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jpg
채소류 얼갈이배추

얼갈이배추는 늦가을에서 초겨울에 심는 배추로 저장용 김치보다는 주로 겉절이나 국거리용, 무침용 등으로 활용된다. 베타카로틴을 비롯한 비타민 A와 C, 무기질 등의 함량이 높으며, 암 유발 촉진 인자를 억제하는 설포라판 성분도 들어 있어 암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구분 내용
외국어 Winter grown cabbage(영어)
분류 채소 > 엽경채류
주요 생산지

- 경기 여주
- 강원 정선, 태백, 영월, 강릉
- 전북 고창, 정읍
- 전남 해남, 진도, 나주

제철 11월~12월
특징 일반 배추와 달리 속이 꽉 차지 않고 잎의 끝 부분이 벌어진 채로 자란다.
효능 및 영양성분 수분과 식이섬유소가 많고 탄수화물이 적으며 열량이 낮아 다이어트에 적합하다. 일반 배추보다 베타카로틴, 비타민A, C의 함량이 높고, 설포라판 성분이 들어있어 암 예방에 효과가 있다.
열량 100g당 11kcal
음식궁합 비타민C가 풍부한 얼갈이배추, 된장과 함께 섭취하면 환상궁합이다. 감기 예방에 좋고 저열량, 저지방채소로 다이어트에 좋다.
활용 겉절이 김치나 데친 후 나물 무침 또는 된장국에 넣어 먹는다.
고르는 법 잎은 짙은 녹색을 띠고 두께가 얇은 것이 좋다. 줄기는 연하고 가는 것을 고른다. 잎의 크기에 따라 큰 잎은 국거리용, 작은 잎은 겉절이나 나물 무침용으로 사용한다.
손질법 무르거나 마른 잎 등 신선도가 떨어진 잎 등은 떼어내고 뿌리를 자른 후 흐르는 물에 여러 번 깨끗이 씻어 용도에 맞게 사용한다.
보관법 물기를 제거한 후 키친타월이나 신문지에 싸서 서늘한 곳에 보관한다. 중심대가 질길 경우 데친 후 냉동 보관하여 국거리로 사용하면 좋다.

얼갈이배추란?

- 얼갈이배추는 늦가을~초겨울에 심는 배추로 일반 배추처럼 서늘한 기후에서 잘 자라기는 하지만 강한 더위와 추위에는 약해 한여름과 한겨울에는 재배가 어려웠으나 최근 계절별로 재배 가능한 품종이 개발돼 연중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 얼갈이배추는 일반 배추와 달리 속이 꽉 차지 않고 잎의 끝부분이 벌어진 채로 자란다.

- 저장성이 높은 일반 김치보다는 겉절이 김치나 살짝 데친 후 간장·된장·고추장 양념 등으로 버무리는 나물을 해 먹거나 된장국 등에 넣어 먹는다.

 

얼갈이배추 종류

품종명 사진 주요특성
복동 - 잎은 녹색이고, 추대가 안정되어 하우스 및 춘파재배에 적합함
- 초기생육이 빠르고 초세가 강하여 수량성이 높음
- 중륵이 얇고 수분이 적어 맛이 좋음
CR 청담 - 뿌리혹병에 강한 편으로 잎은 진한 녹색이며 상품성이 높음
- 초장이 짧고 입성으로 자라 단묶음이 용이하고 부서짐이 적음
- 추대가 비교적 안정되어 봄재배가 가능하며 내서성 또한 강한 편으로 여름재배도 가능함
신천 - 초기생육이 빠르고 초세가 강하여 수량성이 높음
- 잎은 녹색이고 엽수분화가 빠름
- 중륵이 넓어 단묶음 작업이 용이함
해찬 - 잎은 진한 녹색이고, 신선도가 오래 유지되어 상품성이 높음
- 초장이 짧고 입성으로 자라 단묶음이 용이하고 잘 부서지지 않음
- 내서성과 내병성이 강한 편으로 재배가 안정적임
서울 - 잎은 연한 녹색이고, 생육이 빠르고 초세가 강하여 재배가 쉬움
- 초형은 입성이고 키가 크고 부드러운 솎음 재배용이며, 파종 후 40~50일이면 수확이 가능함
- 조선배추 또는 경종배추라고도 함
금촌 - 키가 작고 외엽색이 진함
- 추대성이 둔감하여 저온기재배에 안정성이 있음
- 엽수가 많고 내엽색이 노란색이며 밑둥이 넓어 상품성이 뛰어남

