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료 백과(카미위키)
도라지는 특유의 씁쓸한 맛과 향이 있어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며. 도라지의 사포닌 성분은 호흡기 질환에 효과가 좋아서 기침, 가래, 천식의 완화에 도움이 된다.
구분 | 내용 |
---|---|
분류 | 채소 > 산채류 |
주요 생산지 | - 경기 여주, 이천, 김포 - 강원 홍천, 삼척, 횡성 - 충남 금산, 논산 |
유사재료 | 더덕, 잔대 |
특징 | 삼(蔘)류 특유의 쌉쌀한 맛이 특징이다. 흰색 속살을 가지고 있으며, 시중에는 통 도라지와 깐 도라지 두 종류가 유통되고 있다. |
효능 및 영양성분 | 섬유질이 많고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다. 도라지의 쓴맛을 내는 주요 성분인 사포닌은 기관지 및 호흡기 건강에 좋다. |
열량 | 100g당 74kcal |
음식궁합 | 꿀과 배는 도라지에 부족한 열량을 보충해 주고 쓴맛을 줄여준다. |
활용 | 밥, 국, 나물, 생채, 전 등에 다양하게 활용된다. |
고르는 법 | 통도라지는 가늘고 짧으며 잔뿌리가 많고, 원뿌리도 인삼과 같이 2~3갈래로 갈라진 것을 골라야 한다. 깐 도라지는 흰색을 띠며 향기가 강하고, 모양이 휘지 않고 반듯한 것이 좋다. |
손질법 | 잔뿌리를 잘 다듬어 떼어내고 표피는 칼로 긁어서 벗겨낸 후에 물로 깨끗이 씻어 준다. 손질을 한 도라지는 소금에 주물러서 쓴맛을 빼주고 물에 담가 둔다. |
보관법 | 통도라지를 물이 촉촉하게 젖은 신문지나 키친타월에 싸서 서늘하게 보관하거나, 껍질을 벗기고 햇볕에 말리면 오래 보관할 수 있다. |
도라지란?
- 특유의 향과 쌉싸름한 맛이 특징인 도라지는 생으로 또는 익혀서 나물로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 강원도를 중심으로 연중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봄철의 도라지가 맛과 향이 좋은 편이다.
- 오래된 도라지는 산삼보다 낫다는 옛말이 있을 정도로 영양이 풍부하다.
-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으로 칼슘과 철분, 칼륨, 미네랄, 비타민, 식이섬유 등을 비롯해 유익한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풍부한 사포닌 성분은 기침, 가래에 효능이 있어 예로부터 호흡기를 보하는 약재로 많이 쓰여 왔다.
- 도라지와 궁합이 좋은 식재는 꿀과 배로 도라지에 부족한 열량을 보충해 주고 쓴맛을 줄여준다.
- 나물로 쓰는 도라지는 주로 1~3년 근을 사용하며, 3년 이상 자란 도라지는 쓴맛이 강하고 각종 유익한 성분의 함량이 높아 약도라지라고 부르며 주로 차와 약용으로 쓰인다.
