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2003년 농업기본통계조사 결과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4-03-19 조회수 2711
<DIV align=center>&nbsp;</DIV><DIV style="LINE-HEIGHT: 5mm" align=justify><FONT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FONT-FAMILY: 굴림">2003년 12월 현재 전국 농가는 126만4천 가구, 농가인구는 353만 명인 것으로 조사됐다.<BR>특히, 농가경영주 연령층은 40세 미만 비중이 3.5%(4만4천명)에 불과한 반면 60세 이상이 73만 명으로 전체 농가의 57.7%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 농촌의 ‘초고속’ 노령화를 실감케 했다.<BR><BR>통계청은 지난달 28일 이 같은 내용의 ‘2003년 농업 및 어업 기본통계조사 결과’를 발표했다.<BR>통계청은 지난해 12월에 전국 3천여 조사구의 농가 6만6천400가구와 어가 6천500가구를 표본으로 농·어가 수와 농·어가 인구, 영농형태, 농축산물 판매현황 등 변화추이에 대해 조사했다고 밝혔다.<BR><BR><BR><FONT color=green><STRONG>◆ 농가와 농가인구</STRONG></FONT><BR><BR>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2003년 12월 1일 현재 농가는 126만4천 가구로 전년대비 1.3%(1만6천 가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BR>2000년 138만3천 가구에서 3년 새에 11만9천 가구가 농촌을 떠나거나 농업을 그만둔 셈이다.<BR>농촌인구 고령화에 따른 탈농, 농가의 도시전출 등이 주요 감소요인인 것으로 파악된다.<BR><BR>지난해 1.3% 감소율은 최근 10년간(1993∼2003년) 연평균 농가 감소율 2.3%에 견주면 낮은 감소율이다.<BR>2003년 12월 현재 농가가 국내 총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8.3%로 감소했다.<BR><BR>총가구 대비 농가비중은 1995년 11.6%(1천295만8천 가구 중 150만1천 가구)에서 2000년 9.7%(1천483만4천 가구 중 138만3천 가구)로, 2003년 8.3%(1천529만8천 가구 중 126만4천 가구)로 감소한 것.<BR><BR>전업은 줄고 겸업이 늘어나는 추세도 주목할 만하다.<BR>농업수입만 있는 전업가구는 2000년에 90만2천 가구였으며 2002년 86만2천 가구에서 2003년 81만3천 가구로 계속 줄어들고 있다.<BR><BR>2003년 전업가구가 2002년에 견줘 5.7%(4만9천 가구) 줄어든 반면 겸업가구는 2002년 41만8천 가구에서 2003년 45만2천 가구로 8.0%(3만3천 가구) 늘어났다.<BR><BR>이는 농업여건이 나빠지면서 상당수 농업인들이 농업만으로 생계를 잇기 힘들기 때문에 농업 외 다른 일에 종사해 가계부담을 덜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BR><BR>농가인구는 353만 명으로 전년대비 1.7%(6만 명)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BR>총인구(4천792만5천 명) 대비 농가인구 비중도 7.4%로 계속 낮아지고 있으며, 특히 농가의 남자 감소율(1.9%)이 여자(1.5%)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BR><BR>농가인구는 1995년 485만1천 명에서 2000년에 403만1천 명으로 400만 명 남짓으로 줄었으며 다시 3년 새에 50만 명이 줄어든 것.<BR>총인구 대비 농가인구비중도 1995년 10.8%에서 2000년 8.6%, 2001년 8.3%, 2002년 7.5%. 2003년 7.4%로 계속 줄어드는 추세이다.<BR><BR>특·광역시를 제외한 9개도 중 농가 감소율이 큰 도는 충남(2.6%) 경남(2.4%) 전남(2.3%) 순서로 나타났으며 경기와 강원 농가는 전년대비 각각 1.2%, 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BR><BR>한편 농가와 농가인구가 가장 많은 도는 경북(21만7천 가구)이며 전남(20만3천 가구)이 그 뒤를 잇는 것으로 조사됐다.<BR></FONT></DIV><FONT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FONT-FAMILY: 굴림"><DIV style="LINE-HEIGHT: 5mm" align=justify><BR><STRONG><FONT color=green>◆ 농가경영주</FONT></STRONG></DIV><DIV style="LINE-HEIGHT: 5mm" align=justify>&nbsp;</DIV><DIV style="LINE-HEIGHT: 5mm" align=justify>경영주 연령층은 60대가 46만1천 명(36.4%)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BR>이밖에 2003년 12월 현재 40세 미만 경영주는 4만4천 명(3.5%), 40∼49세는 19만8천 명(15.6%), 50∼59세는 29만3천 명(23.2%) 등으로 조사됐다.