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JPG
채소류 수박

수박은 약 90%가 수분으로 이루어져 섭취 시 수분 공급에 큰 도움이 되며 과즙에는 인체에 유익한 전해질로 가득 차 있어서 열사병 예방에도 도움이 되구요~ 시트룰린이라는 특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어 단백질을 요소로 바꿔주고 소변으로 배출되는데 효과가 커 신장기능이 좋지 않은 사람들에게 도움이됩니다. 또한, 수박씨에는 불포화 지방산인 리놀레산이 들어있어 동맥경화 예방에 좋으며 단백질, 비타민 등도 포함되어있어 호박씨같이 말려서 먹으면 건강에도 도움이 됩니다.

구분 내용
학명 Citrullus vulgaris(레몬류의 열매)
영명 Watermelon
분류 박과(Cucurbitaceae)

원산지 및 활용역사

- 원산지는 남아프리카 중앙부 칼라하리 사막과 주변의 사바나 지대로 추정됨
- 고대 이집트 그림에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약 4천년 전부터 재배가 시작됨
- 고려말 홍다구라는 사람에 의해 개성에서 처음 재배되면서 국내에 전해졌으며,  조선시대에 와서 보편화됨

환경조건

- 낮 동안의 일사량이 충분할 경우 적정 온도는 25~30℃, 야간 광합성산물의 이동에 알맞은 온도는 16~20℃, 땅 온도는 23~30℃가 적당함 
- 10℃ 전후의 저온이 되면 생장점에 장해를 받아 순 멎이 형상이 나타남
- 토심이 깊고 공기가 잘 통하며 물 빠짐이 좋은 약산성 토양에서 잘 자람

재배특징 - 수박은 연작장해를 비롯한 환경 스트레스와 병해에 약하기 때문에 박이나 호박을 대목으로 이용하는 접목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음
- 연작을 싫어하는 기지성(忌地性)이 강한 작물로 반드시 윤작을 해야 함
- 오늘날에는 일반재배는 물론 시설원예를 통한 연중재배가 이루어짐

※ 출처 : 농사로, 농촌진흥청

이런 종류가 있어요

구분 내용
- 과중 : 5~12kg
- 과형 : 구형
- 과피/과육 : 짙은 녹색 바탕 줄무늬/붉은색
- 당도 : 10°Bx
- 출하 : 6월말~8월
- 품종 : 신대화3호 중심 대화계 1대 잡종
줄무늬 수박
- 과중 : 5~7kg
- 과형 : 타원형
- 과피/과육 : 검은 바탕 줄무늬/붉은색이나 노란색
- 당도 : 11°Bx
- 출하 : 4~5월
흑피수박
- 과중 : 5~7kg
- 과형 : 타원형
- 과피/과육 : 황색 바탕에 줄무늬가 적음/붉은색
- 출하 : 8~9월
황색수박
- 과중 : 2~3kg
- 과형 : 타원형
- 과피/과육 : 껍질이 얇고 선명한 줄무늬/붉은색
- 출하 : 5~7월
복수박
- 과중 : 300g~1.2kg
- 과형 : 구형
- 과피/과육 : 껍질이 얇고 선명한 줄무늬/붉은색
- 출하 : 5~7월
애플수박
- 과중 : 2~4kg
- 과형 : 타원형
- 과피/과육 : 진한 바탕 줄무늬 흐릿/샛노란색
- 출하 : 4~5월
- 품종 : 슈퍼골드
망고수박
- ‘푸렝’이라고 불림
- 과중 : 10~30kg
- 과형 : 타원형
- 과피 : 색이 진하고 검은 줄무늬가 없음
- 과육 : 붉은색
- 출하 : 8월 ~ 9월, 무등산 일대 또는 광주 북구
무등산수박

