6.7
감 자 99.1 99.9 95.4 96.2 98.3 100.0 99.1 100.0 99.5 94.7
고구마 80.9 85.9 89.4 87.2 92.4 89.7 96.4 98.1 86.3 82.8
국 화 79.8 82.1 86.7 82.6 86.5 86.5 88.2 89.4 90.6 96.0
카네이션 95.3 98.2 98.7 91.1 94.5 94.8 96.6 99.0 97.7 99.3
장 미 86.7 88.4 88.3 89.1 91.6 92.6 96.9 97.5 98.3 97.3
백 합 87.7 87.5 88.4 88.3 81.1 81.2 90.7 93.6 92.9 93.4
글라디올라스 78.1 67.1 71.8 68.5 69.0 73.7 79.7 92.1 85.9 88.0
거베라 98.8 99.1 99.6 93.6 92.3 98.5 91.2 99.3 98.2 99.5

포장화율

부류별
포장화율(%) 데이터저장
구분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전체 92.9 92.4 94.6 93.8 91.8 92.0 93.0 93.2 92.0 92.1
과일류 100.0 100.0 100.0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과채류 85.3 76.6 78.5 84.4 83.2 84.3 89.2 92.1 88.2 93.0
양념류 75.4 76.9 74.5 81.6 84.0 82.3 82.5 82.0 80.9 72.5
엽근채류 95.5 97.0 98.9 96.3 93.1 94.1 94.0 93.0 93.3 96.3
서 류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화훼류 99.7 100.0 100.0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품목별
포장화율(%) 데이터저장
구분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사 과 100.0 100.0 100.0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단 감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감 귤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복숭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 두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포 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참다래 100.0 100.0 100.0 100.0 97.1 100.0 100.0 100.0 100.0 100.0
풋고추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오 이 100.0 100.0 100.0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호 박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가 지 100.0 100.0 100.0 100.0 100.0 - 100.0 100.0 100.0 100.0
토마토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방울토마토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참 외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딸 기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99.4
수 박 22.3 9.6 29.0 24.8 31.1 11.1 17.6 19.0 32.6 45.6
조롱수박 100.0 100.0 100.0 100.0 - - - - - -
메 론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피 망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건고추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양 파 96.3 99.1 97.5 99.8 100.0 100.0 99.7 100.0 99.9 100.0
마 늘 100.0 100.0 99.0 100.0 100.0 96.1 99.1 100.0 98.1 100.0
대 파 0.2 0.6 8.3 6.2 19.5 7.5 2.1 6.4 11.1 4.1
쪽 파 38.0 35.0 56.8 54.5 34.5 66.0 53.2 36.0 39.7 35.7
배 추 100.0 100.0 100.0 100.0 99.7 100.0 100.0 100.0 100.0 100.0
얼갈이배추 68.2 76.7 90.7 84.3 90.2 85.2 84.2 90.3 98.3 -
양배추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93.0 95.9 99.8 94.4 98.8 98.4 97.7 99.7 96.9 99.1
열 무 69.4 77.7 77.5 76.2 57.3 82.2 78.6 73.2 75.2 -
총각무 0.0 0.0 32.4 31.7 1.1 6.4 2.4 1.1 20.7 4.9
당 근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시금치 98.1 99.6 99.5 98.0 93.5 91.2 90.6 88.4 99.6 93.8
상추 99.8 100.0 99.8 99.2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깻 잎 100.0 100.0 100.0 100.0 100.0 99.9 100.0 99.2 99.6 99.7
부 추 96.2 98.5 92.5 74.2 41.5 59.7 44.3 22.0 54.1 96.8
쑥 갓 97.7 100.0 99.8 99.8 99.6 100.0 100.0 100.0 98.5 99.1
미나리 93.0 91.3 94.7 91.6 94.8 95.6 85.1 75.9 84.9 92.3
감 자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고구마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국 화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카네이션 100.0 100.0 100.0 96.6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장 미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백 합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글라디올라스 78.1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거베라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품목별 유통실태

