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7~8월 과일*과채 관측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4-07-23 | 조회수 | 2680 |
<P> </P><P align=center><FONT size=2><STRONG>7~8월 과일*과채 관측</STRONG></FONT></P><P> </P><P> </P><P> </P><P align=center><FONT color=blue><STRONG>포도 </STRONG></FONT> <FONT color=gray><EM>품질 좋아 지난해와 비슷</EM></FONT></P><P> </P><P> 7월 공급량은 지난해 동기보다 7% 정도 증가하고, 수박*복숭아 등 대체과일 공급량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포도 품질이 양호할 것으로 예상돼 7월 중순 이후부터 8월 상순 포도가격은 지난해 캠벨얼리 상품 2㎏당 11,000원과 비슷하거나 약간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P><P> </P><P align=center><STRONG><FONT color=orange>복숭아 </FONT></STRONG> <FONT color=gray><EM>공급량*출하량 늘어 가격 하락</EM></FONT></P><P> </P><P> 성목면적은 지난해보다 3% 증가한 9,910㏊이다. 단수가 7%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0% 증가한 21만톤 수준으로 전망된다. 조*중생종 품질은 지난해보다 좋은 편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7~8월 출하량은 8% 증가하고 수박, 포도 등 대체과일 공급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7월 중순 이후부터 8월 상순까지 가격은 지난해 창방 상품 5㎏당 18,000원 보다 낮을 전망이다.</P><P> </P><P align=center><FONT color=red><STRONG>사과 </STRONG></FONT> <FONT color=gray><EM>올해 생산량 지난해보다 7% 많아</EM></FONT></P><P> </P><P> 성목면적이 지난해보다 5% 적은 1만 6,98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생육상황이 지난해보다 좋아 단수는 지난해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생산량은 태풍피해가 심했던 지난해보다 6~8% 정도 늘어난 39~40만톤 수준이 될 전망이다.</P><P> 조*중생종 예상 품질 조사결과 품질이 다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나 생산자조직 중심으로 적과 등 품질향상을 위해 노력이 요구된다.</P><P> </P><P align=center><STRONG><FONT color=orange>배</FONT></STRONG> <EM><FONT color=gray>생산자 풀하량 자율조절 해야</FONT></EM></P><P> </P><P> 지난해 대비 착과 및 생육환경이 좋고 전국적으로 봉지수가 9% 정도 늘어 태풍피해를 입었던 지난해보다 성목단수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올해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27~31% 늘어난 40~41만톤 내외가 될 전망이다.</P><P> 생산량 증가에 따른 가격 하락이 에상됨에 따라 생산자 조직별로 자율적인 생산량 조절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조사됐다.</P><P> </P><P align=center><STRONG><FONT color=green>수박 </FONT></STRONG> <FONT color=gray><EM>포전거래가격 지난해보다 23% 상승</EM></FONT></P><P> </P><P> 7, 8월에 출하될 단수는 지난해보다 각각 7%, 12%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7월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3% 정도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 8월에는 재배면적과 단수가 증가해 지난해보다 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라 7월 도매가격은 지난해 상품 8㎏ 개당 8,700원과 비슷하거나 조금 높을 전망이다. 8월에는 공급량이 지난해보다 많아 상품 8㎏ 개당 10,400원보다 낮은 수준이 될 전망이다.</P><P> 한편 포전거래 가격수준은 200평 하우스 1동당 270만원으로 지난해 220만원보다 23%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P> </P><P align=center><FONT color=orange><STRONG>참외 </STRONG></FONT> <FONT color=gray><EM>공급량 늘고 대체과일도 늘어 가격 하락</EM></FONT></P><P align=center> </P><P> 7월 공급량이 지난해보다 12% 정도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대체과일인 포도, 복숭아 등의 공급량도 증가해 7월 도매가격은 지난해 상품 15㎏ 상자당 30,200원보다 낮겠으며 평년 16,900원보다는 높을 전망이다.</P><P> 8월에는 공급량이 지난해보다 많지만 평년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8월 도매가격은 지난해 상품 15㎏ 상자당 34,800원보다는 낮고 평년 18,700원보다 높을 전망이다.</P><P> </P><P align=center><FONT color=green><STRONG>오이 </STRONG></FONT> <FONT color=gray><EM>공급량 늘어 취정 가격 하락 예상</EM></FONT></P><P> </P><P> 7월의 백다다기 공급량이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대체제인 배추공급량이 지난해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돼 7월 백다다기 가격은 지난해 상품 100개당 22,300원과 비슷하거나 조금 높을 전망이다. 8월에는 공급량이 지난해보다 늘어 가격은 지난해 상품 100개당 28,500원보다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P><P> 7월 취정은 공급량이 지난해보다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소비심리가 위축돼 7월 가격은 지난해 상품 20㎏ 상자당 27,200원보다 낮을 전망이다. 8월에는 공급량이 지난해보다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상품 20㎏ 상자당 28,400원보다 낮을 전망이다.</P><P> </P><P align=center><FONT color=red><STRONG>토마토 </STRONG></FONT><FONT color=gray><EM> 7~8월 가격 폭락 예상</EM></FONT></P><P> </P><P> 7~8월 일반토마토 출하면적이 지난해보다 크게 증가해 공급량은 지난해보다 53% 많을 전망이다. 여기다 대체물량도 많아 가격은 지난해보다 크게 낮을 전망이다. 방울토마토는 단수와 출하면적이 지난해보다 늘어 7~8월 공급량은 지난해보다 19% 정도 많을 전망이다. 품질은 좋으나 대체물량이 많아 가격은 지난해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P><P> </P><P> </P><P> </P><P> </P><P align=right>발췌 : 농업인신문 2004년 7월 23일자</P><P> </P><P> </P><P> </P>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549 | 2,710 | ||
548 | 2,517 | ||
547 | 2,580 | ||
546 | 2,694 | ||
545 | 2,566 | ||
544 | 2,677 | ||
543 | 2,877 | ||
542 | 2,680 | ||
541 | 2,762 | ||
540 | 2,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