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자대표이미지1.png
식량작물 감자

쌀, 밀, 옥수수와 함께 4대 식량 작물 중 하나로 꼽히는 감자는 구황작물이면서 부식의 재료로 다양하게 이용되어온 친숙한 식품이다. 풍부한 비타민 C가 들어있는 감자는 삶거나 구워서 혹은 튀겨 먹기도 하고 알코올과 당면의 원료로 이용되기도 한다.

구분 내용
외국어 표기 Potato(영어)
학명 Salanum tuberosum L
분류

가지과 가지속

원산지 
및 활용역사
- 남아메리카 안데스산맥 중부 고원지대가 원산지로 알려짐
- 잉카 문명 조형물로 보아 4세기 무렵 해당 지역에서 재배 추정
- 1570년경 유럽에 소개되어 1700년대 후반부터 본격 재배
- 우리나라에는 순조 24년 청나라 사람이 가져왔다는 기록이 있음
감자재배 현황 - 전 세계 150여 개국에서 재배되며 연간 2억 4,000만~3억 7,600만톤 생산
- 세계 주요 작물 중 단위 면적당 에너지 공급량과 생산량이 가장 많은 작물로서 생산량이 계속 증가할 전망
- 우리나라에서 재배면적은 감소하였으나, 새로운 품종의 육성과 재배 기술의 발달로 생산성이 높아져 생산량 증가세
- 재배면적 및 생산량 : 23,599ha에서 553,194톤 생산(2020년 기준)
주요특징 - 쌀, 밀, 옥수수와 함께 4대 식량작물
- 대표적인 구황작물로 척박한 환경이나 높은 고도의 산간 지역에서도 잘 자람
- 전 세계 평균 1인당 연간 소비량은 나라별로 다르지만 약 70㎏ 정도
- 감자는 삶거나 굽고, 기름에 튀기는 등 다양한 조리법을 활용하여 요리할 수 있으며, 알코올의 원료와 당면, 공업용 원료로 이용
- 선진국의 경우 전분, 감자칩, 감자튀김 등 다양한 가공 소비로 감자 가공용 이용률이 60% 정도로 높은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 일반 식용 위주로 소비되어 가공용 소비는 약 16% 정도로 낮음

※ 출처 : 농촌진흥청 농업기술길잡이, aT 우수 식재료 디렉토리, 농식품정보누리

감자의 품종

품 종 육성년도 숙 기 내 병 성 용 도
남작 1960 조생 식용
수미 1978 조생 식용, 칩가공용
대지 1978 중만생 식용(2기작)
세풍 1988 중생 프렌치프라이용
조풍 1988 조생 식용
남서 1995 조생 식용
대서 1995 중생 칩가공용
가원 1999 조생 칩가공용
자심 1999 만생 중강 색용(유색감자)
추백 1999 조생 중강 식용(2기작)
조원 2000 조생 식용
자서 2000 조생 식용(자주감자)
추동 2001 중생 식용(2기작)
신남작 2001 조생 식용
가황 2002 조생 칩가공용
추강 2002 중생 식용(2기작)
추영 2004 조중생 식용(2기작)
하령 2005 중생 식용
서흥 2006 중생 식용(붉은감자)
고운 2006 조중생 칩가공용(2기작)
자영 2007 만생 식용(자주감자)
홍영 2007 중만생 식용(붉은감자)

 

국내 주요 감자 품종 정보

종류 사진 내용
수미  ㆍ수미는 1961년 미국에서 육성되어 1975년 우리나라에 도입된  품종으로 봄, 여름 재배의 대표적인 재배 품종
 ㆍ조숙, 내명, 다수성 품종으로 품질이 좋아 식용 및 칩 가공용으로 재배되었고, 국내 수확량의 80%를 차지
대지  ㆍ대지는 1971년 일본에서 육성된 품종으로 우리나라에는 1976년에 도입
 ㆍ봄과 가을에 2번 짓기 재배를 할 수 있는 대표적인 품종으로 식용 전용이며, 봄에는 중만생, 가을에는 조중생으로 잘 자람
 ㆍ수량이 많고 크기가 커 평균 무게가 무거운 편
조풍  ㆍ조풍은 농촌진흥청 고령지 시험장에서 육성된 품종으로 1978년 Resy와 수미 품종의 교배에 의하여 선발
 ㆍ생육기간이 수미보다 빠른 극조생의 식용 품종이며, 덩이줄기가 빨리 굵어지고 상품성 있는 감자의 수량이 조기출하에 적합
 ㆍ점질토양보다 모래참흙에서 기를 때 수량성과 모양이 더욱 좋음
고운 ㆍ1998년 Lemhi Russet과 추백을 교배하여 육성하였고, 2006년 신품종으로 선정되어 고운으로 명명된 품종
ㆍ고운은 남부 지방에서 봄에서 가을까지 두 번 재배할 수 있어 씨감자 생산 및 공급이 다른 품종에 비해 농가 보급이 빠름
ㆍ건물률이 높고 칩색이 밝아서 감자칩 가공용으로 적당함