품목별 도매가격

이용안내

도매시장 중도매인 상회에서 소상인 및 실수요자에게 판매하는 가격입니다.
● 농산물 특성상 크기와 색상 등이 다양하고 저장기간, 기후변화에 따라 동일 등급에도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평년은 5년간(금년 제외) 해당일에 대한 최고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3년 평균값.
● 조사단위가 중량이 아닌 품목(포기, 개, 마리 등)은 kg 단위 환산이 제공되지 않음.
● 본 가격자료는 전국 주요 시장에서 조사된 도소매 평균가격으로 개별 판매처 및 산지, 브랜드, 규격 등에 따라 가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실거래에 있어서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2018.1.8일 부터 깐마늘(국산)은 대서종과 남도종 구분조사·제공합니다. (이전 깐마늘가격은 품종 혼합가격임)2020.6.23일 부터 난지형 피마늘은 대서종과 남도종 구분조사·제공합니다. (이전 난지형 피마늘 가격은 품종 혼합가격임)
(중도매인 판매가격 - 기간별) 채소류 / 수박 / 수박,   등급 : 상품,   단위 : 1개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5 2024 2023 2022
1월 22,466 32,836 19,420 17,388
2월 22,520 35,035 28,016 18,413
3월 24,423 33,187 26,293 19,098
4월 22,935 32,423 20,651 19,334
5월 20,552 22,953 20,009 21,510
6월 18,360 17,600 17,889 17,503
7월 22,610 20,252 20,731 23,007
8월 - 28,106 29,441 24,645
9월 - 23,404 22,250 18,900
10월 - 20,163 15,200 16,227
11월 - 19,712 15,776 16,916
12월 - 22,867 17,719 18,270
연평균 21,947 25,730 21,206 19,331

품목별 소매가격

이용안내

대형마트, 전통시장 등에서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가격입니다.
● 농산물 특성상 크기와 색상 등이 다양하고 저장기간, 기후변화에 따라 동일 등급에도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평년은 5년간(금년 제외) 해당일에 대한 최고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3년 평균값.
● 경동, 영등포, 부전, 동구, 현대, 양동, 역전, 지동, 중앙, 육거리, 남부, 상남, 신정, 동문시장은 전통시장임.
● 조사단위가 중량이 아닌 품목(포기, 개, 마리 등)은 kg 단위 환산이 제공되지 않음.
● 본 가격자료는 전국 주요 시장에서 조사된 도소매 평균가격으로 개별 판매처 및 산지, 브랜드, 규격 등에 따라 가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실거래에 있어서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22.4.4부터 축산물 소매가격은 축산물품질평가원에서 조회 가능합니다.
(소매가격 - 기간별) 채소류 / 수박 / 수박,   등급 : 상품,   단위 : 1개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5 2024 2023 2022
1월 27,935 25,594 22,600 23,905
2월 29,016 32,086 25,350 24,513
3월 28,667 32,161 - 27,016
4월 26,774 30,404 25,901 24,697
5월 22,611 23,871 20,963 21,877
6월 22,309 21,330 20,517 21,043
7월 23,418 22,300 22,187 22,576
8월 - 30,243 28,516 26,687
9월 - 28,034 28,000 26,321
10월 - 26,121 21,265 22,262
11월 - 25,979 20,677 22,762
12월 - 26,862 21,312 24,025
연평균 26,170 27,029 23,294 23,869

일일동향

(중도매거래) 채소류/ 수박/ 수박, 2025-07-04, 서울지역

작성자 : 배소은 조사원

    ● 주로 충북 음성,  전북 고창군 등지에서 반입됨
    ● 금일 시장 내 반입이 다소 적었던 편으로 가격 소폭 오름세
    ● 도매가격 10kg 상품기준 전일대비 약 1~2천원 오른 19,000~25,000원 사이에 거래됨
    ● 점차 날씨 더워지며 소비 수요가 증가하여 가격은 강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수박/ 수박, 2025-07-03, 부산지역

작성자 : 김윤태 조사원

    ● 부산, 경남 창원, 의령, 밀양, 경북 봉화, 전북 고창 지역에서 주 출하됨
    ● 무더위로 인한 일반소비자의 소비증가와 상인들의 물량확보 수요증가로 전일에 이어 오름세가 계속되고 있음
    ● 도매가격은 1개 기준 약 3,500~4,000원 오른 상품 23,500원, 중품 21,000원에 거래됨
    ● 향후에도 무더위로 소비가 활발하여 강보합세에 거래될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수박/ 수박, 2025-07-02, 부산지역

작성자 : 김윤태 조사원

    ● 부산, 경남 의령, 창원 지역에서 주 출하됨
    ● 무더위로 인한 소비증가와 상인들의 물량확보 수요 등으로 시중거래가 활발하여 오름세에 거래됨
    ● 도매가격은 1개 기준 약 1,000원 오른 상품 20,000원, 중품 17,000원에 거래됨
    ● 향후에도 소비증가로 강보합세에 거래될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수박/ 수박, 2025-07-01, 서울지역