품목별 도매가격

이용안내

도매시장 중도매인 상회에서 소상인 및 실수요자에게 판매하는 가격입니다.
● 농산물 특성상 크기와 색상 등이 다양하고 저장기간, 기후변화에 따라 동일 등급에도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평년은 5년간(금년 제외) 해당일에 대한 최고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3년 평균값.
● 조사단위가 중량이 아닌 품목(포기, 개, 마리 등)은 kg 단위 환산이 제공되지 않음.
● 본 가격자료는 전국 주요 시장에서 조사된 도소매 평균가격으로 개별 판매처 및 산지, 브랜드, 규격 등에 따라 가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실거래에 있어서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2018.1.8일 부터 깐마늘(국산)은 대서종과 남도종 구분조사·제공합니다. (이전 깐마늘가격은 품종 혼합가격임)2020.6.23일 부터 난지형 피마늘은 대서종과 남도종 구분조사·제공합니다. (이전 난지형 피마늘 가격은 품종 혼합가격임)
(중도매인 판매가격 - 기간별) 채소류 / 얼갈이배추 / 얼갈이배추,   등급 : 상품,   단위 : 4kg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5 2024 2023 2022
1월 7,505 11,108 8,464 9,815
2월 9,436 10,508 10,057 8,797
3월 10,619 11,154 9,414 6,781
4월 6,587 7,939 7,057 6,478
5월 5,417 6,925 5,857 6,854
6월 6,527 5,891 6,638 7,905
7월 7,918 10,333 12,140 12,524
8월 - 12,533 9,680 12,577
9월 - 14,278 12,303 9,759
10월 - 10,059 6,763 6,167
11월 - 6,531 5,620 5,306
12월 - 5,690 7,472 6,180
연평균 7,708 9,403 8,453 8,267

품목별 소매가격

이용안내

대형마트, 전통시장 등에서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가격입니다.
● 농산물 특성상 크기와 색상 등이 다양하고 저장기간, 기후변화에 따라 동일 등급에도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평년은 5년간(금년 제외) 해당일에 대한 최고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3년 평균값.
● 경동, 영등포, 부전, 동구, 현대, 양동, 역전, 지동, 중앙, 육거리, 남부, 상남, 신정, 동문시장은 전통시장임.
● 조사단위가 중량이 아닌 품목(포기, 개, 마리 등)은 kg 단위 환산이 제공되지 않음.
● 본 가격자료는 전국 주요 시장에서 조사된 도소매 평균가격으로 개별 판매처 및 산지, 브랜드, 규격 등에 따라 가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실거래에 있어서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22.4.4부터 축산물 소매가격은 축산물품질평가원에서 조회 가능합니다.
(소매가격 - 기간별) 채소류 / 얼갈이배추 / 얼갈이배추,   등급 : 상품,   단위 : 1kg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5 2024 2023 2022
1월 3,260 3,734 3,029 3,405
2월 3,683 3,974 3,860 3,884
3월 3,593 3,809 3,749 2,942
4월 2,788 3,204 3,108 2,985
5월 2,172 2,768 2,715 2,466
6월 2,384 2,473 2,344 2,697
7월 2,604 3,649 3,688 4,190
8월 - 4,685 4,127 4,473
9월 - 5,087 4,026 4,179
10월 - 4,350 3,191 2,562
11월 - 3,505 2,599 2,540
12월 - 2,960 2,911 2,636
연평균 2,962 3,677 3,284 3,244