번호 품목 연도 관련자료
26 오이 2022 년 자료 다운로드
25 오이 2021 년 자료 다운로드
24 오이 2020 년 자료 다운로드
23 오이 2019 년 자료 다운로드
22 오이 2018 년 자료 다운로드
21 오이 2017 년 자료 다운로드
20 오이 2016 년 자료 다운로드
19 오이 2015 년 자료 다운로드
18 오이 2014 년 자료 다운로드
17 오이 2013 년 자료 다운로드
16 오이 2012 년 자료 다운로드
15 오이 2011 년 자료 다운로드
14 오이 2010 년 자료 다운로드
13 오이 2009 년 자료 다운로드
12 오이 2008 년 자료 다운로드
11 오이 2007 년 자료 다운로드
10 오이 2006 년 자료 다운로드
9 오이 2005 년 자료 다운로드
8 오이 2004 년 자료 다운로드
7 오이 2003 년 자료 다운로드

오이 고르는 법

오이는 꼭지가 싱싱하고 적당한 크기와 두께, 모양이 일정하여야 하며, 고유의 색상이 진하고 부드러운 것이 좋다. 꼭지에서부터 아래로 5cm 정도가 짙게 푸른 것이 좋은 오이이다. 만져보았을 때 단단한 느낌이 드는 것이 신선한 것이고, 과실에 결점이 없어야 하며 꼭지가 마르지 않고 싱싱한 것이 좋다. 너무 굵은 오이는 씨가 많이 들어 맛이 없는 경우가 많고, 가시를 손으로 눌러보아 아프지 않으면 신선도가 떨어진 상태이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굵기가 머리에서 끝부분까지 일정하면서 곧은 것이 좋다. 과실의 길이는 20~25cm 정도를 일반적으로 선호한다. 취청계의 경우 과실의 길이가 22~30cm 정도가 되어야 상품성이 있음. 꽃이 그대로 붙어 있는 것을 선호한다. 보통 생과용은 무게가 120~160g 내외인 것이 좋다.

※ 출처 : 농촌진흥청

 

상품성 평가

좋은 다다기오이 구별법

우량품 : 굵기가 머리에서 끝부분까지 일정하게 고른 것이 좋으며, 똑바로 곧은 오이가 좋다. 굽은 정도가 심하지 않으면 상품으로 손색이 없다. 또한 품종 고유 특성을 나타내는 색깔을 나타내야 한다. 침은 상처를 받지 않은 것이 좋으며, 만져보아 단단 것이 신선한 것이다.

불량품 : 표면에 윤기가 없고, 손으로 만져보았을 때 탄력이 없으면 신선도가 떨어진 오이이며, 많이 구부러진 것은 좋지 않다.

 

장보기 Tip

상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통용어와 뜻

오이 용도별 이렇게 고르자!
   - 생식용으로는 외관상 껍질이 깨끗하고 윤기가 있는 것을 고르세요. 
     - 싱싱하고 윤기 있으며 겉면이 단단하고 달콤한 진한 향기가 나는 것이 좋다.

   - 오이소박이할 때에는 굵기가 일정한 것으로 고르세요.
     - 굵기가 일정하고 몸체가 쭉 뻗은 것이 조리하기도 편하고 모양도 좋다.

   - 요리에 따라 다른 종류의 오이를 골라보세요.
     - 샐러드, 무침 → 다다기 오이 (몸집이 통통하면서 짤막하며 연두 빛을 띤다)
     - 오이지, 오이소박이 → 취청오이 (색깔이 짙은 초록빛을 띠며 길쭉하다)

 

주요 영양성분(100g 기준/ 오이, 취청, 생것)

※ 출처 : 농촌진흥청 농식품종합정보시스템

 

오이의 영양 및 효능

오이는 조직의 96%가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청량감이 크고 아삭거리는 식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비타민 C가 함유되어있어 피부 미용과 보습효과가 크다. 또한 칼륨이 들어 있기 때문에 수분과 함께 이뇨 작용을 도와 숙취 해소에 도움이 되고, 나트륨의 배출도 돕는다. 이때 체내에 쌓여 있던 중금속이 함께 배출되어 피를 맑게 해주는 효과를 가져온다. 오이는 차가운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체내의 열을 진정시켜 여드름 예방과 땀띠를 진정시키는 데 좋다. 화상 시에도 오이를 갈아서 붙여놓으면 열독을 사라지게 하고 피부를 보호한다. 오이를 가늘게 잘라 혀로 30초 동안 입천장에 누르고 있으면, 오이의 화학물질이 입안 박테리아를 죽여 구취를 없애주기도 하며, 오이 속 미네랄 이산화규소는 머리카락, 손톱, 발톱을 윤기 나고 강하게 해주고, 모발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한편, 오이에는 비타민C를 파괴하는 아스코르비나아제라는 효소가 들어 있다. 오이만 먹을 때는 문제가 없지만, 오이를 자르거나 조리하는 과정에서 조직이 공기와 접촉하면 아스코르비나아제가 활성화되기 때문에 비타민 C가 들어 있는 다른 채소와 같이 생으로 먹을 경우 비타민 C가 파괴된다. 하지만 이 효소는 가열하거나 산이 첨가되면 불활성 되기 때문에 가열하여 조리하거나 식초를 함께 사용하면 비타민 C의 파괴를 막을 수 있다.