작성자 : 배소은 조사원

    ● 주로 전북 고창, 충북 음성 등지에서 반입됨
    ● 금일 시장 내 반입이 다소 적었던 편으로 가격 소폭 오름세
    ● 도매가격 10kg 상품기준 전주대비 소폭 올라 약 21~24,000원 선에 거래됨
    ● 본격적인 출하시기로 시장 내 공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가격은 약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수박/ 수박, 2025-07-01, 대구지역

작성자 : 서인지 조사원

    ● 경남 의령, 함양, 진주, 창원, 경북 성주, 영천, 청도, 봉화, 충남 논산, 충북 음성지역에서 출하됨
    ● 고온으로 인한 작업 부진으로 시장 반입량 감소하여 가격 오름세
    ● 도매가격 1개 기준 상품(10kg) 19,500원, 중품(8kg) 18,5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 공급량 증가 및 제철 소비량 증가로 가격 약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수박/ 수박, 2025-07-01, 부산지역

작성자 : 김윤태 조사원

    ● 경남 함안, 진주, 합천, 충남 논산지역에서 주로 반입됨
    ● 부산지역 무더위가 이어지면서 가정내 소비량 증가와 거래 증가로 강보합세
    ● 도매가격은 개당 상품 19,100원 중품 15,800원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여름 주소비철을 맞아 거래량 증가로 강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수박/ 수박, 2025-06-27, 광주지역

작성자 : 정승원 조사원

    ● 전북 고창군, 광주광역시, 전남 나주시에서 주로 출하됨
    ● 출하량은 늘었으나 품위가 저하된 물량이 일부 반입되며, 가격 내림세
    ● 도매시장 가격 기준 10kg 내외 상품 18,000원, 8kg 내외 중품 15,600원 대에 거래
    ● 향후, 산지 출하량은 소폭 증가할 것으로 보이나 무더위가 본격 시작되며 수요의 변화 가능성이 있어 보합권 내 등락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수박/ 수박, 2025-06-23, 서울지역

작성자 : 배소은 조사원

    ● 주로 경남 의령, 전북 고창 등지에서 반입됨
    ● 본격적인 출하시기를 맞아 단위가 점차 커지고 공급도 늘어 가격은 보합세
    ● 도매가격 10kg 기준 약 23,000원 선에 거래됨
    ● 다양한 중량대의 물량 공급이 증가하고 소비 수요도 함께 높은 시기로, 가격은 일정 범위 내 등락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수박/ 수박, 2025-06-23, 대구지역

작성자 : 서인지 조사원

    ● 경남 의령, 함양, 진주, 창원, 경북 성주, 영천, 청도, 봉화, 충남 논산, 충북 음성지역에서 주로 출하됨
    ● 출하성수기로 과실 비대, 출하량 증가하며 가격 내림세
    ● 도매가격은 1개 기준 상품(10kg) 17,000원, 중품(8kg) 16,0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 장마 기간 전까지는 산지 생산량 증가로 약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수박/ 수박, 2025-06-19, 대전지역

작성자 : 황유진 조사원

    ● 주로 부여, 음성, 논산 등에서 반입됨
    ● 금일 도매시장 반입량 증가에 따라 가격은 내림세에 거래됨
    ● 도매시장 1개 기준 상품은 전일대비 300원 내린 17,000원, 중품은 1,700원 내린 13,3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 여름철 출하량 증가 예상되면서 가격은 약세가 전망됨

(중도매거래) 채소류/ 수박/ 수박, 2025-06-16, 대구지역

작성자 : 서인지 조사원

    ● 경남 진주, 함안, 합천, 경북 경주 지역에서 주로 반입됨
    ● 출하성수기로 산지 출하량 꾸준히 증가하며 가격 약보합세
    ● 도매가격은 1개 상품(8kg) 기준 17,800원, 중품(6kg) 기준 13,1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생육호조로 출하량 증가 예상되어 약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수박/ 수박, 2025-06-13, 광주지역