 

이외 다양한 감자 품종

품종 남서
(1기작 식용)
추백
(2기작 식용)
대서
(감자칩 가공용)
홍영
(기능성 컬러감자)
사진

최근 5개년 생산량 추이(전국)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20
면적(ha) 22,000 20,974 23,402 26,829 23,599
10a당 생산량(kg) 2,526 2,225 2,342 2,573 2,344
생산량(톤) 555,670 466,755 548,065 690,419 553,194

 

주요 국가의 감자 생산 현황

순위 국가 재배면적
(천ha)
생산성
(톤/ha)
생산량
(천 톤)
생산 비율
(%)
1 중국 5,815 17.0 99,122 26.3
2 인도 2,130 20.5 43,770 11.6
3 러시아 2,031 15.3 31,108 8.3
4 우크라이나 1,312 16.9 21,750 5.8
5 미국 408 49.0 19,991 5.3
6 독일 243 44.4 10,772 2.9
7 방글라데시 476 19.9 9,474 2.5
8 폴란드 312 28.4 8,872 2.4
9 프랑스 175 39.0 6,835 1.8
10 네덜란드 156 42.0 6,534 1.7
53 한국 24 26.3 632 0.2
  세계 총계 19,246 19.6 376,827 100

 

그래프 (전국 - 감자 생산액 추이 / 재배면적, 생산량 및 단수 추이)


품목별 도매가격

이용안내

도매시장 중도매인 상회에서 소상인 및 실수요자에게 판매하는 가격입니다.
● 농산물 특성상 크기와 색상 등이 다양하고 저장기간, 기후변화에 따라 동일 등급에도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평년은 5년간(금년 제외) 해당일에 대한 최고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3년 평균값.
● 조사단위가 중량이 아닌 품목(포기, 개, 마리 등)은 kg 단위 환산이 제공되지 않음.
● 본 가격자료는 전국 주요 시장에서 조사된 도소매 평균가격으로 개별 판매처 및 산지, 브랜드, 규격 등에 따라 가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실거래에 있어서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2018.1.8일 부터 깐마늘(국산)은 대서종과 남도종 구분조사·제공합니다. (이전 깐마늘가격은 품종 혼합가격임)2020.6.23일 부터 난지형 피마늘은 대서종과 남도종 구분조사·제공합니다. (이전 난지형 피마늘 가격은 품종 혼합가격임)
(중도매인 판매가격 - 기간별) 식량작물 / 감자 / 수미(전체),   등급 : 상품,   단위 : 20kg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5 2024 2023 2022
1월 49,804 44,963 46,571 40,750
2월 61,296 46,751 45,883 40,764
3월 61,072 48,878 47,928 47,101
4월 53,876 48,174 60,239 65,063
5월 55,223 53,517 66,554 60,901
6월 - 39,167 41,650 39,812
7월 - 31,617 39,184 41,445
8월 - 33,727 39,195 43,974
9월 - 35,320 40,120 44,080
10월 - 34,669 40,635 43,395
11월 - 36,138 41,894 46,093
12월 - 40,034 43,760 46,649
연평균 56,548 40,151 46,183 46,817
(중도매인 판매가격 - 기간별) 식량작물 / 감자 / 수미(노지),   등급 : 상품,   단위 : 20kg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5 2024 2023 2022
1월 41,123 43,231 46,571 40,750
2월 41,928 41,907 45,883 40,764
3월 37,787 45,611 47,928 47,101
4월 39,670 47,550 60,239 65,063
5월 41,375 41,128 66,554 60,901
6월 - 32,095 41,650 39,812
7월 - 31,617 39,184 41,445
8월 - 33,727 39,195 43,974
9월 - 35,320 40,120 44,080
10월 - 34,669 40,635 43,395
11월 - 36,138 41,894 46,093
12월 - 40,034 43,760 46,649
연평균 40,212 38,464 46,068 46,817
(중도매인 판매가격 - 기간별) 식량작물 / 감자 / 수미(시설),   등급 : 상품,   단위 : 20kg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5 2024
1월 67,417 -
2월 71,436 -
3월 71,099 -
4월 67,523 -
5월 59,120 58,278
6월 - 50,388
7월 - -
8월 - -
9월 - -
10월 - -
11월 - -
12월 - -
연평균 68,976 54,434
(중도매인 판매가격 - 기간별) 식량작물 / 감자 / 대지마,   등급 : 상품,   단위 : 20kg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5 2024 2023 2022
1월 64,500 54,606 - 55,198
2월 - 55,011 50,278 52,592
3월 - 55,647 - -
4월 - 57,300 - -
5월 - - - -
6월 - - - -
7월 - - - -
8월 - - - -
9월 - - - -
10월 - - - -
11월 - - - -
12월 - - - -
연평균 64,500 55,294 50,278 53,557
(중도매인 판매가격 - 기간별) 식량작물 / 감자 / 기타(시설),   등급 : 상품,   단위 : 20kg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없습니다.
(중도매인 판매가격 - 기간별) 식량작물 / 감자 / 기타(노지),   등급 : 상품,   단위 : 20kg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없습니다.