일일동향

(중도매거래) 채소류/ 얼갈이배추/ 얼갈이배추, 2025-07-07, 서울지역

작성자 : 윤지인 조사원

    ● 경기도 광주시·남양주시·안성시·여주시·포천시·가평군·이천시 등지에서 반입됨
    ● 시장내 공급량은 꾸준하나 열기와 습도로 인한 무름 현상으로 구매 이후 수율 감소, kg 단위당 가격이 오름세
    ● 도매 시장 기준 4kg 상품이 13,500원, 중품이 8,000원 선에 거래되며 오름세
    ● 더위에 약한 엽경채류의 채소들의 가격 상승이 눈에 띄며 앞으로도 가격의 강보합세를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얼갈이배추/ 얼갈이배추, 2025-06-26, 서울지역

작성자 : 윤지인 조사원

    ● 경기도 광주시·남양주시·안성시·여주시·포천시·가평군·이천시 등지에서 반입됨
    ● 수요가 상대적으로 꾸준하나 호우 영향으로 반입량이 감소하며 가격이 상승
    ● 도매 시장 기준 4kg 상품이 6,250원, 중품이 5,250원 선에 거래되며 내림세
    ● 주말이 가까워짐에 따라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가격의 강보합세를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얼갈이배추/ 얼갈이배추, 2025-06-23, 서울지역

작성자 : 윤지인 조사원

    ● 경기도 광주시·남양주시·안성시·여주시·포천시·가평군·이천시 등지에서 반입됨
    ● 반입량은 꾸준하나 상대적으로 주초에 수요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가격이 하락
    ● 도매 시장 기준 4kg 상품이 6,250원, 중품이 5,250원 선에 거래되며 내림세
    ● 지난 주말 수요가 크게 증가하며 가격이 상승하였으나 금일 안정된 공급과 감소한 수요로 가격하락을 보임, 주말에 가까워지면 다시금 가격의 강보합세를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얼갈이배추/ 얼갈이배추, 2025-06-19, 광주지역

작성자 : 정승원 조사원

    ● 주로 전북 진안, 무주, 대전, 충남 예산 등에서 반입됨
    ● 주말 여름김치 담그려는 수요로 목요일부터 주문량이 늘어나는 편으로 금일 가격 오름세 형성
    ● 도매시장 기준 4kg 상품 6,000원대, 중품 4,000원대 중반 선으로 거래됨
    ● 당분간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보이나 장마철 이후 출하량 감소 예상되며 가격 강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채소류/ 얼갈이배추/ 얼갈이배추, 2025-06-19, 서울지역

작성자 : 윤지인 조사원

    ● 경기도 광주시·남양주시·안성시·여주시·포천시·가평군·이천시 등지에서 반입됨
    ● 계절적 영향으로 공급량은 안정하나 제철 김치를 위해 주말 수요가 증가, 가격이 상승
    ● 도매 시장 기준 4kg 상품이 10,000원, 중품이 7,470원 선에 거래되며 오름세
    ● 일주일을 기준으로 주말 이전에 수요가 증가하는 경향을 주기적으로 보이고 있음, 가격의 보합세를 전망 

(소매거래) 채소류/ 얼갈이배추/ 얼갈이배추, 2025-06-17, 광주지역

작성자 : 이은비 조사원

    ● 주로 전남 나주, 대전, 충남 예산 등에서 반입됨
    ● 일조량 증가, 기온 상승, 적절한 강우 등으로 생육조건의 호조로 생산량 증가에 따른 가격 내림세
    ● 소매시장에서 1kg 기준 상품 1,830원 선에 거래됨
    ● 향후 얼갈이배추, 열무 등의 김치 수요 증가가 예상되어 보합세 전망

유통단계별 거래형태

도매시장

- 도매시장에서는 4kg 골판지상자로 거래됨

 

전통(소매)시장

 - 4kg 골판지상자 및 1kg 단위로 거래됨

 

대형유통업체

-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에 맞게 720g, 900g 등 비닐포장 형태로 판매됨

주요 반입되는 지역

주요 출하지역(‘18년 기준)

- 주 출하도 는 ➀ 경기도 ➁ 서울특별시 ➂ 충청북도 순

- 시 군은 ➀ 경기 포천시 ➁ 경기 안성시  ➂ 경기 용인시 기흥구 순

- 총 반입량 중 3개도에서 99.9%, 3개 시군에서 63.6%가 출하 

 

순위 도별 비율
1 경기도 95.9%
2 서울특별시 3.2%
3 충청북도 0.8%
4 충청남도 0.1%

 