작성자 : 이은비 조사원

    ● 전북 고창군, 부안군, 경남 함안군 지역에서 주로 반입됨
    ● 기상호조에 따른 출하량 증가 및 출하지역의 확대로 가격 내림세에 거래됨
    ● 소매시장에서 1개 기준 상품(8kg) 22,0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출하 성수기를 맞아 산지 생산량 증가로 약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수박/ 수박, 2025-06-11, 대구지역

작성자 : 서인지 조사원

    ● 경남 진주, 함안, 합천, 경북 경주 지역에서 주로 반입됨
    ● 산지 기온상승으로 출하량과 시장 반입량 증가하여 약보합세
    ● 도매가격은 1개 상품(8kg) 기준 17,8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생육호조로 출하량 증가 예상되어 약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수박/ 수박, 2025-06-10, 서울지역

작성자 : 배소은 조사원

    ● 주로 충북 음성, 진천, 전북 고창 등지에서 반입됨
    ● 본격적인 출하시기가 다가오며 공급량도 서서히 늘어 가격 소폭 내림세
    ● 도매가격 8kg 상품기준 전일대비 약 1천원 떨어진 19,000원선에 거래됨
    ● 6월말부터 수박이 가장 많이 출하되고 소비 또한 증가해 가격은 소폭 변동

(소매거래) 채소류/ 수박/ 수박, 2025-07-04, 대구지역

작성자 : 장영은 조사원

    ● 경남 의령, 함양, 진주, 창원, 경북 성주, 영천, 청도, 봉화, 충남 논산, 충북 음성지역에서 출하됨
    ● 고온으로 인한 작업 부진으로 시장 반입량 감소하여 가격 오름세
    ● 전통시장 소매가격은 1개 기준 상품(10kg)  27,300원, 중품(8kg) 25,300원에 거래되어 전주보다 각각 3,300원, 2,200원 상승함
    ● 향후 공급량 증가 및 제철 소비량 증가로 가격 약보합세 전망

(소매거래) 채소류/ 수박/ 수박, 2025-06-25, 대전지역

작성자 : 황선실 조사원

    ● 충북 음성. 영동, 충남 논산, 대전시 동구 등지에서 주 출하됨
    ● 장마기간 폭우로 피해 발생 예상되고, 당도가 낮아짐에 따라 작업물량 증가
    ● 전통시장 소매가격 1개 기준 상품 26,300원, 중품 21,700원 내외로 거래됨
    ● 크기가 큰 상품보다는 작은 수박의 기호도가 높아져 상품과 중품의 가격차는 더 좁혀질 것으로 전망

(소매거래) 채소류/ 수박/ 수박, 2025-06-24, 부산지역

작성자 : 윤현우 조사원

    ● 경남 함안, 진주, 창원지역에서 주로 출하됨
    ● 최근 잦은 우천(장마)으로 시장 내 별다른 거래 변화 없이 보합세
    ● 전통시장 소매가격은 1개 기준 상품 20,700원, 중품 17,6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는 장마기간에 따른 가정내 소비량 감소로 약보합세 전망

(소매거래) 채소류/ 수박/ 수박, 2025-06-19, 광주지역

작성자 : 이은비 조사원

    ● 전북 고창군, 광주광역시, 전남 나주시에서 주로 출하됨
    ● 지난주 우천으로 상품성이 하락, 반입량 감소로 고품위 수박의 경우 가격 소폭 오름세
    ● 전통시장 소매가격은 1개당 상품 20,500원, 중품 18,6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 과실 비대 및 출하량 증가가 예상되어 약보합세 전망

(소매거래) 채소류/ 수박/ 수박, 2025-06-17, 대전지역

작성자 : 황선실 조사원

    ● 경남 의령.합천, 충남 논산.공주, 충북 음성, 전남 나주 등지에서 반입됨
    ● 기온 상승으로 인해 출하물량 증가하나 소비수요 크게 늘지 않아 내림세
    ● 전통시장 소매가격 1통 기준 상품 22,700원, 중품 17,500원 내외로 거래됨
    ● 장마로 인해 강수량이 많을 경우 당도가 낮아져 약보합세 전망