품목별 도매가격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품목별 소매가격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일일동향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유통단계별 거래형태
전통(소매)시장
- 20kg 직물제 포대(P.P대) 포장 형태로 반입되어 1kg 단위로 거래됨 |
대형유통업체
-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에 맞게 200g, 400g, 500g 등 비닐포장 형태로 판매됨 |
주요 반입되는 지역
주요 출하지역(‘19년 기준)
- 주 출하도는 ① 강원도 ② 경기도 ③ 기타 순
- 시 군은 ① 강원 춘천시 ② 경기 여주시 ③ 강원 홍천군 순
- 총 반입량중 3개 도에서 75.8%, 3개 시군에서 52.6%가 출하
순위 | 도별 | 비율 | 순위 | 도별 | 비율 |
1 | 강원도 | 44% | 6 | ||
2 | 경기도 | 20.7% | 7 | ||
3 | 충청남도 | 11.1% | 8 | ||
4 | 전라북도 | 1.7% | 9 | ||
5 | 서울특별시 | 0.8% | 10 |
지역별 출하비율 및 반입량(‘19년 기준)
월별 주요 출하지역(‘19년 기준)
월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출하지 (물량순) |
논산시 춘천시 |
홍천군 논산시 |
연천군 당진시 |
춘천시 연천군 |
춘천시 홍천군 |
춘천시 여주시 |
춘천시 남원시 |
여주시 춘천시 |
예산군 여주시 |
춘천시 여주시 |
강릉시 홍천군 |
춘천시 여주시 |
출처 | 서울시농수산식품유통공사 |
---|
품목별 유통실태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도라지 고르는 tip
피도라지
- 가늘고 짧으며, 잔뿌리가 많고, 원뿌리가 인삼처럼 2~3개 갈라진 것이 좋음 (중국산은 잔뿌리가 없이 매끈함)
- 껍질에 흙이 많이 묻어 있는 것 (중국산은 수확한 뒤 물로 씻어 흙이 거의 없으며, 변질된 것이 많음)
깐도라지
- 길이가 짧고, 껍질이 잘 벗겨지지 않아 일부 남아있음
- 동그랗게 말리는 성질이 약하며, 흰색을 띠고 있음 (중국산은 약간 노란색을 띰)
- 단단한 섬유질이 적어 부드럽게 씹히며, 쓴맛이 거의 없음
보관은 이렇게
- 껍질을 벗기지 않은 채 흙이 묻어있는 상태로 신문지에 싸서 서늘하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보관함
- 피도라지는 물에 젖은 신문지나 키친타월에 싸서 두면 수분 증발을 막아주어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려준 뒤 냉동 보관하면 오래 보관할 수 있음
- 깐도라지는 껍질을 벗긴 상태로 보관하면 색이 변하므로 물에 담가 두는 것이 좋으며, 물기를 털고 수분이 조금 남은 상태로 비닐 팩에 넣어 냉동 보관하면 오래 보관이 가능함
손질은 이렇게
- 껍질을 벗기지 않은 채 흙이 묻어있는 상태로 신문지에 싸서 서늘하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보관함
- 피도라지는 물에 젖은 신문지나 키친타월에 싸서 두면 수분 증발을 막아주어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려준 뒤 냉동 보관하면 오래 보관할 수 있음
- 깐도라지는 껍질을 벗긴 상태로 보관하면 색이 변하므로 물에 담가 두는 것이 좋으며, 물기를 털고 수분이 조금 남은 상태로 비닐 팩에 넣어 냉동 보관하면 오래 보관이 가능함
활용은 이렇게
용도 | 활용메뉴 |
---|---|
생채, 냉채, 샐러드 | 도라지생채, 도라지 오징어냉채, 도라지 배 소스 샐러드, 도라지 황태무침 |
볶음 | 도라지 나물볶음 |
전, 튀김 | 도라지전, 도라지튀김 |
김치, 장아찌 | 도라지김치, 도라지장아찌 |
기타 | 도라지정과, 도라지청, 배 도라지 차, 도라지양갱 |
출처 | 농식품정보누리 농촌진흥청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대한민국 식재총람 |
---|
이런 효능이
호흡기 질환
- 항염작용을 하는 이눌린 성분으로 인해 기관지 염증 치료가능
혈액 순환 개선
-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여 혈액을 맑게 해주고 혈관을 튼튼하게 도와줌
- 칼륨이 들어있어 나트륨 배설을 도와 혈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줌
골격 강화 및 골다공증 개선
- 칼슘이 많이 들어있어 어린이 성장과 어르신의 골다공증 개선에 도움
빈혈 증상 개선
- 철분이 풍부하여 피를 만드는데 도움
면역력 증강
이런 영양이 (100g 생것 기준)
출처 | 농촌진흥청 농식품정보누리 |
---|
미디어
이미지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