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12월 축산 관측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3-12-08 조회수 2914
<br><b> <font color="blue"> <한육우> </b> </font><br><br><b>■ 한육우 사육두수 전년 대비 증가 전망 </b><br><br><br>9월 한육우 사육두수는 146만 4천두로 3개월전에 비해 4만 1천두 증가하였다. 한우는 3개월 전에 비해 3만 1천두, 육우는 1만두 증가했다. 한육우 사육두수 중 육우비율은 13.5%로 육우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br><br><br>12월 사육두수는 계절적 영향으로 송아지 생산이 적을 것으로 보여 9월에 비해 감소한 145만두, 2004년 3월 사육두수는 연말과 설 기간에 도축이 증가하나 송아지 생산이 많을 것으로 보여 146만두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br><br><br>전년 동기에 비해 12월 사육두수는 3%, 2004년 3월 사육두수는 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br><br><br><b>■ 한우산지가격 높은 수준 유지 전망 </b><br><br><br>연말과 설 기간에 수요 증가와 고급육 공급이 부족할 것으로 보여 한우 산지가격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br><br><br>12월∼2004년 2월 한육우 출하두수는 전년 동기간에 비해 12%, 암소 출하두수는 25% 감소할 것으로 보여, 한우수소(500kg) 산지가격은 410만원대, 한우암소(500kg) 산지가격은 500만원대에서 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br><br><br>9∼11월에 생산된 송아지 두수는 전년 동기간에 비해 8% 증가할 것으로 보이나, 밑소 부족으로 12월∼2004년 2월 수송아지 산지가격은 260만원대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br><br><b><font color="blue"><젖 소></b></font><br><br><br><b>■ 12월 사육두수 전년 동기보다 3.1% 감소</b> <br><br><br>2003년 5월부터 실시한 원유폐업·감산정책으로 경산우의 도태가 증가하여 9월 젖소 사육두수는 3월보다 급격히(4.6%) 감소하였다. <br><br><br>표본농가 조사결과, 집유업체의 쿼터제 실시로 현재 규모를 유지하려는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0두 미만의 소규모 농가는 폐업하려는 의향이 높은 반면 100두 이상의 대규모 농가는 규모를 늘리려는 의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br><br><br>2003년 12월 사육두수는 전년 동기보다 3.1% 감소한 52만 7천두, 2004년 3월은 4.2% 감소한 52만 9천두로 전망된다. <br><br><br><b>■ 1∼3월 원유생산량 전년보다 감소 전망 </b><br><br><br>2003년 12월 착유우 두수가 전년 동기보다 감소할 것으로 보여 10∼12월 원유생산량은 전년 동기간보다 4.8% 감소한 58만 1천톤, 2004년 1∼3월 원유생산량은 전년 동기간보다 0.7% 감소한 60만 6천톤으로 전망된다. <br><br><br>10∼12월의 원유생산량이 전년 동기간보다 4.8% 감소할 것으로 보여, 2003년 원유생산량은 2002년보다 6.2% 감소한 237만톤으로 전망된다. <br><br><br>원유소비량이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이는 반면, 원유생산량과 수입량이 감소하면서 원유재고량은 서서히 감소할 전망이다. <br><br><b><font color="blue"><돼 지></b></font><br><br><br><b>■ 3월 사육두수 전년 동기보다 1% 증가 전망 </b><br><br><br>양돈농가사육의향은 가격하락에 따른 농장경영의 어려움, 경기에 대한 불안심리, 축사규모의 한계 등으로 현재규모를 유지하려는 의향이 대부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br><br><br>3월부터 모돈수가 전년동기보다 증가하여 2003년 12월 돼지 사육두수는 전년 동기보다는 2% 증가한 915만두, 2004년 3월은 912만두로 전망된다. <br><br><br>올 11∼12월 농가 성돈 출하의향은 10월보다 조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4년 1∼3월에는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br><br><br><b>■ 2004년 1∼3월 산지가격 15만원대로 전망</b> <br><br><br>6∼8월 유사산으로 11월 중순부터 출하두수가 전년 동기간에 비해 감소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소비위축이 