(소매거래) 채소류/ 수박/ 수박, 2025-06-17, 부산지역

작성자 : 윤현우 조사원

    ● 경남 창원, 함안, 의령, 진주지역에서 주로 출하됨
    ● 산지 출하성수기로 시장내 반입량이 증가하나 흐린날씨와 우천으로 소비는 감소하여 약보합세
    ● 전통시장 소매가격은 1개당 전일대비 1,500원 내린 상품 20,200원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성수기에 따른 산지 출하량 증가로 약보합세 전망

(소매거래) 채소류/ 수박/ 수박, 2025-06-09, 광주지역

작성자 : 이은비 조사원

    ● 전북 고창군, 부안군, 경남 함안군 지역에서 주로 반입됨
    ● 일조량의 증가, 기온상승 등으로 출하량 및 출하지역이 확대되어 내림세에 거래됨
    ● 소매시장에서 1개 기준 상품이 22,200원, 중품 20,0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 무더위가 계속되며 수박 수요의 증가, 성출하기로 인한 출하량 증가로 인해 보합권 내 등락 전망

유통단계별 거래형태

도매시장

- 성출하기(여름철)에는 전량 벌크로 반입되어, 중량별 구분 후 경매 실시

- 10kg 1개는 21,000원, 8kg 1개는 18,000원 선에 거래되고 있음 (2022.07.20. 기준)

 

전통(소매)시장

- 매대에 10kg, 8kg 중량으로 나뉘어 진열되어 거래되고 있음

- 10kg 1개는 25,300원, 8kg 1개는 22,300원 선에 거래되고 있음 (2022.07.19. 기준)

 

대형유통업체

- 매대에 8kg 미만, 9kg 미만, 10kg 미만 중량으로 나뉘어 진열되어 거래되고 있음

- 8kg 미만 1개는 16,900원, 9kg 미만 1개는 17,900원, 10kg 미만 1개는 18,900원 선에 거래되고 있음 (2022.07.19. 기준)

주요 반입되는 지역

주요 출하지역(‘21년 가락시장 기준)

• 주 출하도는 ① 충청북도 ➁ 경상남도 ➂ 경상북도 순

• 시·군은 ① 충북 음성군 ➁ 강원 양구군 ➂ 경남 함안군 순

• 총 반입량 중 3개 도에서 69.93%, 3개 시군에서 60.26%가 출하

 

순위 도별 시군별
지역 비율(%) 지역 비율(%)
1 충청북도 41.7 충북 음성군 38.3
2 경상남도 14.5 강원 양구군 11.2
3 경상북도 13.7 경남 함안군 10.8
4 강원도 11.5 경북 고령군 7.8
5 전라북도 8.7 전북 고창군 4.9

 

수박 지역별 출하비율 및 전국 월별 반입량(‘21년 기준)

 

월별 주요 출하지역(‘21년 가락시장 기준)

