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12월 채소 관측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3-12-03 조회수 2717
<br><b> ■ 겨울철 채소류 가격은 작년보다 낮을 전망 </b><br><br><br>당근과 감자를 제외한 엽·근채류의 겨울철 출하량은 재배면적 증가와 작황 호조로 작년보다 많아 가격은 낮을 전망. 재고량이 작년보다 적은 고추, 마늘, 양파의 가격은 작년과 비슷하거나 높을 전망. 내년 봄에 출하될 배추, 무, 양파, 쪽파의 재배면적은 금년보다 증가하고 마늘, 대파, 감자, 당근, 양배추는 감소할 전망. <br><br><br><b>■ 겨울철 배추·무 공급량은 금년보다 크게 증가 </b><br><br><br>월동배추 생산량은 작년보다 25% 많고, 저장·월동무 공급량은 금년 동기보다 2배 이상 많을 것으로 보여 겨울철 배추·무 가격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낮을 전망. 내년 봄배추·무 재배의향면적은 금년보다 각각 2%, 3% 증가. <br><br><br><b>■ 고추 생산량은 작년보다 32% 적어 </b><br><br><br>고추 생산량은 작년보다 32% 적은 13만 2천톤이며, 11월말 현재 공급량은 작년 동기보다 19% 적고, 재고량도 27% 적은 4만 6천톤 수준. 하지만 국내 가격상승으로 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보여 12월 이후 가격은 보합세 전망. <br><br><br><b>■ 내년산 마늘 재배면적은 감소하고, 양파는 증가 </b><br><br><br>내년산 마늘 재배면적은 금년산보다 6% 감소한 3만 1,100ha 내외 전망. 12월∼내년 4월의 민간저온저장량이 전년보다 적고 부패율이 높아 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높을 전망. <br><br>내년산 양파 재배면적은 금년산보다 7% 증가한 1만 3,250ha 내외 전망. 12월∼내년 3월의 민간 저온저장량이 작년보다 적어 가격은 강보합세를 유지할 전망. <br><br><br><b>■ 대파 출하량은 작년보다 13% 적고, 쪽파는 많아 </b><br><br><br>12월 대파 출하량은 작년보다 13% 적어 도매가격은 상품 kg당 1,200원 내외 전망. 내년 1월 이후의 출하예상면적이 작년보다 증가하고 겨울철 기상여건이 평년 수준일 경우 수확량이 증가하여 내년 1∼4월 가격은 금년 동기보다 크게 낮을 가능성이 있음. <br><br>12월의 쪽파 출하량은 작년 동기보다 13% 많아 가격은 작년 동기보다는 낮겠으나 평년 동기보다는 높을 전망. 내년초 출하예상면적은 금년보다 2% 증가. <br><br><br><b>■ 겨울철 양배추 출하량은 많고, 당근은 적을 전망 </b><br><br><br>12월의 양배추 출하량은 작년 동기보다 11% 많고 내년 1∼2월 출하량도 15% 내외 많아 도매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낮을 전망. 12월의 당근 출하량은 작년 동기보다 10% 적고, 내년 1∼2월 출하량도 6% 내외 적어 도매가격은 작년보다 높을 전망. 하우스·봄 당근·양배추 재배의향면적은 4∼5% 감소 전망. <br><br><br><b>■ 12월 이후 감자 출하량은 작년보다 크게 적을 듯</b> <br><br><br>가을감자(대지) 및 고랭지 저장감자(수미)의 12월 출하예상량이 작년 동기보다 47∼49% 적어 12월 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크게 높아 강세 지속 전망. 제주도 겨울감자 파종면적은 금년보다 13% 감소 전망. <br> <br><br>--농촌경제연구원,농업정보관측센터 자료 <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379

겨울철 무ㆍ배추값 심상치 않다.

3,134
378

빈혈 예방하는 감자 나온다

3,069
377

〈관심품목〉 감자

2,781
376

12월 축산 관측정보

2,914
375

김장 양념류 원산지 표시 집중 단속

3,105
374

12월 채소 관측정보

2,717
373

〈관심품목〉딸기, 물량증가로 하락세

2,882
372

9개 어종 21만 7650톤 잠정확정 -내년 총허용어획량 올보다 6% 삭감

3,087
371

<관심품목> 마늘·생강, 김장철 성수기 맞아 강세···상품 비중은 낮아

3,215
370

시설하우스 난방비 과다지출

2,886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