다이어트 효과
- 수분이 풍부하고 칼로리가 낮아서 다이어트 식품으로 적합함
암 예방 효과
- 오이의 꼭지부분에는 쿠쿠르비타신 A,B,C,D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것이 암세포 성장을 억제해주는 역할을 해서 암을 예방해주고 간염에도 효과적임
해열 및 갈증해소
- 차가운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해독작용이 있어서 몸의 열을 내려주는 효과가 있는데, 열이 날 때 오이를 먹어주면 열이 어느 정도 내려가는 효과를 볼 수 있음
- 수분이 90% 이상이기 때문에 갈증 해소에도 좋아서 등산할 때 오이를 챙겨 가면 좋음
피부미용에 효과적
- 알칼리성 식품인 오이의 칼륨은 몸속에 쌓인 나트륨을 배출시키는 작용을 하는데, 이때 몸안의 노폐물이나 중금속이 함께 배출되어 피를 맑게 하고 피부를 투명하게 유지시켜줌
- 오이를 얇게 잘라 피부 표면에 붙여주면,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해 건강한 피부를 가질 수 있고, 미백 및 보습효과가 있어 피부를 윤택하게 할 뿐 아니라 열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음
숙취해소
- 아스코르빈산이라는 숙취해소에 좋은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성분은 알코올 분해를 쉽게 하고 분해된 알코올 성분을 이뇨작용을 통해 배출시킴
- 과음 후, 속이 아프거나 구토·두통 등에 시달릴 때 오이즙을 마시면 효과를 볼 수 있음
혈관질환 예방
- 마그네슘과 칼륨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혈관을 튼튼하게 만들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줌
- 동맥경화나 고지혈증 등의 혈관질환 예방에도 효과적임
중금속 배출
- 오이 속 칼륨 성분이 나트륨을 배출시키는데 이때 중금속이 함께 배출되어 피를 맑게 함
일일 권장 비타민
- 신체가 하루에 필요로 하는 대부분의 비타민을 갖고 있음
- 면역체계를 활성화시키는 비타민A, B, C가 있어 몸에 에너지를 주어 활기차게 함
구강청결
- 오이를 가늘게 잘라 혀로 30초 동안 입천장에 누르고 있으면 오이의 화학물질이 입 안 박테리아를 죽여 구취를 없애줌
모발강화
- 오이 속 미네랄 이산화규소는 머리카락, 손톱, 발톱을 윤기나고 강하게 해주고 모발 성장을 촉진함
이뇨작용, 부종에 효과
- 오이를 섭취하게 되면 수분과 함께 체내의 나트륨을 배설시키며, 그 과정에서 노폐물도 함께 빠져나가 몸이 개운해지고 혈액이 맑아지는데, 특히 아침 공복에 오이의 꼭지를 잘라버린 뒤, 물에 깨끗이 씻어서 꿀, 요구르트를 넣고 믹서기에 갈아서 먹으면 부종에 많은 효과를 볼 수 있음
변비예방
- 오이에는 풍부한 식이섬유가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장의 운동을 활발하게 만들어 변비에 도움을 줌
피로회복 및 면역력강화
- 오이에 들어있는 비타민c는 몸의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해 피로회복 및 면역력 향상에 도움을 주어 각종질병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음

 

오이 손질법

오이는 아삭아삭한 식감과 수분이 많은 특성을 살려 익히지 않고 생식하는 경우가 많다. 생으로 먹을 때는 굵은소금으로 겉면을 문질러 씻은 뒤 물에 헹궈주면 삼투압 작용으로 인해 오이 표면의 잔류농약과 불순물이 제거된다. 꼭지 부분은 쓴맛이 강하고, 농약이 끝부분에 몰려있을 수 있으므로 제거한다. 채를 썬 오이는 소금을 살짝 뿌려 30분 정도 절여두면 쓴맛이 제거되고 식감이 쫄깃해진다. 얇은 채가 필요할 경우 오이를 먼저 3등분 한 뒤 씨가 나오기 전까지 돌려 깎기를 한다. 깎은 오이는 적당한 크기로 잘라 겹쳐서 썰면 얇은 채를 만들 수 있다.