월 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주요 출하지

경남

함안

경남

함안

경남

함안

경남

함안

경북

고령

충북

음성

충북

음성

강원

양구

충북

음성

충북

음성

전북

고창

경남

함안

반입량 (톤) 364 409 475 2,108 9,325 14,971 14,382 7,214 1,505 492 372 303

표준규격 출하율

부류별
표준규격포장 출하율(%) 데이터저장
구분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전체 73.6 75.7 76.5 76.8 77.2 80.5 84.5 85.3 84.2 80.6
과일류 98.5 95.4 94.1 96.8 97.2 97.5 97.2 98.2 98.1 94.4
과채류 78.4 72.7 68.8 74.4 75.4 80.1 85.2 87.8 78.0 79.5
양념류 26.6 29.4 38.6 55.9 70.0 70.0 71.3 71.5 71.0 66.0
엽근채류 74.1 78.3 78.9 76.8 63.6 73.5 79.8 78.5 83.9 78.3
서 류 95.4 96.7 93.7 93.7 96.6 97.1 98.4 99.5 95.6 88.4
화훼류 82.9 85.0 88.2 84.9 87.5 88.2 91.2 92.3 92.9 96.4
품목별
표준규격포장 출하율(%) 데이터저장
구분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사 과 99.0 99.0 94.5 95.5 97.2 98.8 97.0 96.4 97.0 82.6
97.8 98.5 98.7 95.6 89.1 92.7 96.2 99.7 99.3 99.0
단 감 98.2 98.7 99.5 99.6 99.9 100.0 99.5 99.6 97.7 98.9
감 귤 99.0 87.8 88.6 98.6 99.1 98.2 96.1 97.1 98.9 99.8
복숭아 99.3 100.0 100.0 98.6 99.6 100.0 98.2 99.2 96.9 98.3
자 두 92.0 91.7 93.7 100.0 97.0 99.8 100.0 100.0 99.7 99.7
포 도 97.9 98.5 95.7 94.5 98.9 97.7 99.2 99.6 98.5 97.3
참다래 94.9 97.2 80.7 78.8 93.7 92.1 100.0 100.0 100.0 96.4
풋고추 98.7 99.6 100.0 98.2 99.2 96.8 98.2 99.4 99.8 99.9
오 이 91.8 93.7 94.8 91.7 98.2 96.9 92.4 83.2 90.8 81.4
호 박 93.3 95.1 94.3 96.1 97.8 95.9 92.8 98.0 89.4 83.9
가 지 92.5 94.7 87.5 72.3 95.5 91.1 94.9 99.8 96.4 88.6
토마토 99.1 99.4 97.0 98.9 99.8 98.0 98.9 100.0 94.8 95.2
방울토마토 98.2 100.0 96.0 96.7 88.9 99.4 97.8 99.4 98.7 96.1
참외 98.9 99.9 98.0 97.8 96.9 99.3 100.0 100.0 100.0 99.4
딸기 72.8 71.7 79.7 76.3 64.1 72.7 95.2 97.2 90.1 79.2
수박 12.7 7.9 9.0 1.8 12.0 9.6 12.8 6.6 2.6 10.0
조롱수박 100.0 100.0 100.0 50.0 - - - - - -
메 론 95.4 96.8 93.0 94.6 98.9 91.9 99.6 100.0 89.7 98.3
피 망 98.3 99.0 98.8 99.1 99.8 100.0 99.7 99.7 99.9 95.3
건고추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양 파 29.2 34.0 52.3 71.4 91.8 95.1 96.1 95.9 99.2 96.6
마 늘 85.0 91.7 76.7 58.8 73.1 84.3 93.6 100.0 97.2 95.2
대 파 0.2 0.3 0.0 0.0 0.0 0.0 0.0 0.3 0.2 0.2
쪽 파 28.7 25.6 19.9 24.5 18.4 39.2 29.4 21.6 5.6 17.9
81.2 89.4 90.3 86.6 97.1 97.5 97.4 98.9 95.8 94.7
열 무 41.1 34.1 28.7 25.0 38.8 47.1 38.2 23.6 8.8 -
총각무 0.0 0.0 0.0 0.0 0.0 0.2 2.4 0.0 0.0 0.4
배 추 69.0 72.4 67.4 71.2 42.1 73.5 76.0 74.0 94.3 87.0
얼갈이배추 41.3 45.7 50.4 43.1 43.4 56.6 62.2 61.2 43.6 -
양배추 98.0 97.4 92.7 88.5 20.1 57.8 70.0 83.7 84.5 78.4
당 근 87.9 79.8 60.5 76.4 96.9 97.7 98.1 98.9 95.3 89.9
시금치 54.4 52.5 58.4 55.1 83.1 72.2 66.3 48.8 72.4 77.0
상 추 93.5 95.3 82.8 85.9 97.6 96.4 94.5 95.8 97.6 78.0
깻 잎 78.8 70.1 62.5 71.9 85.7 83.0 83.2 92.5 85.6 73.4
부 추 40.2 51.6 61.7 50.3 16.2 34.5 34.8 15.9 38.8 27.6
쑥 갓 78.7 85.3 89.0 92.6 96.9 99.4 98.8 100.0 92.5 94.7
미나리 56.1 45.8 51.5 52.6 40.2 49.7 47.8 25.3 14.9 6.7
감 자 99.1 99.9 95.4 96.2 98.3 100.0 99.1 100.0 99.5 94.7
고구마 80.9 85.9 89.4 87.2 92.4 89.7 96.4 98.1 86.3 82.8
국 화 79.8 82.1 86.7 82.6 86.5 86.5 88.2 89.4 90.6 96.0
카네이션 95.3 98.2 98.7 91.1 94.5 94.8 96.6 99.0 97.7 99.3
장 미 86.7 88.4 88.3 89.1 91.6 92.6 96.9 97.5 98.3 97.3
백 합 87.7 87.5 88.4 88.3 81.1 81.2 90.7 93.6 92.9 93.4
글라디올라스 78.1 67.1 71.8 68.5 69.0 73.7 79.7 92.1 85.9 88.0
거베라 98.8 99.1 99.6 93.6 92.3 98.5 91.2 99.3 98.2 99.5

