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송이버섯 본격 출하 시작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3-10-01 조회수 4063
산림조합 공판개시, 1등품 kg 21만 5천 3백원<br><br>'버섯의 왕'이라고 불리우는 송이버섯이 본격적으로 채취되어 출하되기 시작했다.<br><br>지난 5일 강원도 인제군산림조합에서 처음 송이공판을 시작한 이래 추석 전에는 채취물량도 적고 추석선물수요가 늘어 1등품 공판가격이 1kg 에 70만원선에 낙찰되기도 했으나, 추석이 지난 후 채취물량도 늘고 가격도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br><br>9월 17일 현재 17개 산림조합에서 총 1만 1,956kg을 공판했으며, 공판가격은 1등품 1kg에 21만 5,300원 정도이다.<br><br>송이버섯 생산량은 지난 20년간 170톤에서 1,300여톤까지 극심한 풍흉년의 차이를 보여 왔는데 1985년 1,313톤을 기점으로 하여 매년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br><br>송이버섯 생산량의 감소는 지난 몇 년 동안 이상기후와 산불 피해는 물론 솔잎혹파리피해로 인한 소나무림의 활력감소, 하층식생과 낙엽층이 증가하는 등 여러 가지 원인들로 인해 송이균이 점차 퇴화하여 생산량이 줄어드는 추세에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br><br>그러나 올해는 송이버섯이 형성되는 시기에 비가 자주 내려주고, 송이버섯의 발생과 생장에 적합한 환경이 갖추어졌기 때문에 예년에 비해 생산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br><br>산림조합의 올해 송이버섯 공판계획은 350톤이며, 수출계획은 3,000만불이다. 지난해 산림조합에서는 송이버섯을 총 225톤을 수집, 공판하였으며, 채취자들은 230여억원의 수입을 올렸다.<br><br>송이버섯은 은은한 솔향이 배어있고 씹히는 맛이 고기와 비슷해 예부터 귀족식품으로 대접받았다. 송이버섯은 인공재배가 되지 않는 자연산으로 소나무뿌리와 함께 사는공생균이며 40~60년 정도 된 소나무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송이버섯의 발생 지역은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부포되어 있으며 동해안지역의 강릉, 양양, 고성, 인제, 영덕, 울진과 내륙지방으로 제천, 봉화, 안동, 문경, 청도, 청송, 거창 등이 주산지이다.<br><br>우리나라는 송이버섯의 대부분을 일본으로 수출해 왔으며, 일본시장에서 한국산 송이버섯은 북한산이나 중국산에 비해 신선도가 높아 상대적으로 비싼 가격에 거래됐다.<br><br>산림조합 관계자는 "수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산림조합에서는 등급별 규격에 맞도록 철저히 선별하여 수출업체에 공급하고 있으며, 수출업체에서는 신선도를 유지하여 일본시장에서 북한산이나 중국산 송이에 밀리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라고 밝혔다.<br><br>한편, 서울 남대문시장과 경동시장 등에서는 북한산과 중국산 송이버섯도 많이 거래되고 있는데, 소비자가 구입할 때는 원산지를 꼭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산 송이버섯은 갓과 자루 끝에 흙이 묻어 있는 것이 많으며 갓과 자루가 단단하고 신선하며 고 고유의 향기가 진하다. <br>반면에 수입산은 갓과 자루의 끝이 깨끗하고 자루가 약간 물렁물렁하며, 고유의 향기가 없고 신선도가 떨어지므로 구입 시 이 점을 꼭 확인하는 것이 좋다.<br><br><br><b> 품질이 좋은 송이버섯은 <br><br>고유의 향기를 가지고 있으며 갓의 육질이 두껍고 퍼지지 않으며 색깔이 선명하고 탄력성이 큰 것, 자루가 굵고 짧으며 통통한 것, 내부의 육질이 은백색이고 갈색의 반점과 충해가 없는 것, 주름막이 찢어지지 않는 것을 고르면 된다.</b><br><br>--한국영농신문(03.9.29)<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309

송이버섯 본격 출하 시작

4,063
308

태풍「매미」로 밤 생산량 50% 정도 감소

2,786
307

부추 소비둔화 … 강세 한풀 꺾여

3,550
306

무 물량적고 소비꾸준 ‘쾌청’

3,263
305

사과·배 소포장 ‘반짝’ 특수

2,893
304

배추·무 면적 작년수준 당근 15% 감수 … 높은값

3,182
303

농산물 산지거래 과열 조짐

3,013
302

돼지값 급락 … 생산비 밑돌아

2,968
301

전북 ‘가을축제’ 풍성

3,087
300

나주시, 낙과 배 수매 1000톤 규모

2,834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