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농기계사고 비용, 농가소득의 4배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4-03-10 | 조회수 | 2617 |
<TABLE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610 border=0> <TR> <TD style="PADDING-RIGHT: 5px; PADDING-LEFT: 5px; PADDING-BOTTOM: 5px; PADDING-TOP: 5px"> <P> </P></TD></TR><!--테이블--> <TR style="LINE-HEIGHT: 150%"> <TD style="PADDING-RIGHT: 10px; PADDING-LEFT: 3px; PADDING-TOP: 20px"> <P>농기계사고로 인한 건당 경제·사회적비용이 호당 농가소득의 4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R> <BR> 최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강창용 연구위원과 오세익 선임연구위원이 총 118건의 농기계사고를 대상으로 농기계사고로 인한 경제·사회적 비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BR> <BR> 분석결과에 따르면 사고 1건당 총 비용은 2002년 호당 농가소득인 2447만5000원에 비해 4배가 많은 9770~~9776만원으로 조사됐다.<BR> <BR> 생산손실, 차량손실, 의료비만을 고려한 직접적 비용은 4159만5000원으로 호당 농가소득의 1.7배로 나타났다.<BR> <BR> 사고비용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기종은 트랙터로 사고 1건당 1억2860만원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경운기가 9200만원, 콤바인이 8400만원 순으로 조사됐다.<BR> <BR> 사고 경중별 총 비용은 사망사고시 1건당 대략 3억750만원이 소요돼 평균 총비용보다 3.1배 높게 나타났으며, 중상은 1억3700만원, 경상은 1028만원으로 나타났다.<BR> <BR> 농기계 사고의 가장 큰 원인은 운전·조작자의 과실과 부주의 등이 66.3%로 가장 높았으며 돌발요인이 21.8%, 열악한 포장과 작업조건이 6.9%로 조사됐다.<BR> <BR> 특히 고령자일수록 과실에 의한 사고가 많고 돌발사고는 자동차의 83.3%에 비해 훨씬 낮아 농기계 운전·조작자에 대한 안전교육이 시급한 실정이다.<BR> <BR> 강창용 연구위원은 “농기계의 대형화와 농촌인구의 노령화로 농기계사고는 앞으로 대형화, 빈번화 될 여지가 많고 그로 인한 사회적 비용도 적지 않다”고 지적, “사고 예방과 함께 지원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BR> <BR> 강 연구위원은 “선진국은 농기계 사고에 대한 각종 지원제도를 다양하게 도입하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 생산에서부터 농기계의 안전성을 추구하고 있고 독일은 자동차와 같이 책임과 임의보험가입을 하도록 하고 있다”며 “선진국들의 다양한 관련제도를 검토, 국내 실정에 맞는 지원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BR></P> <P> </P> <P>--농수축산신문(04.03.08), 길경민기자</P></TD><!--<td style="padding-right : 10; padding-top : 20; padding-left : 3"></td>--></TR><!--테이블끝--> <TR align=right> <TD style="PADDING-RIGHT: 10px; PADDING-BOTTOM: 15px; PADDING-TOP: 10px"><FONT size=2></FONT></TD></TR></TABLE>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459 | 2,516 | ||
458 | 2,682 | ||
457 | 2,778 | ||
456 | 2,963 | ||
455 | 2,716 | ||
454 | 2,807 | ||
453 | 2,777 | ||
452 | 2,852 | ||
451 | 2,617 | ||
450 | 2,8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