포장화율

부류별
포장화율(%) 데이터저장
구분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전체 92.9 92.4 94.6 93.8 91.8 92.0 93.0 93.2 92.0 92.1
과일류 100.0 100.0 100.0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과채류 85.3 76.6 78.5 84.4 83.2 84.3 89.2 92.1 88.2 93.0
양념류 75.4 76.9 74.5 81.6 84.0 82.3 82.5 82.0 80.9 72.5
엽근채류 95.5 97.0 98.9 96.3 93.1 94.1 94.0 93.0 93.3 96.3
서 류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화훼류 99.7 100.0 100.0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품목별
포장화율(%) 데이터저장
구분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사 과 100.0 100.0 100.0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단 감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감 귤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복숭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 두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포 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참다래 100.0 100.0 100.0 100.0 97.1 100.0 100.0 100.0 100.0 100.0
풋고추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오 이 100.0 100.0 100.0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호 박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가 지 100.0 100.0 100.0 100.0 100.0 - 100.0 100.0 100.0 100.0
토마토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방울토마토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참 외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딸 기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99.4
수 박 22.3 9.6 29.0 24.8 31.1 11.1 17.6 19.0 32.6 45.6
조롱수박 100.0 100.0 100.0 100.0 - - - - - -
메 론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피 망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건고추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양 파 96.3 99.1 97.5 99.8 100.0 100.0 99.7 100.0 99.9 100.0
마 늘 100.0 100.0 99.0 100.0 100.0 96.1 99.1 100.0 98.1 100.0
대 파 0.2 0.6 8.3 6.2 19.5 7.5 2.1 6.4 11.1 4.1
쪽 파 38.0 35.0 56.8 54.5 34.5 66.0 53.2 36.0 39.7 35.7
배 추 100.0 100.0 100.0 100.0 99.7 100.0 100.0 100.0 100.0 100.0
얼갈이배추 68.2 76.7 90.7 84.3 90.2 85.2 84.2 90.3 98.3 -
양배추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93.0 95.9 99.8 94.4 98.8 98.4 97.7 99.7 96.9 99.1
열 무 69.4 77.7 77.5 76.2 57.3 82.2 78.6 73.2 75.2 -
총각무 0.0 0.0 32.4 31.7 1.1 6.4 2.4 1.1 20.7 4.9
당 근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시금치 98.1 99.6 99.5 98.0 93.5 91.2 90.6 88.4 99.6 93.8
상추 99.8 100.0 99.8 99.2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깻 잎 100.0 100.0 100.0 100.0 100.0 99.9 100.0 99.2 99.6 99.7
부 추 96.2 98.5 92.5 74.2 41.5 59.7 44.3 22.0 54.1 96.8
쑥 갓 97.7 100.0 99.8 99.8 99.6 100.0 100.0 100.0 98.5 99.1
미나리 93.0 91.3 94.7 91.6 94.8 95.6 85.1 75.9 84.9 92.3
감 자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고구마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국 화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카네이션 100.0 100.0 100.0 96.6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장 미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백 합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글라디올라스 78.1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거베라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품목별 유통실태

품목별 유통실태 정보 - 번호, 품목, 연도, 관련자료로 구성
번호 품목 연도 관련자료
27 수박 2023 년 자료 다운로드
26 수박 2022 년 자료 다운로드
25 수박 2021 년 자료 다운로드
24 수박 2020 년 자료 다운로드
23 수박 2019 년 자료 다운로드
22 수박 2018 년 자료 다운로드
21 수박 2017 년 자료 다운로드
20 수박 2016 년 자료 다운로드
19 수박 2015 년 자료 다운로드
18 수박 2014 년 자료 다운로드
17 수박 2013 년 자료 다운로드
16 수박 2012 년 자료 다운로드
15 수박 2011 년 자료 다운로드
14 수박 2010 년 자료 다운로드
13 수박 2009 년 자료 다운로드
12 수박 2008 년 자료 다운로드
11 수박 2007 년 자료 다운로드
10 수박 2006 년 자료 다운로드
9 수박 2005 년 자료 다운로드
8 수박 2004 년 자료 다운로드

수박 고르는 tip

수박 겉 수박 속

• 껍질 색이 선명하고 선이 확실한 것,

• 자른 단면의 색이 곱고 씨가 검은 것이 좋음. 

