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9월 가축통계···산지가격 강세속에 한육우농가들 전업화 진행 탄력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3-10-07 | 조회수 | 3244 |
<br> 산지가격 강세로 한육우농가들의 전업화가 탄력을 받고 있다.<br> 사육마리수는 늘고 있지만 전체 사육농가의 97%를 점유하고 있는 50마리 미만의 소규모 농가 폐업은 늘고 50~100마리 미만 중규모 사육농가는 늘고 있기 때문이다.<br> 농산물품질관리원이 발표한 9월 가축통계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육우는 산지가격의 지속적인 강세로 사육마리수도 3개월전보다 2.9%인 4만1000마리 증가한 146만4000마리로 집계됐다.<br> 한육우 가임암소 역시 61만1000마리로 3개월전보다 2.3%인 1만4000마리가 늘었다. 연령별로는 1세미만이 4.2%로 가장 크게 늘었고, 규모별로는 50∼100마리 미만의 중규모가 4.3%로 가장 크게 증가했다.<br> 사육가구수는 18만9000호로 3개월전보다 0.5%인 1000호 감소했다. 이는 50∼100마리 미만의 중규모 사육농가는 증가한 반면 전체 사육농가중 약 97%를 점하는 50마리 미만의 소규모 사육농가 감소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호당 마리수는 7800마리로 3개월전 7500마리보다 300마리 늘었다.<br> 돼지 사육마리수도 어미돼지 마리수 증가와 계절적인 영향으로 3개월전보다 2.6%인 23만6000마리 증가한 928만7000마리로 조사됐다.<br> 모돈마리수 역시 98만8000마리로 3개월전보다 0.3%인 3000마리 늘었다.<br> 사육가구수도 1만5000호로 전분기보다 0.5%인 80호 증가했다. 특히 5000마리 미만의 중·소규모 사육농가수는 다소 증가하였으나 5000마리 이상 대규모 사육농가수는 전분기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br> 젖소 사육마리수는 원유수급 불균형, 우유 생산감축대책 추진 등에 따른 사육마리수 감소로 52만6000마리에 그쳤다. 이는 3개월전보다 2.8%인 1만5000마리가 감소한 수치다.<br> 젖소 가임암소도 36만2000마리로 3개월전보다 2.7%인 1만마리가 감소했다. 연령별로는 1세 미만의 감소폭이 4.6%로 가장 컸고 규모별로는 50마리 미만의 소규모 사육농가의 감소폭이 6.1%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br> 사육가구수는 1만800호로 3개월전보다 4.4%인 500호 감소했다. 특히 100마리 미만의 중·소규모 사육농가수는 감소했으나 100마리 이상 대규모 사육농가수는 증가했다.<br> 산란계 사육마리수는 4938만3000마리로 3개월전보다 0.6%인 30만4000마리가 늘었지만 육계사육마리수는 4245만1000마리로 36.4%인 2430만5000마리나 감소했다.<br> 사육가구수는 15만호로 3개월전보다 2%인 3000호가 감소했다. <br> 호당마리수도 14만7000마리 줄었다. 특히 산란계 호당마리수는 3개월전보다 6.6%늘어난 반면 육계는 17.5% 감소했다. <br><br><br>--aflnews (031006), 김선희 기자 <br>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319 | 3,244 | ||
318 | 3,487 | ||
317 | 2,685 | ||
316 | 3,433 | ||
315 | 2,921 | ||
314 | 3,166 | ||
313 | 3,396 | ||
312 | 2,990 | ||
311 | 2,941 | ||
310 | 3,1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