지역별 출하비율 및 반입량

 

별 주요 출하지역(‘18년 기준)

월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출하지

(물량순)

포천시

안성시

용인시

포천시

안성시

용인시

포천시

고양시

안성시

포천시

안성시

용인시

포언시

안성시

용인시

포언시

안성시

용인시

포천시

안성시

용인시

포언시

용인시

안성시

포천시

용인시

안성시

포언시

용인시

안성시

포천시

안성시

용인시

포천시

안성시

용인시

 


표준규격 출하율

부류별
표준규격포장 출하율(%) 데이터저장
구분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전체 73.6 75.7 76.5 76.8 77.2 80.5 84.5 85.3 84.2 80.6
과일류 98.5 95.4 94.1 96.8 97.2 97.5 97.2 98.2 98.1 94.4
과채류 78.4 72.7 68.8 74.4 75.4 80.1 85.2 87.8 78.0 79.5
양념류 26.6 29.4 38.6 55.9 70.0 70.0 71.3 71.5 71.0 66.0
엽근채류 74.1 78.3 78.9 76.8 63.6 73.5 79.8 78.5 83.9 78.3
서 류 95.4 96.7 93.7 93.7 96.6 97.1 98.4 99.5 95.6 88.4
화훼류 82.9 85.0 88.2 84.9 87.5 88.2 91.2 92.3 92.9 96.4
품목별
표준규격포장 출하율(%) 데이터저장
구분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사 과 99.0 99.0 94.5 95.5 97.2 98.8 97.0 96.4 97.0 82.6
97.8 98.5 98.7 95.6 89.1 92.7 96.2 99.7 99.3 99.0
단 감 98.2 98.7 99.5 99.6 99.9 100.0 99.5 99.6 97.7 98.9
감 귤 99.0 87.8 88.6 98.6 99.1 98.2 96.1 97.1 98.9 99.8
복숭아 99.3 100.0 100.0 98.6 99.6 100.0 98.2 99.2 96.9 98.3
자 두 92.0 91.7 93.7 100.0 97.0 99.8 100.0 100.0 99.7 99.7
포 도 97.9 98.5 95.7 94.5 98.9 97.7 99.2 99.6 98.5 97.3
참다래 94.9 97.2 80.7 78.8 93.7 92.1 100.0 100.0 100.0 96.4
풋고추 98.7 99.6 100.0 98.2 99.2 96.8 98.2 99.4 99.8 99.9
오 이 91.8 93.7 94.8 91.7 98.2 96.9 92.4 83.2 90.8 81.4
호 박 93.3 95.1 94.3 96.1 97.8 95.9 92.8 98.0 89.4 83.9
가 지 92.5 94.7 87.5 72.3 95.5 91.1 94.9 99.8 96.4 88.6
토마토 99.1 99.4 97.0 98.9 99.8 98.0 98.9 100.0 94.8 95.2
방울토마토 98.2 100.0 96.0 96.7 88.9 99.4 97.8 99.4 98.7 96.1
참외 98.9 99.9 98.0 97.8 96.9 99.3 100.0 100.0 100.0 99.4
딸기 72.8 71.7 79.7 76.3 64.1 72.7 95.2 97.2 90.1 79.2
수박 12.7 7.9 9.0 1.8 12.0 9.6 12.8 6.6 2.6 10.0
조롱수박 100.0 100.0 100.0 50.0 - - - - - -
메 론 95.4 96.8 93.0 94.6 98.9 91.9 99.6 100.0 89.7 98.3
피 망 98.3 99.0 98.8 99.1 99.8 100.0 99.7 99.7 99.9 95.3
건고추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양 파 29.2 34.0 52.3 71.4 91.8 95.1 96.1 95.9 99.2 96.6
마 늘 85.0 91.7 76.7 58.8 73.1 84.3 93.6 100.0 97.2 95.2
대 파 0.2 0.3 0.0 0.0 0.0 0.0 0.0 0.3 0.2 0.2
쪽 파 28.7 25.6 19.9 24.5 18.4 39.2 29.4 21.6 5.6 17.9
81.2 89.4 90.3 86.6 97.1 97.5 97.4 98.9 95.8 94.7
열 무 41.1 34.1 28.7 25.0 38.8 47.1 38.2 23.6 8.8 -
총각무 0.0 0.0 0.0 0.0 0.0 0.2 2.4 0.0 0.0 0.4
배 추 69.0 72.4 67.4 71.2 42.1 73.5 76.0 74.0 94.3 87.0
얼갈이배추 41.3 45.7 50.4 43.1 43.4 56.6 62.2 61.2 43.6 -
양배추 98.0 97.4 92.7 88.5 20.1 57.8 70.0 83.7 84.5 78.4
당 근 87.9 79.8 60.5 76.4 96.9 97.7 98.1 98.9 95.3 89.9
시금치 54.4 52.5 58.4 55.1 83.1 72.2 66.3 48.8 72.4 77.0
상 추 93.5 95.3 82.8 85.9 97.6 96.4 94.5 95.8 97.6 78.0
깻 잎 78.8 70.1 62.5 71.9 85.7 83.0 83.2 92.5 85.6 73.4
부 추 40.2 51.6 61.7 50.3 16.2 34.5 34.8 15.9 38.8 27.6
쑥 갓 78.7 85.3 89.0 92.6 96.9 99.4 98.8 100.0 92.5 94.7
미나리 56.1 45.8 51.5 52.6 40.2 49.7 47.8 25.3 14.9 6.7
감 자 99.1 99.9 95.4 96.2 98.3 100.0 99.1 100.0 99.5 94.7
고구마 80.9 85.9 89.4 87.2 92.4 89.7 96.4 98.1 86.3 82.8
국 화 79.8 82.1 86.7 82.6 86.5 86.5 88.2 89.4 90.6 96.0
카네이션 95.3 98.2 98.7 91.1 94.5 94.8 96.6 99.0 97.7 99.3
장 미 86.7 88.4 88.3 89.1 91.6 92.6 96.9 97.5 98.3 97.3
백 합 87.7 87.5 88.4 88.3 81.1 81.2 90.7 93.6 92.9 93.4
글라디올라스 78.1 67.1 71.8 68.5 69.0 73.7 79.7 92.1 85.9 88.0
거베라 98.8 99.1 99.6 93.6 92.3 98.5 91.2 99.3 98.2 99.5