<BR><BR>농가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70세 이상 경영주 비중도 21.3%(26만9천 명)로 계속 증가하는 반면 50대 이하의 경영주는 계속 줄어드는 추세이다.<BR>특히 40세 미만 농가 경영주는 2000년에 9만2천 명(6.6%비중)에서 2002년 5만3천 명(4.1%), 2003년 4만4천 명(3.5%)으로 줄어들며 후계농업인 부족현상이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다.<BR><BR>전체 농가에서 여성경영주 비율은 16.1%(20만4천 명)로 나타났으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여성경영주의 비율도 높아져 60세 이상에서는 21.6%(15만7천 명)가 여성경영주인 것으로 조사됐다.<BR><BR>한편 2003년 12월 현재 농가인구 중 여자가 181만5천 명으로 남자(171만5천 명)보다 10만 명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BR><BR><STRONG><FONT color=green>◆ 경영규모와 영농형태</FONT></STRONG><BR><BR>경지가 없는 농가나 0.5ha(약 1천500평) 미만 농가가 46만2천 가구(36.6%)에 달해 영세 소규모농가가 여전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BR>경지 규모가 0.5∼1.0ha인 33만2천 가구(26.3%)까지 치면, 사실상 10농가 중 6농가(62.9%)가 경지 1ha(약 3천 평)도 갖추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BR><BR>3.0ha(약 9천 평) 이상의 대규모 경장농가 비중은 2002년 6.1%(7만8천 가구)에서 2003년 6.6%(8만3천 가구)로 약간 늘어난 반면 0.5∼3.0ha 경작농가는 다소 줄었다.<BR>농가의 주된 영농형태는 논벼(52.2%), 채소(20.3%), 과수(10.5%) 순서로 나타났다.<BR><BR>이 가운데 논벼농사를 주로 하는 농가는 전년대비 6.4%(4만5천 가구) 감소했으며 전체농가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계속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BR>논벼농가는 2000년 78만7천 가구(56.9%)에서 2001년 76만6천 가구, 2002년 70만5천 가구, 2003년 66만 가구(52.2%)로 줄어 3년 새에 12만7천 농가가 벼농사를 그만둔 것으로 조사됐다.<BR><BR>반면 채소나 축산을 주로 하는 농가비중은 다소 증가했으며, 특히 축산농가는 2002년 7만 가구(5.5%)에서 2003년 8만6천 가구(6.8%)로 많아졌다.<BR>경영주 연령으로 보면, 논벼나 특용작물 재배는 60세 이상 경영주 비율이 높고 화훼나 축산 경영은 60세 미만 경영주 비율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BR><BR><BR><FONT color=green><STRONG>◆ 농축산물 판매<BR></STRONG></FONT><BR>연간 농축산물 판매규모가 1천만 원 미만인 소규모 농가가 전체농가의 68.9%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BR>농축산물 판매가 실질적인 농업소득과 직결되는 만큼 우리 농가의 농업소득이 크게 부족한 현상이 이어진다고 볼 수 있다.<BR><BR>더구나 전체농가 감소, 도시근로자가구소득의 증가, 물가상승 등을 감안할 때 판매금액 1천만 원 미만인 농가가 2002년에 86만1천 가구에서 2003년 87만1천 가구로 늘어난 사실은 최근 농가경제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음을 방증한다.<BR><BR>판매금액 1천만 원 미만 농가 증가와 함께 3천만 원 이상 판매농가도 10만1천 가구로 전년보다 약 3천 가구가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BR><BR>전체 한국사회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화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농축산물 판매를 통한 농업소득도 ‘양극화 편중’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BR><BR>연간 5천만 원 이상의 대규모 판매농가(3만9천600가구) 중에서는 축산위주 농가비율이 43.8%로 가장 높고 채소(19.4%), 논벼(16.4%) 순서로 나타났다.</FONT><BR></DIV><DIV style="LINE-HEIGHT: 5mm" align=right><FONT color=gray>--농업인신문(2004-03-08)</FONT></DIV>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469

김산업 구조개선 계획 업계반응 ´환영´

2,855
468

"농산물 생산이력제 필요"

2,795
467

나무 한 그루 심어볼까∼

2,634
466

친환경 농산물 재배확산

2,453
465

신혼부부 나무심기 행사 개최

2,625
464

4월 과채 관측정보

2,637
463

4월 과일 관측정보

2,618
462

채소ㆍ과일ㆍ우유 매일 먹자

2,690
461

친환경 농산물 생산ㆍ유통량 크게 증가

2,706
460

2003년 농업기본통계조사 결과

2,711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