이어지면서 10∼12월 가격은 14만 5천원∼15만 5천원으로 전망된다. <br><br><br>2004년 1∼3월 산지가격은 전년과 비슷하지만 2003년 10∼12월보다 조금 높아진 15만원∼16만원으로 전망된다. <br><br><br>비선호부위 재고량 증가와 돼지부산물가격 하락 등으로 육가공업체에서 작업량을 줄일 경우 가격의 변화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br><br><b><font color="blue"><산 란 계></b></font><br><br><br><b>■ '04.3월 사육수수 올해동기보다 감소할 전망 </b><br><br><br>산란계 신규입식이 감소하여 12월 산란계 사육수수는 전년동기보다 1.4% 감소한 4,951만수, 사육수수 잠재력이 크게 낮으나 농가들의 도태의향이 낮게 나타난 '04년 3월 사육수수는 올해 3월과 비슷한 4,872만수로 전망된다. <br><br><br>계란 생산에 가담하는 실용계 병아리 입추실적이 감소하여 12월과 '04년 3월의 6개월령 이상 산란용 마리수는 전년동기보다 각각 3.2%, 4.0%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br><br><br>'04년 3월 산란용 마리수와 7∼9월 병아리용 배합사료 생산량이 전년보다 각각 4.0%, 9.8% 감소하여 '04년 1∼3월 계란생산량은 올해 동기간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br><br><br><b>■ '04.1∼3월 계란가격 올해 동기간보다 상승할 전망 </b><br><br><br>10∼12월 계란 공급물량이 전년 동기간보다 감소하고 연말 수요증가로 계란 산지가격은 전년 동기간(693원)보다 상승한 750∼800원으로 전망된다. <br><br><br>'04년 1∼3월 계란 공급물량이 올해 동기간보다 감소하고 설특수가 예상되어 계란 산지가격은 올해 동기간(699원)보다 상승한 750∼850원으로 전망된다. <br><br><br>최근 계란가격 상승으로 노계출하가 계속 지연되면서 정상적인 노계도태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설이후 수요감소가 예상되므로 '04년 1∼3월 계란가격은 전망치보다 낮게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 <br><br><b><font color="blue"><육 계></b></font><br><br><br><b>■ 12월 사육수수 전년동기보다 감소할 전망</b> <br><br><br>11월 육용 실용계 병아리 생산수수가 전년보다 감소하여 12월 육계 사육수수는 전년동기보다 6.4% 감소하고 11월보다 1.1% 감소한 4,214만수로 전망된다. <br><br><br>육계 생육상황이 전년과 비슷하고 12월 사육수수가 전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어 도계수수는 전년동기보다 6.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br><br><br>5월에 실시된 종계 조기도태로 12월 병아리 생산 잠재력은 전년보다 5.6% 낮으며 종계 입식 감소로 '04년 1월 병아리 생산 잠재력은 올해동기보다 크게(13.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br><br><br><b>■ 12월 육계 가격 전년동기보다 상승할 전망 </b><br><br><br>12월 육계 평균 산지가격은 닭고기 공급이 전년동기보다 감소하고 연말 수요증가로 전년동기(953원)보다 상승한 1,000∼1,100원에서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br><br><br>12월 육계 가격은 등락폭이 클 것으로 예상되며 질병으로 인하여 육계 생산성이 저하될 경우 12월 육계 산지가격은 전망치보다 높게 형성될 가능성도 있다. <br><br><br>'04년 1월은 도계수수 잠재력이 올해동기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으나 종계 환우계군에 의한 공급물량이 증가할 경우 육계 가격은 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br> <br> <br>--자료 : 농촌경제연구원,농업관측정보센터 <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379

겨울철 무ㆍ배추값 심상치 않다.

3,133
378

빈혈 예방하는 감자 나온다

3,068
377

〈관심품목〉 감자

2,780
376

12월 축산 관측정보

2,914
375

김장 양념류 원산지 표시 집중 단속

3,105
374

12월 채소 관측정보

2,716
373

〈관심품목〉딸기, 물량증가로 하락세

2,882
372

9개 어종 21만 7650톤 잠정확정 -내년 총허용어획량 올보다 6% 삭감

3,087
371

<관심품목> 마늘·생강, 김장철 성수기 맞아 강세···상품 비중은 낮아

3,215
370

시설하우스 난방비 과다지출

2,885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