• 수박은 꼭지부터 수분이 마르므로 길이나 모양에 상관없이 꼭지의 상태가 신선한 것이 좋음

• 살짝 두드렸을 때 청명한 소리가 나고 수박을 손바닥에 올렸을 때   아래쪽 진동이 잘 느껴져야 함

 

손질은 이렇게

• 과피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꼭지를 제거한 후 반으로 자르고 쪽배 모양으로 썰은 후에 과육과 껍질 사이에 칼집을 넣어 분리하고 껍질 위에 그대로  먹기 좋은 크기로 손질.
• 자를 때 똑바로 자르는 것보다 튀어나온 부분에서 세로로 반 자르는 것이 단맛을 균등하게 나누기 좋음

 

보관은 이렇게

• 과당이 많기 때문에 냉장 보관을 하면 단맛을 높일 수 있음. 
• 남은 수박은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하고, 아래가 무르지 않도록 밑에 접시 등으로 받치고 담아야 함. 
• 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 냉동 보관하면 최장 1년까지 먹을 수 있음

 

음식궁합

• 수박은 몸을 차게 하는 작용을 하는데 속을 냉하게 하는 성질이 있는 맥주와 함께 섭취하면 좋지 않음

• 냉증이거나 설사를 잘하는 사람은 많이 먹지 않도록 조심하는 것이 좋음

 

수박 활용 음식

용도 활용메뉴
음료 및 화채 수박 주스, 수박껍질 차, 수박화채
장아찌 및 김치 수박 장아찌, 수박 김치
말랭이 및 정과 수박 껍질 말랭이, 수박정과
수박 죽

이런 효능이

독소 배출 및 이뇨 작용

- 아미노산 계열인 시트룰린(Citrulline) 성분이 단백질을 요소로 바꿔 소변으로 배출할 수 있게 하며, 동시에 체내의 암모니아와 함께 독성 화합물 배출에도 도움을 주어 각종 부종도 가라앉히며 안정되는 효과가 있음

항산화 및 전립선암 예방 등에 효과

- 수박 과육 색을 붉게 만드는 물질인 라이코펜(Lycopene) 성분이 유전자를 손상시키는 물질을 감소시켜 노화를 방지하고 세포손상을 차단하여 전립선암 등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음

동맥 기능 개선 및 혈압 강하 효과

- 시트룰린 성분이 몸 안의 효소와 반응하여 혈관을 안정시키는 물질 생산에 관여하여 동맥기능을 개선하고 혈압강하 효과를 유도함

근육통 완화

- 수박에 다량 함유된 칼륨이 근육을 이완시키고 시트룰린 성분이 혈관을 이완시켜 운동 뒤에 나타나는 근육통이 완화될 수 있음

 

이런 영양이 (100g당 / 가식부)

영 양 분 함 량 영 양 분 함 량 영 양 분 함 량
에너지 kcal 31 탄수화물 g 7.83 칼 슘 6
수 분 g 91.1 베타카로틴 853 칼 륨 109
단백질 g 0.79 비타민C 6 아 연 0.11
라이코펜 6,300 비타민B2 0.03 구 리 0.05
지 질 g 0.05 비타민B1 0.02 마그네슘 11
총 식이섬유 g 0.2 판토텐산 0.54 0.18
회분 g 0.23 셀레늄 0.94 12

미디어







2015년 7월 04일자 SBS 토요특집 출발! 모닝와이드 알뜰장보기 방영



2014년 7월 5일자 SBS 토요특집 출발! 모닝와이드 알뜰장보기 방영



2013년 06월 29일자 SBS 토요특집 출발! 모닝와이드 알뜰장보기 방영



2013년 06월 08일자 SBS 토요특집 출발! 모닝와이드 알뜰장보기 방영



2012년 07월 14일자 SBS 토요특집 출발! 모닝와이드 알뜰장보기 방영

이미지

데이터가 없습니다.



동영상

데이터가 없습니다.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