품목별 소매가격

이용안내

대형마트, 전통시장 등에서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가격입니다.
● 농산물 특성상 크기와 색상 등이 다양하고 저장기간, 기후변화에 따라 동일 등급에도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평년은 5년간(금년 제외) 해당일에 대한 최고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3년 평균값.
● 경동, 영등포, 부전, 동구, 현대, 양동, 역전, 지동, 중앙, 육거리, 남부, 상남, 신정, 동문시장은 전통시장임.
● 조사단위가 중량이 아닌 품목(포기, 개, 마리 등)은 kg 단위 환산이 제공되지 않음.
● 본 가격자료는 전국 주요 시장에서 조사된 도소매 평균가격으로 개별 판매처 및 산지, 브랜드, 규격 등에 따라 가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실거래에 있어서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22.4.4부터 축산물 소매가격은 축산물품질평가원에서 조회 가능합니다.
(소매가격 - 기간별) 식량작물 / 감자 / 수미(전체),   등급 : 상품,   단위 : 100g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5 2024 2023 2022
1월 383 450 443 387
2월 490 525 493 483
3월 552 543 606 513
4월 545 563 670 565
5월 587 524 631 580
6월 - 374 515 493
7월 - 314 389 431
8월 - 311 346 413
9월 - 305 339 414
10월 - 324 370 418
11월 - 330 379 420
12월 - 352 386 415
연평균 501 399 464 461
(소매가격 - 기간별) 식량작물 / 감자 / 수미(노지),   등급 : 상품,   단위 : 100g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5 2024 2023 2022
1월 342 365 443 387
2월 346 378 493 483
3월 344 384 606 513
4월 345 387 670 565
5월 - 414 631 580
6월 - 357 470 493
7월 - 314 389 431
8월 - 311 346 413
9월 - 305 339 414
10월 - 324 370 418
11월 - 330 373 420
12월 - 352 379 415
연평균 344 351 459 461
(소매가격 - 기간별) 식량작물 / 감자 / 수미(시설),   등급 : 상품,   단위 : 100g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5 2024 2023
1월 467 550 -
2월 572 583 -
3월 605 641 -
4월 600 627 -
5월 587 543 -
6월 - 453 633
7월 - - -
8월 - - -
9월 - - -
10월 - - -
11월 - - -
12월 - - -
연평균 573 577 633
(소매가격 - 기간별) 식량작물 / 감자 / 대지마,   등급 : 상품,   단위 : 100g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4
1월 571
2월 600
3월 539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평균 580
(소매가격 - 기간별) 식량작물 / 감자 / 기타(시설),   등급 : 상품,   단위 : 100g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없습니다.
(소매가격 - 기간별) 식량작물 / 감자 / 기타(노지),   등급 : 상품,   단위 : 100g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4 2023
1월 447 -
2월 - -
3월 - -
4월 - -
5월 - -
6월 - -
7월 - -
8월 - -
9월 - -
10월 - -
11월 - 394
12월 - 398
연평균 447 396

일일동향

(중도매거래) 식량작물/ 감자/ 수미(시설), 2025-05-09, 대구지역

작성자 : 서인지 조사원

    ● 전남 보성, 곡성, 강원 횡성, 평창, 경북 합천지역에서 주로 반입됨
    ● 대구지역은 금일부터 햇품(시설) 위주로 거래되며 저장품의 반입은 없음
    ● 도매가격은 저장감자 20kg 기준 상품 43,000원 중품 39,0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는 햇품(시설) 감자 위주로 거래되며 생산량 증가로 약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식량작물/ 감자/ 수미(노지), 2025-04-28, 대구지역