※ 출처 : 농촌진흥청

 

오이 보관방법

오이를 냉장 보관할 때에는 오이를 씻은 후 하나씩 키친타월이나 랩으로 싸서 보관한다. 꼭지 부분은 위로 세워 보관해야 하며, 냉장고(7~10℃)에서 5~10일 정도 보관할 수 있다. 오이를 깨끗이 씻어 물기를 제거한 후, 랩이나 비닐봉지에 말아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좋음. 오이를 냉동 보관하게 되면 수분이 빠져나가 아삭한 식감이 없어지므로 생으로 먹기에 적합하지 않다. 얼린 오이는 해동 후 볶는 요리나 초절임, 무침등에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냉동 보관할 때는 우선 오이를 슬라이스로 썰어 가볍게 소금을 쳐 절여서 물기를 짠 후 소분하여 얼리는 것이 좋다.

※ 출처 : 농촌진흥청

 

오이 활용방법

 

오이소박이 만들기

※ 출처 : 우수식재료디렉토리, 대한민국식재총람, 농식품종합정보시스템

 

- 오이레몬냉국

먼저 오이는 껍질을 얇게 벗기고 얇고 둥글게 저며 썬후,썬 오이에 소금,고운 고춧가루,설탕을 넣고 버무리고,마늘,식초,실파 채를 넣는다
그리고 차갑게 준비한 생수를 부어 간을 한뒤,만들어진 오이냉국에 얇게 썬 레몬 쪽과 쑥갓 잎을 넣고 얼음을 띄우면 맛있는 오이레몬냉국이 완성된다

 

- 미역오이냉국

재 료  미역 10g, 오이 1개, 홍고추 1개, 국간장 3큰술,
설탕 1큰술, 식초 2큰술, 소금 1큰술, 다진마늘ㆍ통깨 약간, 얼음 조금, 마른멸치․다시마 약간(멸치다시물 3컵)

 

① 물에 멸치와 다시마를 넣고 끓여 멸치다시물(또는 생수)을 만들어 냉장고에 넣어 시원하게 만들어 두고, 마른미역은 물에 20-30분정도 담가 불린 후 주물러 씻고 물기를 짜서 송송 썰어 둔다.

    ☞ 멸치다시물 사용시 진하고 깊은 맛을, 생수 사용시 깔끔하고 상큼한 맛을 느낄 수 있다.

 

② 오이는 굵은 소금으로 비벼 씻은 후 어슷썰기 하여 채 썰고, 홍고추도 어슷썰기하여 고추씨를 떨어내어 준비하여 둔다.

    ☞ 미역의 비린내를 없애기 위해 참기름에 살짝 볶아 내도 좋다.

 

③ 그릇에 ②의 오이를 담아 국간장, 설탕, 다진마늘을 넣고 재료에 간이 배이도록 조물조물 무쳐 준비한다.

 

④ ③에 ①의 국물 3컵과 소금, 식초, 붉은 고추를 넣은 후 통깨를 뿌리고 마지막 먹기 전에 얼음을 동동 띄워 낸다.

    ☞ 얼음을 너무 많이 넣으면 간이 싱거워질 수 있으니 적당히 넣는 것이 중요하다.

정보 취재요원 : 서울경기․대전충남․광주전남․대구경북․인천지사 조사직원
자료 도움주신 곳 : 통계청, 서울시농수산물공사,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원

 

오이를 이용한 생활의 팁~!!

오이로 욕실 거울 김 서림 막자!

샤워를 하고 나서 욕실 거울에 뿌연 김이 서리는 것이 싫으면 오이를 가로로 썰어서 거울 표면에 문질러 주면 김이 말끔히 사라짐.

구두닦이 약이 없을 때!