포장화율

부류별
포장화율(%) 데이터저장
구분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전체 92.9 92.4 94.6 93.8 91.8 92.0 93.0 93.2 92.0 92.1
과일류 100.0 100.0 100.0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과채류 85.3 76.6 78.5 84.4 83.2 84.3 89.2 92.1 88.2 93.0
양념류 75.4 76.9 74.5 81.6 84.0 82.3 82.5 82.0 80.9 72.5
엽근채류 95.5 97.0 98.9 96.3 93.1 94.1 94.0 93.0 93.3 96.3
서 류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화훼류 99.7 100.0 100.0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품목별
포장화율(%) 데이터저장
구분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사 과 100.0 100.0 100.0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단 감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감 귤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복숭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 두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포 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참다래 100.0 100.0 100.0 100.0 97.1 100.0 100.0 100.0 100.0 100.0
풋고추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오 이 100.0 100.0 100.0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호 박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가 지 100.0 100.0 100.0 100.0 100.0 - 100.0 100.0 100.0 100.0
토마토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방울토마토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참 외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딸 기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99.4
수 박 22.3 9.6 29.0 24.8 31.1 11.1 17.6 19.0 32.6 45.6
조롱수박 100.0 100.0 100.0 100.0 - - - - - -
메 론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피 망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건고추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양 파 96.3 99.1 97.5 99.8 100.0 100.0 99.7 100.0 99.9 100.0
마 늘 100.0 100.0 99.0 100.0 100.0 96.1 99.1 100.0 98.1 100.0
대 파 0.2 0.6 8.3 6.2 19.5 7.5 2.1 6.4 11.1 4.1
쪽 파 38.0 35.0 56.8 54.5 34.5 66.0 53.2 36.0 39.7 35.7
배 추 100.0 100.0 100.0 100.0 99.7 100.0 100.0 100.0 100.0 100.0
얼갈이배추 68.2 76.7 90.7 84.3 90.2 85.2 84.2 90.3 98.3 -
양배추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93.0 95.9 99.8 94.4 98.8 98.4 97.7 99.7 96.9 99.1
열 무 69.4 77.7 77.5 76.2 57.3 82.2 78.6 73.2 75.2 -
총각무 0.0 0.0 32.4 31.7 1.1 6.4 2.4 1.1 20.7 4.9
당 근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시금치 98.1 99.6 99.5 98.0 93.5 91.2 90.6 88.4 99.6 93.8
상추 99.8 100.0 99.8 99.2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깻 잎 100.0 100.0 100.0 100.0 100.0 99.9 100.0 99.2 99.6 99.7
부 추 96.2 98.5 92.5 74.2 41.5 59.7 44.3 22.0 54.1 96.8
쑥 갓 97.7 100.0 99.8 99.8 99.6 100.0 100.0 100.0 98.5 99.1
미나리 93.0 91.3 94.7 91.6 94.8 95.6 85.1 75.9 84.9 92.3
감 자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고구마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국 화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카네이션 100.0 100.0 100.0 96.6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장 미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백 합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글라디올라스 78.1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거베라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품목별 유통실태