작성자 : 서인지 조사원

    ● 전남 보성, 곡성, 강원 횡성, 평창, 경북 합천지역에서 주로 반입됨
    ● 전북지역 햇품(시설)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저장 감자 선호도 감소로 약보합세
    ● 도매가격은 20kg 기준 상품 39,000원 중품 30,0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햇품(시설) 감자 선호도 증가로 약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식량작물/ 감자/ 수미(노지), 2025-04-28, 서울지역

작성자 : 윤지인 조사원

    ● 강원도 강릉시·평창군, 경기도 여주시, 경남 밀양시 등지에서 반입됨
    ●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품위하락으로 인해 상품성 불량으로 가격이 하락
    ● 도매 시장 기준 20kg 상품이 56,300원, 중품이 47,000원 선에 거래되며 내림세
    ● 시장 내 반입량 감소하는 추세, 가격의 약보합세를 전망

(중도매거래) 식량작물/ 감자/ 수미(시설), 2025-04-25, 부산지역

작성자 : 김윤태 조사원

    ● 전북 부안, 전남 나주, 영암, 경남 밀양 지역에서 주 출하됨

    ● 기온상승으로 인한 생육활발 등으로 많은 물량이 출하되었고, 고가형성 및 경기영향으로 소비는 부진하여 내림세에 거래됨

    ● 도매가격은 20kg 기준 약 1,000원 내린 상품 66,000원, 중품 56,000원에 거래됨

    ● 향후에도 고가형성과 경기영향 등으로 소비가 부진하여 약보합세에 거래될 전망 

(중도매거래) 식량작물/ 감자/ 수미(노지), 2025-04-23, 대구지역

작성자 : 서인지 조사원

    ● 강원 강릉, 경남 밀양 지역에서 주로 반입됨
    ● 햇감자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아 저장감자 수요가 꾸준함
    ● 도매가격 20kg 기준 상품 42,000원, 중품 33,000원 선에 거래됨
    ● 반입 종료를 앞두고 있어 현재 시세 유지 전망

(중도매거래) 식량작물/ 감자/ 수미(시설), 2025-04-23, 광주지역

작성자 : 이은비 조사원

    ● 경남 밀양시, 전북 김제시, 정읍시에서 주로 반입됨
    ● 성출하기를 맞아 감자 출하량은 안정적인 편이나 소비수요 감소로 인한 시장 적체물량의 증가로 가격 내림세
    ● 도매 시장 기준 20kg 상품이 65,600원, 중품은 53,000원 선에 거래됨
    ● 현재 저장 감자는 반입이 없고, 재고물량도 없어 판매가 되고있지 않아 햇품 위주로 거래되며 소비약진에 의한 약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식량작물/ 감자/ 수미(노지), 2025-04-14, 광주지역

작성자 : 이은비 조사원

    ● 강원도에서 주로 반입됨
    ● 저장 감자의 경우, 장기간 저장으로 인한 품위 저하, 반입량 감소로 인해 고품위 물량의 경우 가격 오름세
    ● 도매 시장 기준 20kg 상품이 37,300원으로 상품은 가격 오름세, 중품은 26,000원 선에 거래되며 보합세 유지중
    ● 현재 저장 감자 반입은 일정하지 않고, 냉해 등으로 품위저하 및 햇품 수요 증가로 약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식량작물/ 감자/ 수미(시설), 2025-04-11, 대구지역

작성자 : 서인지 조사원

    ● 경남 밀양, 제주 지역에서 주로 반입됨
    ● 시장 내 반입량은 일정하나 거래 부진하여 가격 내림세
    ● 도매가격 20kg 기준 상품 62,000원, 중품 57,000원 선에 거래됨
    ● 가격차이로 인한 저장감자 수요가 있어 보합세 전망

(소매거래) 식량작물/ 감자/ 수미(시설), 2025-05-08, 대전지역

작성자 : 황선실 조사원

    ● 전북 김제, 전남 보성, 충남 논산, 충북 옥천, 대전 유성구.서구 등지에서 출하됨
    ● 시설 봄감자 출하지연 물량 출하 및 저장감자 재고물량 출하에 따라 내림세
    ● 전통시장 소매가격 1kg 기준 상품 4,000원, 중품 3,000원 선에서 거래됨
    ● 2월 냉해로 시설감자 생육 지연되었으나, 재배면적 증가하여 노지봄감자 출하전까지 보합세 전망

