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대표이미지1.jpg
채소류 고수

고수는 향신채 가운데 채소로서의 재배역사가 가장 오래된 것으로 특유의 맛과 향이 있지만, 세계 각국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태국, 인도, 중국과 유럽에서 많이 사용된다. 항산화 성분들이 콜레스테롤을 안정시켜 심혈관 질환 예방과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소화 촉진 효과와 기침을 멎게 하고 입 냄새를 없애주는 효능까지 있다.

구분 내용
분류 산형과(미나리과) 고수속 한해살이풀
명칭

- 학명 : Coriandrum sativum

- 영문명 : Coriander

원산지 작은 계통의 원산지는 멕시코이며, 러시아계통이라고도 부름
재배역사

- 수천 년 전부터 약용 및 조미료로 사용되었고 유럽, 인도, 중국에도 보급됨

- 우리나라에는 고려시대에 전래된 것으로 추측되며, 현재 세계 각국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음

환경조건

- 재배 적지의 연평군 기온은 15~20℃

- 물 빠짐이 좋고 석회가 함유된 적당히 비옥한 토양에서 재배

- 햇빛을 잘 받는 곳이 좋음

- 건조가 계속되면 12~15일 간격으로 관수하여야 함

수확

- 대단위 재배에서는 흩어뿌림을 하며 싹이 난 후 2, 3회 중경제초를 실시

- 어린 잎을 수확하여 이용하면 좋고, 다소 노화되면 줄기를 잘라서 말릭, 줄기를 털어 종자를 수확

- 줄기를 벨 때에는 이슬이 다소 내린 오전 일찍 실시하는 것이 좋음

활용

- 모든 부분이 식용 가능함

- 잎은 말려서 카레의 원료로 쓰이며 수시로 채취하여 이용함

- 씨앗은 주로 생선과 가금류 요리에 쓰이며, 곱게 간 씨앗가루로 향을 가미하기도 함

※ 출처 : 농촌진흥청 농업기술길잡이, aT 우수 식재료 디렉토리,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영농기술정보, 농사로

고수 품종 정보

품종명 사진 주요특성
IT182555

- 엽서는 호생엽이며, 엽색은 황록색, 엽폭은 0.1cm

- 개화기는 6월 초순이며, 종자 성숙기는 8월 초순 

- 근 수확기는 6월 초순, 엽 수확기는 6월 중순 

IT213930

- 엽형은 원형이며, 엽색은 녹색, 엽폭은 2.5cm
 

- 파종기가 5월 하순일 때 개화기는 7월 초순이며,

종자 성숙기는 9월 중순 
 

- 네팔 박타푸르 지역에서 수집되어 2002년에 등록된 품종

IT170335
(Crlatro)

 - 엽서는 호생엽이며, 엽색은 녹색, 엽폭은 0.1cm

 - 개화기는 5월 하순이며, 종자 성숙기는 7월 초순 

 - 근수확기는 6월 하순, 엽수확기는 5월 하순 

IT258942

 - 엽형은 침형이며, 엽서는 혼립, 엽폭은 0.4cm

 - 개화기는 6월 상순이며, 종자 성숙기는 7월 중순 
 

- 충북 제천에서 수집되어 2012년에 등록된 품종


고수 재배

 

고수 재배법

비가림 하우스

- 가을에 씨뿌리기 하여 자란 상태로 월동하고 이듬해 4월부터 쌈채로 수확하는 농사법
- 10a당 가축 퇴비 1,000kg을 밑거름으로 사용
- 평휴 너비 120cm, 골 너비 30cm로 두고 파종. 직파로 10x10cm

무가온 하우스

- 겨울철 저온 피해가 예상될 때는 무가온 하우스에서 월동 후 이른 봄에 수확

포장 관리

- 가을 파종 전 흑색 PE 멀칭 전에 30cm 간격으로 뚫린 점적 호수로 2줄을 깜
- 가을 파종 후부터 10일 간격으로 땅이 흠뻑 젖도록 관수
- 월동 시 비닐하우스를 내리고 20일 간격으로 1회씩 관수 후 이듬해 수확

고수 쌈채와 종자 생산

- 3월 초순에 파종하여 5월 중순에 쌈채를 생산하고 8월 초순에 종자를 수확
- 여름에 종자를 수확한 후에는 통기가 원활한 망에 넣어 수분 13% 이내로 바짝 말려 연중 보관


품목별 도매가격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

품목별 소매가격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

일일동향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

유통단계별 거래형태

도매시장

- 일부 전문 취급 상회에서 소량 거래되며, 단 묶음 형태로 거래됨

 

전통시장

- 주로 150g~200g, 350g~400g 단위로 포장되어 판매됨

 

대형유통업체

- 주로 100g 단위로 플라스틱 팩에 포장되어 판매되며, 15g씩 매우 소량도 판매됨

주요 반입되는 지역

고수 주요 출하지역(‘21년 가락시장 기준)

 ㆍ주 출하도는 ① 경기도 ② 서울특별시 ③ 충청남도 순
 ㆍ시 군은 ① 경기 포천시 ② 경기 남양주시 ③ 경기 양주시 순
 ㆍ총 반입량 중 3개 도에서 98.18%, 3개 시군에서 52.15%가 출하

 

 

월별 주요 출하지역(‘21년 가락시장 기준)

 

고수 지역별 출하비율 및 월별 반입 동향(’21년 가락시장 기준)


품목별 유통실태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

고수 고르는 tip

- 잎과 줄기가 연한 것이 좋고 맛이 매우면서 고수 특유의 비린 향이 나는 것이 좋음

 

보관은 이렇게

- 깨끗이 씻은 고수의 열매는 그늘에 말린 후 냉동실에 보관하고 잎은 신문지에 싸서 냉장 보관

 

손질은 이렇게

-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어서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용도에 맞게 열매, 줄기, 잎으로 나눠 사용

 

고수 요리 레시피

 

 ㆍ재료 준비하기
   - 주재료: 고수, 무
   - 양념 재료: 고춧가루, 다진 파, 다진 마늘, 깨소금, 소금, 설탕

 

 ㆍ무 손질하기
   - 무를 약 5cm 길이 및 0.2cm 두께 정도로 채 썰고 소금에 살짝 절임

 

 ㆍ무채 양념하기
   - 채 썬 무의 물기를 제거한 다음 고춧가루, 다진 파, 다진 마늘, 깨소금, 소금, 설탕을 넣어

     양념이 골고루 묻도록 무침

 

ㆍ고수 넣기
   - 양념된 무채에 고수를 넣어 버무리면 고수 무생채 완성


이런 효능이

심혈관 질환 예방 효과

- 칼륨과 베타카로틴 성분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나트륨 배출을 촉진시켜 혈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어 심혈관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줌

전립선염 치료 효과

- 한방에서는 따뜻한 성질을 나타내는 고수와 차가운 성질의 더덕을 1:1로 하여 진하게 달여 마시면 전립선염에 효과가 있다고 함

위 건강 및 소화 촉진 효과

고수의 줄기와 잎은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위의 효소와 소화액의 분비를 도움

진해, 거담 및 구취 방지 효과

고수는 기침을 멎게 하고 입 냄새를 없애주며 가래를 제거에 도움이 됨

 

이런 영양이 (100g당 / 고수, 생것)


미디어

이미지

데이터가 없습니다.



동영상

데이터가 없습니다.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