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농산물 생산이력제 필요"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4-03-26 | 조회수 | 2796 |
<TABLE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610 border=0> <TR> <TD style="PADDING-RIGHT: 5px; PADDING-LEFT: 5px; PADDING-BOTTOM: 5px; PADDING-TOP: 5px"></TD></TR><!--테이블--> <TR style="LINE-HEIGHT: 150%"> <TD style="PADDING-RIGHT: 10px; PADDING-LEFT: 3px; PADDING-TOP: 20px"> <P>국내 소비자 10명중 8명이 농산물 생산이력제 도입의 필요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BR> 이들은 또 생산이력제가 가장 먼저 도입돼야 할 품목으로 육류와 엽채류를 꼽았다.<BR><BR> 농촌진흥청은 리더스컨설팅그룹과 공동으로 지난해 11월 한달간 서울에 거주하는 31∼55세 가정주부 600명을 대상으로 `농산물의 생산이력제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농산물 생산이력제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소비자가 80%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지난 22일 밝혔다. 농산물 생산이력제에 대해 `필요치 않다'는 소비자는 3.3%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BR><BR> 반면 인지도 면에서는 소비자 중 72.5%가 `들어본 적 없다'고 응답해 `어느 정도 알고 있다' 4%에 비해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BR> 국산 농산물 중 안전성에 관심이 많은 품목은 껍질째 먹는 과일이 가장 높은 26.2%를 차지했으며, 엽채류 19.7%, 쇠고기 19.5%, 돼지고기·닭고기 8.7%, 곡류 8.5% 순으로 나타났다.<BR> 또 생산이력제가 가장 먼저 도입돼야 한다고 생각하는 품목은 육류 37.7%, 엽채류 21.3%, 곡류 21%, 과일 12.8%을 꼽았다. <BR><BR> 이와관련 생산이력제를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해야 할 정보로는 과일·채소의 경우 농약사용현황 42.7%, 산지 26.7%, 생산자 8.8%, 화학비료사용현황 7.5% 순으로 나타났다.<BR> 쇠고기는 수입산여부 32.3%, 병력·위생증명 32%, 사육자 9%, 품종·어미소 8.7%, 출생기록 5.2%, 사육방법 4.8% 순으로 조사됐다. <BR><BR> 한편 생산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농산물에 대해 얼마나 더 가격을 지불할 의향이 있는지 조사한 결과 가격이 5% 상승해도 구입하겠다는 소비자가 전체의 52.9%로 가장 많고, 10% 가격상승에 대해서는 소비자의 21.1%가, 동일한 가격이어야 구입하겠다는 소비자는 18.6%로 조사됐다. <BR><BR> 이병서 농진청 농업경영담당관실 농업연구사는 “이번 조사결과가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농산물 생산이력제의 도입 방향성을 판단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BR></P></TD><!--<td style="padding-right : 10; padding-top : 20; padding-left : 3"></td>--></TR><!--테이블끝--> <TR align=right> <TD style="PADDING-RIGHT: 10px; PADDING-BOTTOM: 15px; PADDING-TOP: 10px"><FONT size=2>---농수축산(04.03.25), 박유신 기자</FONT></TD></TR></TABLE>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469 | 2,855 | ||
468 | 2,796 | ||
467 | 2,635 | ||
466 | 2,453 | ||
465 | 2,625 | ||
464 | 2,637 | ||
463 | 2,618 | ||
462 | 2,691 | ||
461 | 2,706 | ||
460 | 2,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