(소매거래) 식량작물/ 감자/ 수미(노지), 2025-04-24, 광주지역

작성자 : 박지혜 조사원

    ● 강원도에서 주로 반입됨
    ● 잘 부스러지는 햇감자보다 반찬조리용에 적합한 저장감자의 외식업체 꾸준한 수요대비 시장 내 물량 감소로 오름세에 거래됨
    ● 전통시장 소매가격은 100g 기준 상품 33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는 일기호전으로 인한 조리에 사용가능한 더 단단한 햇감자 반입 예정으로 보합세 전망

(소매거래) 식량작물/ 감자/ 수미(시설), 2025-04-24, 대전지역

작성자 : 황선실 조사원

    ● 전북 김제, 경남 함양에서 주 출하됨

    ● 시설하우스와 저장감자 동반 출하중이며, 소비 둔화로 소폭 내림세

    ● 소매가격 100g 기준 상품 433원, 중품 333원 내외 거래됨

    ● 저장감자의 보관기간 한계 도래, 시설감자는 끝물 출하가 다가오면서 상품성 저하로 보합세 전망

(소매거래) 식량작물/ 감자/ 수미(시설), 2025-04-21, 부산지역

작성자 : 윤현우 조사원

    ● 경남 밀양, 전북 김제지역에서 주로 출하됨
    ● 소비 비수기로 거래는 다소 부진하나 지난 주말 대기물량 반입으로 약보합세
    ● 전통시장 소매가격은 10개당 전주대비 10원 내린 상품 440원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산지 기온 상승에 따른 생산량 증가로 약보합세 전망

(소매거래) 식량작물/ 감자/ 수미(시설), 2025-04-18, 광주지역

작성자 : 박지혜 조사원

    ● 경남 밀양, 전북 김제 지역에서 주로 반입됨
    ● 저장감자 물량 품위저하로 인한, 시설 봄감자 수요증가로 오름세로 거래됨
    ● 전통시장 소매가격은 100g 기준 상품 500원, 중품 4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 햇감자 출하량이 증가할것으로 예상되나, 수요에 큰 변동이 없을것으로 예상되어 보합세 전망

유통단계별 거래형태

도매시장

- 도매시장에서는 주로 20kg 1박스 단위로 거래됨

 

전통(소매)시장

- 소매시장에서는 주로 벌크 형태나, 바구니에 담겨 1kg 단위 가격으로 거래됨

 

대형유통업체

- 대형 유통 업체에서는 주로 1kg, 1.2kg 1봉 단위로 포장되어 판매되거나 벌크 형태로 판매됨

주요 반입되는 지역

주요 출하지역(‘21년 가락시장 기준)

- 주 출하도는 ① 강원도 ② 전라북도 ③ 충청남도 순

- 시·군은 ① 강원 평창군 ② 전북 김제시 ③ 전남 보성군 순

- 총 반입량 중 3개 도에서 65.69%, 3개 시·군에서 40.91%가 출하됨

 

순위 도별 시군별
지역 비율(%) 지역 비율(%)
1 강원도 37.9 강원 평창군 22.3
2 전라북도 15.8 전북 김제시 11.0
3 충청남도 12.1 전남 보성군 7.5
4 전라남도 10.2 충남 당진시 6.2
5 경상북도 10.0 충남 서산시 4.6

 

감자 지역별 출하비율 및 월별 반입 동향(‘21년 가락시장 기준)

<감자 지역별 출하비율>

<감자 반입량 및 거래 금액>

(단위 : 백만원, 톤)

 

월별 주요 출하지역(‘21년 가락시장 기준)