품목별 유통실태 정보 - 번호, 품목, 연도, 관련자료로 구성
번호 품목 연도 관련자료

얼갈이배추 고르는 tip

- 얼갈이배추는 크기가 커도 식감이 억세지 않기 때문에 잎의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 주로 큰 잎은 국거리용으로, 작은 잎은 겉절이나 나물 무침용으로 사용한다.

- 뿌리가 싱싱하고 흰 줄기 부분을 눌렀을 때 탄력성이 높은 것을 골라야 한다.

- 잎은 짙은 녹색을 띠고 두께가 얇고 너무 길지 않아야 하며, 줄기는 연하고 가는 것이 좋다.

- 잎이 벌레가 많이 먹지는 않았는지, 곰팡이가 피었는지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손질은 이렇게

- 무르거나 마른 잎 등 신선도가 떨어진 잎 등은 떼어내고 뿌리를 자른 후 흐르는 물에 여러 번 깨끗이 씻어 용도에 맞게 사용함

- 얼갈이배추의 중심대가 질긴 경우에는 끓는 물에 살짝 데친 후 찬물에 식혀 냉동 보관했다가 찌개나 국을 끓일 때 사용하면 좋음

 

보관은 이렇게

- 손질 전 상태로 보관할 때는 키친타월이나 신문지에 싸서 뿌리를 아래쪽으로 향하게 한 뒤 서늘한 곳에 보관함

- 얼갈이배추는 곰팡이가 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기를 제거해 주는 것이 좋음

- 얼갈이배추를 국거리로 이용하려면 무르지 않도록 삶아서 적당한 크기로 뭉쳐서 비닐 팩에 담아 냉동 보관함

 

활용은 이렇게

용도 활용메뉴
얼갈이배추 된장국, 얼갈이배추 콩나물국
숙채 얼갈이배추 된장무침, 얼갈이배추 들깨무침
볶음 얼갈이배추 베이컨 볶음
얼갈이배추전
김치 물김치, 겉절이

이런 효능이

- 다이어트 효과: 수분과 식이섬유소가 많고 탄수화물이 적으며, 열량이 낮은 식재료로 다이어트에 적합

- 영양 보충에 효과: 칼슘, 칼륨 등의 무기질이 고루 함유되어 있어 영양 보충에도 효과적임

- 암 예방 효과: 암 유발 촉진 인자를 억제하는 설포라판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암 예방에 도움이 됨

 

이런 영양이  (100g / 얼갈이배추, 생것)


미디어






2015년 04월 18일자 SBS 토요특집 출발! 모닝와이드 알뜰장보기 방영



2013년 04월 13일자 SBS 토요특집 출발! 모닝와이드 알뜰장보기 방영



2012년 04월 28일자 SBS 토요특집 출발! 모닝와이드 알뜰장보기 방영

이미지

데이터가 없습니다.



동영상

데이터가 없습니다.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