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료 백과(카미위키)
구분 | 내용 |
---|---|
분류(품종,구분) | 과일류 |
주요생산지 |
- 전남 고흥, 완도, 진도, 경남 남해, 거제 - 대표적인 조리용 감귤인 유자는 중국 양자강 상류가 원산지 이지만, 우리나라에는 오래전부터 전래 되어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함 |
종류 | 남해 1호, 남출, 다정, 원향 |
효능 | 레몬보다 비타민C가 3배나 많이 들어 있음 |
고르는 법 | 껍질이 단단하고 울퉁불퉁한 것, 상처가 없는 것이 좋음 |
손질법 | 유자에 함유된 비타민 C는 빛이나 열에 쉽게 파괴되기 때문에 열을 가하지 않는 것이 좋음 |
보관법 | 껍질이 있는 채로 신문지에 싸서 냉장 보관 |
유자란?
- 유자는 신라시대때, 중국에서 우리나라로 건너온 과일로 현재도 중국과 일본, 우리나라에서만 생산되는데 우리나라의 유자가 가장 향이 진하면서도 껍질이 두껍다.
- 향긋하면서도 진한 고유 향이 좋아 겨울철에는 따끈한 차로 즐기기도 하고, 귤 또는 오렌지는 껍질을 까서 과육을 그대로 먹지만, 유자는 껍질,과육 모두 설탕 또는 꿀에 절여 유자청으로 만들거나 잼, 소스 등으로도 만들어 먹는다.
- 레몬에 비해 3배에 달하는 비타민C를 함유하고 있고 제철인 겨울에 더욱 맛이 좋다.
출처 | -농촌진흥청 / 농식품정보누리 |
---|
품목별 도매가격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품목별 소매가격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일일동향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유통단계별 거래형태
도매시장
- 주로 10개~15개 정도의 개수 단위로 판매되고 있음 |
전통(소매)시장
- 주로 5개~10개 사이의 개수 단위로 하여 판매하고 있음 |
대형유통업체
- 생 과육은 없고, 주로 kg 단위의 유자청으로 판매되고 있음 |
주요 반입되는 지역
주요 출하지역(‘18년 기준)
- 주 출하도는 ① 전라남도 ② 경상남도 ③ 제주도 순
- 시 군은 ① 전남 고홍군 ② 전남 여수시 ③ 전남 장흥군 군
- 총 반입량 중 3개 도에서 98.88%, 3개 시군에서 94.3%가 출하
순위 | 도별 | 비율 | 순위 | 시(군, 구) 별 | 비율 |
1 | 전라남도 | 95.0% | 1 | 전남 고흥군 | 85.4% |
2 | 경상남도 | 2.4% | 2 | 전남 여수시 | 6.4% |
3 | 제주도 | 1.4% | 3 | 전남 장흥군 | 2.5% |
4 | 서울특별시 | 1.1% | 4 | 경남 진주시 | 1.8% |
5 | 5 | 제주 서귀포시 | 1.4% |
지역별 출하비율 및 반입량
최근 5개년 유자 수출입통계
연도 | 수출량(톤) | 수출액(천$) | 수입량(톤) | 수출액(천$) |
2014 | 14,713 | 42,950 | 0.6 | 0.94 |
2015 | 14665 | 41,003 | 19 | 27 |
2016 | 14,824 | 41,526 | 18 | 15 |
2017 | 13,744 | 37,004 | 0.8 | 0.1 |
2018 | 15,241 | 41,243 | 0.2 | 0.7 |
출처 | - 서울시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KATI 농식품수출정보) |
---|
품목별 유통실태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고르는 tip
- 껍질에 광택이 흐르면서 꼭지가 붙어있고, 만져보았을 때 단단하면서 울퉁불퉁해야 한다.
- 유자 특유의 노란빛이 짙게 돌면서 향도 진하게 나고, 껍질이 탱탱한 것을 고른다.
- 잘라보았을 때 과즙이 풍부하면서 씨는 적고 쓴맛이 나지 않는지 살펴본다.
보관은 이렇게
- 껍질을 벗기지 않은 그 자체로 신문지에 싸서 냉장 보관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 비타민C가 풍부해 철, 구리와 함께 있으면 산화가 촉진되므로 금속 용기에 보관하면 안 된다.
- 열에 오랫동안 가열하면 풍부한 비타민C가 파괴되니 되도록 열을 가하지 않는 것이 좋다.
손질은 이렇게
- 흐르는 물에 껍질까지 깨끗이 씻은 후 유자청을 만들어서 먹는 것이 일반적인 활용법이다.
- 굵은소금으로 껍질부터 깨끗하게 잘 씻은 후 껍질과 과육을 잘라 소독 후 잘 말려 병에 담는다.
- 쓴맛이 나지 않도록 되도록 씨를 빼주도록 한다.
- 유자는 당분이 적고 유기산은 많아 신맛이 강하기 때문에 생 과육을 그냥 먹기는 어렵다.
활용은 이렇게
용도 | 활용 메뉴 |
저장식품 | 유자식초, 유자청, 유자술, 유자마멀레이드 |
디저트 | 유자차, 유자에이드, 유자청과, 유자단자, 유자케이크, 유자마들렌 |
출처 | - 농촌진흥청 - 우수 식재료 디렉토리 - 농식품 정보누리 |
---|
이런 효능이
감기 예방 및 치료
- 유자 속에는 비타민C와 구연산이 많이 들어 있어 감기예방과 치료에 좋음
- 발한, 해열, 소염, 진해 작용이 있으며, 유자에 들어있는 리모넨성분은 목의 염증을 가라앉혀주고 기침을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있음
중풍 방지
- 유자 속 헤스페레딘이라는 물질은 모세혈관을 보호하고 뇌혈관 장애 예방 및 혈압을 안정시켜줘 중풍방지에 많은 도움이 됨
고혈압 예방 및 치료
- 유자 속의 리모넨 성분과 펙틴 성분은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뇌혈관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고혈압을 예방하며 신경통에도 좋은 약효를 나타냄
피로회복 및 강장, 숙취해소
- 구연산과 비타민C의 함량이 높아 스트레스를 해소시켜주고 소화액의 분비를 도와 피로를 덜어줘 강장에 도움이 됨
- 음주 후에도 유자 속의 풍부한 비타민C가 주독을 빨리 풀어주는데 많은 도움이 됨
칼슘공급 및 변비해소
- 다른 과일보다 칼슘 함유량이 월등히 높아 성장기 어린이의 골격형성, 성인의 골다공증 예방에 좋고, 껍질도 함께 먹기 때문에 섬유소가 많아 변비예방에도 좋은 음식임
이런 영양이
출처 | - 농촌진흥청 - 대한민국 식재총람 |
---|
미디어
이미지
데이터가 없습니다.
동영상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