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남해안 어획량 멸치 44% 최다”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4-04-28 | 조회수 | 2872 |
<TABLE height="100%"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640 border=0> <TR> <TD vAlign=top height=80> <TABLE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100%" border=0> <TR> <TD><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3031"></SPAN></TD></TR> <TR> <TD align=right height=20></TD></TR> <TR> <TD height=25><B><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197b30">수과원 남해수산연구소 </FONT></B><BR></SPAN></TD></TR></TABLE></TD></TR> <TR> <TD vAlign=top> <TABLE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100%" border=0> <TR> <TD vAlign=top align=left><SPAN style="FONT-SIZE: 11pt; COLOR: #003031; LINE-HEIGHT: 14pt; FONT-FAMILY: '굴림'"> <P><BR>남해안 일대 어종분포를 조사한 결과 멸치를 제외한 대부분 어종의 체장이 작은 것으로 나타나 지속적인 자원 이용을 위해서는 소형어의 보호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BR><BR>이같은 결과는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가 지난 3월 16부터 3월 25일까지 시험조사선을 이용, 남해안 15곳에서 어업자원 분포밀도를 조사한 결과 나타났으며 수온이 평년보다 1℃ 정도 높아 멸치, 덕대(병어), 삼치 등 난류성어종의 어장형성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BR><BR>주요 어종별 어획량은 멸치가 44%를 차지해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덕대 12%, 삼치 10%, 황아귀 7%, 셋돔 6%, 갈치 2%, 전어 1% 순으로 어획됐다. <BR>해역별로는 16℃의 고수온해역인 제주도 동부와 남해 동부해역에서 분포밀도가 높았다.<BR></P> <P></FONT></P> <P> </P> <P>--한국농어민신문(04.04.15), 김관태 기자<!-- HTML인 경우 --></SPAN></P></TD></TR></TABLE></TD></TR></TABLE>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489 | 2,979 | ||
488 | 2,947 | ||
487 | 2,872 | ||
486 | 2,704 | ||
485 | 3,072 | ||
484 | 2,949 | ||
483 | 3,184 | ||
482 | 2,697 | ||
481 | 2,774 | ||
480 | 2,9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