급하게 외출해야 하는데, 구두닦이 약이 없다면, 오이를 가로로 잘라서 구두 표면에 문질러 주면 광택이 오래 유지될 뿐만 아니라, 물방울이 흘러도 구를 만큼 잘 닦인다.

 

참고자료
- 대한민국 식재총람
- aT 농산물유통정보(KAMIS)

▣ 이런 효능이

 

 

갈증 해소에 도움

이는 95%가 수분으로 구성된 만큼 체내에 수분이 부족한 경우 즉각적인 충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운 여름철이나 격한 스포츠, 등산을 즐기는 경우 탈수를 방지하는 용도로 활용하기에 적절하며 비교적 휴대성이 간편하다. 특히 더운 계절에는 소금을 활용하여 염장하는 형태의 오이냉국, 짱아찌, 김치 등으로 섭취하기 좋다.

 

눈 건강에 도움

오이에 베타카로틴이 풍부한 오이는 섭취를 통해 눈의 피로감을 풀고 눈 건강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숭 있다. 특히 베타카로틴의 경우 눈의 건강뿐만 아니라 몸의 피부를 형성하고 유지하며 피부 점막에 대한 생성, 상피 세포에 대한 발달과 회복을 돕는데 쓰임이 있으며 이외에도 산화방지. 시력감퇴에 대한 예방 등에도 도움이 된다.

 

노폐물의 배출, 신장의 건강에 도움

뇨 작용을 통해 체내의 노폐물이 소변을 통해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신장을 보호하고 신장 능이 회복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알칼리성 식품으로 체외로 노폐물이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불필요한 부종을 제거하는 것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특히 오이 꼭지부분에 이러한 부분에 도음을 줄 수 있는 쿠쿠르비타신이라는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는 점을 참고한다.

 

피부미용에 도움

분과 비타민 성분이 많아 피부에 붙이거나 섭취할 때 피부를 맑고 유연하게 하며 수분감을 더해주는 데 도움이 될수 있다. 또한 자외선에 의한 자극에 대해 회복을 돕고 진정에 대한 기대를 할 수 있다는 부분을 확인한다.

 

변비 개선효과에 도움

껍질에 많이 들어있는 섬유질은 대장의 운동을 좋게 하고 대변이 잘 나올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포만감을 지하도록 하여 과식을 방지하고 장 내에 수분을 부여 할 수있어 변비가 있거나 배에 숙변으로 인해 가스가 자주 차는 경우 꾸준히 섭취해 볼 수 있다.

 

혈당수치 저감효과에 도움

당 수치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경우 오이를 껍질째로 섭취 할 수 있다. 당이 빠르게 치솟는 것을 막아주고 당뇨가 있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고혈압 등 합병증에 대해 관리하는데 도움이 된다.

 

조심할 팁

오이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섭취 후 피부 드드러기, 가려움, 기도부종, 호흡곤란, 구토, 복통 등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칼륨 함량이 높아 신장질환이 있는 경우 섭취량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도한 섭취는 복통, 설사, 고칼률혈증 등을 일으킬 수 있다.

 



▣ 이런 영양이(100g/오이 생것)

영 양 분

함 량

영 양 분

함 량

영 양 분

함 량

다다기

취청

다다기

취청

다다기

취청

수 분

g

95.2

95.6

탄수화물

g

3.05

2.81

비타민C

11.25

1.52

에너지

kcal

14

13

총아미노산

666

646

칼 슘

18

34

단백질

g

1.22

1.15

마그네슘

14

13

39

23

당 류

g

1.38

1.47

비타민A

5

15

0.2

0.18

총식이섬유

g

0,7

0.5

베타카로틴

61

184

칼 륨

196

161

회 분

g

0.51

0.41

나이아신

0.091

0.197

나트륨

3

2

 

미디어








2015년 5월 23일자 SBS 토요특집 출발! 모닝와이드 알뜰장보기 방영



2014년 5월 31일자 SBS 토요특집 출발! 모닝와이드 알뜰장보기 방영



2013년 07월 27일자 SBS 토요특집 출발! 모닝와이드 알뜰장보기 방영



2013년 04월 27일자 SBS 토요특집 출발! 모닝와이드 알뜰장보기 방영



2012년 06월 16일자 SBS 토요특집 출발! 모닝와이드 알뜰장보기 방영

이미지

데이터가 없습니다.



동영상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