월 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주요 출하지

강원

평창

강원

평창

강원

평창

전북

김제

전북

김제

충남

당진

강원

평창

강원

평창

강원

평창

강원

평창

강원

평창

강원

평창

구성비 (%) 23.7 25.1 25.8 39.7 36.1 25.0 20.9 45.3 47.4 45.5 39.6 24.0

표준규격 출하율

부류별
표준규격포장 출하율(%) 데이터저장
구분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전체 73.6 75.7 76.5 76.8 77.2 80.5 84.5 85.3 84.2 80.6
과일류 98.5 95.4 94.1 96.8 97.2 97.5 97.2 98.2 98.1 94.4
과채류 78.4 72.7 68.8 74.4 75.4 80.1 85.2 87.8 78.0 79.5
양념류 26.6 29.4 38.6 55.9 70.0 70.0 71.3 71.5 71.0 66.0
엽근채류 74.1 78.3 78.9 76.8 63.6 73.5 79.8 78.5 83.9 78.3
서 류 95.4 96.7 93.7 93.7 96.6 97.1 98.4 99.5 95.6 88.4
화훼류 82.9 85.0 88.2 84.9 87.5 88.2 91.2 92.3 92.9 96.4
품목별
표준규격포장 출하율(%) 데이터저장
구분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사 과 99.0 99.0 94.5 95.5 97.2 98.8 97.0 96.4 97.0 82.6
97.8 98.5 98.7 95.6 89.1 92.7 96.2 99.7 99.3 99.0
단 감 98.2 98.7 99.5 99.6 99.9 100.0 99.5 99.6 97.7 98.9
감 귤 99.0 87.8 88.6 98.6 99.1 98.2 96.1 97.1 98.9 99.8
복숭아 99.3 100.0 100.0 98.6 99.6 100.0 98.2 99.2 96.9 98.3
자 두 92.0 91.7 93.7 100.0 97.0 99.8 100.0 100.0 99.7 99.7
포 도 97.9 98.5 95.7 94.5 98.9 97.7 99.2 99.6 98.5 97.3
참다래 94.9 97.2 80.7 78.8 93.7 92.1 100.0 100.0 100.0 96.4
풋고추 98.7 99.6 100.0 98.2 99.2 96.8 98.2 99.4 99.8 99.9
오 이 91.8 93.7 94.8 91.7 98.2 96.9 92.4 83.2 90.8 81.4
호 박 93.3 95.1 94.3 96.1 97.8 95.9 92.8 98.0 89.4 83.9
가 지 92.5 94.7 87.5 72.3 95.5 91.1 94.9 99.8 96.4 88.6
토마토 99.1 99.4 97.0 98.9 99.8 98.0 98.9 100.0 94.8 95.2
방울토마토 98.2 100.0 96.0 96.7 88.9 99.4 97.8 99.4 98.7 96.1
참외 98.9 99.9 98.0 97.8 96.9 99.3 100.0 100.0 100.0 99.4
딸기 72.8 71.7 79.7 76.3 64.1 72.7 95.2 97.2 90.1 79.2
수박 12.7 7.9 9.0 1.8 12.0 9.6 12.8 6.6 2.6 10.0
조롱수박 100.0 100.0 100.0 50.0 - - - - - -
메 론 95.4 96.8 93.0 94.6 98.9 91.9 99.6 100.0 89.7 98.3
피 망 98.3 99.0 98.8 99.1 99.8 100.0 99.7 99.7 99.9 95.3
건고추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양 파 29.2 34.0 52.3 71.4 91.8 95.1 96.1 95.9 99.2 96.6
마 늘 85.0 91.7 76.7 58.8 73.1 84.3 93.6 100.0 97.2 95.2
대 파 0.2 0.3 0.0 0.0 0.0 0.0 0.0 0.3 0.2 0.2
쪽 파 28.7 25.6 19.9 24.5 18.4 39.2 29.4 21.6 5.6 17.9
81.2 89.4 90.3 86.6 97.1 97.5 97.4 98.9 95.8 94.7
열 무 41.1 34.1 28.7 25.0 38.8 47.1 38.2 23.6 8.8 -
총각무 0.0 0.0 0.0 0.0 0.0 0.2 2.4 0.0 0.0 0.4
배 추 69.0 72.4 67.4 71.2 42.1 73.5 76.0 74.0 94.3 87.0
얼갈이배추 41.3 45.7 50.4 43.1 43.4 56.6 62.2 61.2 43.6 -
양배추 98.0 97.4 92.7 88.5 20.1 57.8 70.0 83.7 84.5 78.4
당 근 87.9 79.8 60.5 76.4 96.9 97.7 98.1 98.9 95.3 89.9
시금치 54.4 52.5 58.4 55.1 83.1 72.2 66.3 48.8 72.4 77.0
상 추 93.5 95.3 82.8 85.9 97.6 96.4 94.5 95.8 97.6 78.0
깻 잎 78.8 70.1 62.5 71.9 85.7 83.0 83.2 92.5 85.6 73.4
부 추 40.2 51.6 61.7 50.3 16.2 34.5 34.8 15.9 38.8 27.6
쑥 갓 78.7 85.3 89.0 92.6 96.9 99.4 98.8 100.0 92.5 94.7
미나리 56.1 45.8 51.5 52.6 40.2 49.7 47.8 25.3 14.9 6.7
감 자 99.1 99.9 95.4 96.2 98.3 100.0 99.1 100.0 99.5 94.7
고구마 80.9 85.9 89.4 87.2 92.4 89.7 96.4 98.1 86.3 82.8
국 화 79.8 82.1 86.7 82.6 86.5 86.5 88.2 89.4 90.6 96.0
카네이션 95.3 98.2 98.7 91.1 94.5 94.8 96.6 99.0 97.7 99.3
장 미 86.7 88.4 88.3 89.1 91.6 92.6 96.9 97.5 98.3 97.3
백 합 87.7 87.5 88.4 88.3 81.1 81.2 90.7 93.6 92.9 93.4
글라디올라스 78.1 67.1 71.8 68.5 69.0 73.7 79.7 92.1 85.9 88.0
거베라 98.8 99.1 99.6 93.6 92.3 98.5 91.2 99.3 98.2 99.5

