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농업관측속보(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3-10-07 조회수 2686
<br>태풍 ‘매미’와 잦은 비 때문에 채소와 과일 등 농산물 생산이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지난 20일 채소, 과일, 과채 관측속보를 잇달아 내놨다. 고추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37%나 적을 것으로 추정되고 사과, 배, 포도, 단감 등 주요과일도 20∼30%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br><br><br><b>고 추</b> <br><br>6∼8월의 잦은 강우로 인한 역병과 습해 등 피해로 2003년산 고추 단수는 작년보다 21% 적은 210㎏ 내외가 될 것으로 보이며 생산량은 작년산보다 37% 적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확이 지연돼 햇고추 출하량이 적고 9월 중순∼10월의 평균도매가격은 작년보다 45% 높은 상품 600g당 5천500원 내외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br><br><br><b>배추·무</b><br><br>가을배추·무 파종 및 정식시기인 8월 이후 지속된 강우로 적기 정식을 못했고 그 시기도 예년에 비해 7일 이상 지연됐다. 당초 예상과는 달리 금년 가을배추·무 재배면적은 작년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br><br><br><b>당근</b><br><br>태풍과 잦은 비로 작황이 악화돼 10∼11월 출하량은 작년 동기보다 15% 정도가 적을 것으로 보인다. 가격은 지난해나 평년 같은 기간보다 높을 전망이다.<br><br><br><b>감자</b><br><br>집중호우를 동반한 태풍으로 10월 이후에 출하될 고랭지감자가 일부 유실되거나 부패율이 증가함에 따라 10월 수미 가격은 작년이나 평년 동기보다 크게 높을 전망이다. 가을감자도 파종면적의 침수, 유실 등으로 생산량이 감소해 11∼12월 대지 가격은 높을 것으로 보인다.<br><br><b>대파</b><br><br>겨울대파는 부산·경남의 재배면적 중 30% 정도가 피해를 입어 전체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7% 감소할 전망이다. 가을대파는 대구, 상주 등 경북지역이 태풍의 피해를 크게 입었으나(피해면적 70%) 주요 출하지인 경기와 충청지역 피해는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돼 9월 하순 이후 가을대파 출하예상면적은 작년보다 3% 늘어날 전망이다.<br><br><br><b>사과</b><br><br>낙과 피해물량은 예상생산량의 11% 수준인 4만2천톤으로 추정된다. 주산지인 경북지역의 태풍피해로 올해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20% 감소한 35만톤이 될 전망이다.<br><br><br><b>배</b><br><br>낙과 피해물량은 예상생산량의 7% 수준인 2만8천톤으로 추정된다. 올해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7% 감소한 36만톤 수준으로 예상되며 흑성병 등의 영향으로 특품, 상품의 생산량은 25% 줄어들 전망이다.<br><br><br><b>감귤</b><br><br>태풍으로 인한 하우스의 파손이 있었으나 하우스감귤의 생산과 출하에는 영향이 적은 편이다. 노지온주의 낙과는 거의 없어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나 유과기의 강풍과 태풍영향이 겹쳐 외관품질은 좋지 않을 듯하다.<br><br><br><b>단감</b> <br><br>태풍으로 인한 낙엽피해가 많다. 향후 낙과가 늘어나고 과실비대가 부진할 듯하다. 올해 생산량은 예상생산량보다 1만9천톤, 지난해보다 3만2천톤 감소한 17만톤 수준이 될 전망이다.<br><br><br><b>포도</b><br><br>9월 이후에 출하되는 주요 출하지의 태풍피해는 거의 없었으나 열과발생이 심하다. 태풍이후 생산량은 예상생산량보다 약 3천톤 적은 40만톤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br><br><br>--농업인신문(03-09-27)<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319

9월 가축통계···산지가격 강세속에 한육우농가들 전업화 진행 탄력

3,244
318

올해 쌀생산량 3121만석 예상

3,487
317

농업관측속보(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제공)

2,686
316

벼재배 면적 크게 줄어

3,433
315

포도 품질 ‘쑥’ 가격 ‘쑥’

2,921
314

상추 생산량 줄어 ‘강세’

3,166
313

양배추값 내달부터 '들썩'

3,396
312

‘되살아난’ 무값- 당분간 ‘오름세’

2,990
311

꽃 - 특상품 물량 부족 ‘강세’, 중하품 소비 위축 ‘약세’

2,941
310

태풍 이후 농산물값 전망

3,153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