포장화율

부류별
포장화율(%) 데이터저장
구분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전체 92.9 92.4 94.6 93.8 91.8 92.0 93.0 93.2 92.0 92.1
과일류 100.0 100.0 100.0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과채류 85.3 76.6 78.5 84.4 83.2 84.3 89.2 92.1 88.2 93.0
양념류 75.4 76.9 74.5 81.6 84.0 82.3 82.5 82.0 80.9 72.5
엽근채류 95.5 97.0 98.9 96.3 93.1 94.1 94.0 93.0 93.3 96.3
서 류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화훼류 99.7 100.0 100.0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품목별
포장화율(%) 데이터저장
구분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사 과 100.0 100.0 100.0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단 감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감 귤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복숭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 두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포 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참다래 100.0 100.0 100.0 100.0 97.1 100.0 100.0 100.0 100.0 100.0
풋고추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오 이 100.0 100.0 100.0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호 박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가 지 100.0 100.0 100.0 100.0 100.0 - 100.0 100.0 100.0 100.0
토마토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방울토마토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참 외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딸 기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99.4
수 박 22.3 9.6 29.0 24.8 31.1 11.1 17.6 19.0 32.6 45.6
조롱수박 100.0 100.0 100.0 100.0 - - - - - -
메 론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피 망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건고추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양 파 96.3 99.1 97.5 99.8 100.0 100.0 99.7 100.0 99.9 100.0
마 늘 100.0 100.0 99.0 100.0 100.0 96.1 99.1 100.0 98.1 100.0
대 파 0.2 0.6 8.3 6.2 19.5 7.5 2.1 6.4 11.1 4.1
쪽 파 38.0 35.0 56.8 54.5 34.5 66.0 53.2 36.0 39.7 35.7
배 추 100.0 100.0 100.0 100.0 99.7 100.0 100.0 100.0 100.0 100.0
얼갈이배추 68.2 76.7 90.7 84.3 90.2 85.2 84.2 90.3 98.3 -
양배추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93.0 95.9 99.8 94.4 98.8 98.4 97.7 99.7 96.9 99.1
열 무 69.4 77.7 77.5 76.2 57.3 82.2 78.6 73.2 75.2 -
총각무 0.0 0.0 32.4 31.7 1.1 6.4 2.4 1.1 20.7 4.9
당 근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시금치 98.1 99.6 99.5 98.0 93.5 91.2 90.6 88.4 99.6 93.8
상추 99.8 100.0 99.8 99.2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깻 잎 100.0 100.0 100.0 100.0 100.0 99.9 100.0 99.2 99.6 99.7
부 추 96.2 98.5 92.5 74.2 41.5 59.7 44.3 22.0 54.1 96.8
쑥 갓 97.7 100.0 99.8 99.8 99.6 100.0 100.0 100.0 98.5 99.1
미나리 93.0 91.3 94.7 91.6 94.8 95.6 85.1 75.9 84.9 92.3
감 자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고구마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국 화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카네이션 100.0 100.0 100.0 96.6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장 미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백 합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글라디올라스 78.1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거베라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품목별 유통실태

품목별 유통실태 정보 - 번호, 품목, 연도, 관련자료로 구성
번호 품목 연도 관련자료
22 가을감자 2022 년 자료 다운로드
21 가을감자 2020 년 자료 다운로드
20 가을감자 2018 년 자료 다운로드
19 가을감자 2016 년 자료 다운로드
18 가을감자 2014 년 자료 다운로드
17 가을감자 2013 년 자료 다운로드
16 가을감자 2012 년 자료 다운로드
15 가을감자 2011 년 자료 다운로드
14 가을감자 2010 년 자료 다운로드
13 가을감자 2009 년 자료 다운로드
12 가을감자 2008 년 자료 다운로드
11 가을감자 2007 년 자료 다운로드
10 가을감자 2006 년 자료 다운로드
9 가을감자 2005 년 자료 다운로드
8 가을감자 2004 년 자료 다운로드
7 가을감자 2003 년 자료 다운로드
6 가을감자 2002 년 자료 다운로드
5 가을감자 2001 년 자료 다운로드
4 가을감자 2000 년 자료 다운로드
3 가을감자 1999 년 자료 다운로드
감자 고르는 tip

ㆍ들었을 때 묵직하면서 단단한 것을 고른다. 표면에 흠집이 적고 껍질에 주름이 없는 것이 좋음

 

보관은 이렇게

ㆍ통풍이 잘되고 서늘하면서 직사광선을 피해야 하며 온도는 1~4℃ 사이로 유지

 

손질은 이렇게

ㆍ흙을 털어내고 깨끗이 씻은 뒤 감자의 껍질을 벗긴 후 용도에 맞게 사용

 

옥수수 감자 옹심이

재료 준비하기   감자 갈아 수분 빼기   옹심이 만들기
       
옥수수 감자 옹심이 완성   옹심이 끓이기   육수 준비하기

ㆍ재료 준비하기
   - 재료: 감자, 알 옥수수, 청고추, 홍고추, 전분
   - 육수: 멸치, 다시마, 마늘, 대파, 소금 
 

ㆍ감자 갈아 수분 빼기
   - 감자를 씻어 껍질을 벗기고 강판에 갈아준 다음, 수분을 뺌
 

ㆍ옹심이 만들기
   - 수분을 빼둔 감자에 알 옥수수를 넣고 옹심이를 만든 다음 전분에 굴려줌
 

ㆍ육수 준비하기
   - 냄비에 물과 육수 재료를 모두 넣고 20분 정도 끓인 다음 채에 걸러 줌.
 

ㆍ옹심이 끓이기
   - 육수에 옹심이를 넣고 끓인 다음 옹심이가 떠오르면 어슷썬 홍고추, 청고추를 넣어 줌
 

ㆍ옥수수 감자 옹심이 완성하기
   - 옹심이와 육수를 적당한 크기의 국그릇에 옮겨 담아주면 완성


이런 효능이

비타민의 왕

- 감자는 비타민C가 풍부해 피부 미용, 노화 방지, 항염증, 항산화 효과가 탁월하고 비타민C는 철분과 결합하여 장에서의 흡수를 돕기 때문에 빈혈을 방지하는 효과
- 감자를 찌거나 삶아도 전분 입자들이 막을 형성해 비타민의 파괴를 막아줘 손실이 적음

고혈압 예방 효과

- 감자는 칼륨 함량이 높은데, 칼륨은 우리 혈액 속에 과잉으로 집적된 나트륨 성분을 몸 밖으로 배출시켜주는 펌프 역할을 하여 고혈압 등 성인병을 예방

다이어트 효과

- 감자의 열량은 같은 양의 쌀밥의 절반에 불과하고, 낮은 열량으로도 포만감이 있어 비만을 예방하는 우수한 다이어트 식품임

천연생리 활성 효과

- 감자는 예로부터 가벼운 화상, 전염성 농가진, 습진 등을 치료하는 데 민간요법으로 쓰여 왔으며, 특히 감자 생즙 요법은 위염이나 위·십이지장궤양 같은 위장병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

 

이런 영양이 (100g당 / 감자, 수미, 생것)

영 양 분 함 량 영 양 분 함 량 영 양 분 함 량
에너지 kcal 70 수용성 식이섬유 g 0.5 칼 슘 6
수 분 g 81.1 불용성 식이섬유 g 1.2 0.4
단백질 g 1.93 총 아미노산 1610 마그네슘 20
지 질 g 0.03 비타민B1 0.034 62
회 분 g 0.87 비타민B2 0.038 칼 륨 335
탄수화물 g 16.07 니아신 0,447 나트륨 1
총 지방산 g 0.03 비타민C 4.47 아 연 0.38
폐기율 % 11 비타민E 0.01 구 리 0.134

미디어








2015년 7월 25일자 SBS 토요특집 출발! 모닝와이드 알뜰장보기 방영



2014년 4월 26일자 SBS 토요특집 출발! 모닝와이드 알뜰장보기 방영



2013년 04월 20일자 SBS 토요특집 출발! 모닝와이드 알뜰장보기 방영



2012년 11월 20일자 SBS 토요특집 출발! 모닝와이드 알뜰장보기 방영



2014년 01월06일자 SBS 토요특집 출발! 모닝와이드 알뜰장보기 방영

이미지

데이터가 없습니다.



동영상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