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8월 과일 관측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4-08-04 조회수 2577
<TABLE width=600 border=0>    <TR>    <TD width=947>      <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 color=gray><B>■ 8월 포도 출하량은 지난해와 비슷하고 감귤은 감소, 복숭아는 증가할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center"><FONT       face=굴림><B>&nbsp;</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      <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8월 포도 출하량은 지난해 수준이나 하우스감귤은 4% 감소, 복숭아는 8% 증가할 전망이며 품질은 대체로 좋은 편임.       사과, 배, 감귤, 단감의 생육상황은 대체로 양호하며 적과 등 생산량조절과 품질개선을 위한 노력이 요구됨.       </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R>&nbsp;</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      <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 color=gray><B>■ 포도 8월 출하량은 지난해 수준일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nbsp;</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      <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노지포도의 생육상황은 대체로 양호함. 성목면적은 7% 감소하나 단수가 4% 증가하여 포도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3%       감소한 37만톤 수준 전망. 캠벨얼리 생산량은 3%, 거봉은 2% 줄어들 듯. 7월 출하량은 7% 증가하고, 8월에는 지난해 수준일       전망.</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3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 </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3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R>&nbsp;</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      <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 color=gray><B>■ 복숭아 8월 출하량은 8% 증가할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nbsp;</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      <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복숭아 생육상황은 지난해보다 좋은 편임. 복숭아&nbsp; 성목면적과 단수는 각각 3%, 7% 증가하여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0% 증가한 21만톤 수준 전망. 7월과 8월 출하량은 각각 8% 증가할 전망. 조·중생종 복숭아의 품질은 좋은       편임.</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R>&nbsp;</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      <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 color=gray><B>■ 사과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6~8% 증가할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nbsp;</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      <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사과 생육상황이 지난해보다 좋아 단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올해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6~8% 정도 늘어난       39~40만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 개화기 저온 피해로 정형과율이 다소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품질향상을 위한 노력이 요구됨.       </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3px;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R>&nbsp;</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      <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 color=gray><B>■ 배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27~31% 증가할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nbsp;</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      <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배 생육상황이 좋아 단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올해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27~31% 늘어난 40~41만톤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 생산량 증가로 가격하락이 예상되므로 생산자단체 중심의 자율적인 생산량 조절 노력이 요구됨.       </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R>&nbsp;</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      <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 color=gray><B>■ 노지온주 생산량&nbsp; 61~63만톤 수준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nbsp;</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      <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추가폐원 등으로 재배면적이 감소하겠지만 착과수 증가로 인해 노지온주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증가한 61~63만톤 수준       전망. 7월 중순~8월의 하우스온주 가격(상품 5kg당)은 공급량이 적고, 품질이 양호해 지난해보다 높은 2만 2천원~2만 4천원       수준 전망.</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R>&nbsp;</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      <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 color=gray><B>■ 단감 생산량 지난해보다 9~15% 증가할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3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nbsp;</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      <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단감 성목면적은 지난해보다 3% 감소하고 10a당 착과수도 지난해 동기보다 2% 적지만, 생산량은 태풍으로 단수가 크게       감소했던 지난해보다 9~15% 증가한 18~19만톤 수준 전망. 단감 생리낙과량은 전반적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많을 것으로       추정됨.</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TD></TR></TABLE><P>&nbsp;</P><P>--자료 : 농업관측정보센터</P>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559

국민 60% 우유 일주일 세잔 마셔

2,574
558

쌀아이스크림 나왔다

2,668
557

8월 과채 관측 정보

2,971
556

8월 과일 관측 정보

2,577
555

8월 축산 관측 정보

2,519
554

8월 채소 관측 정보

2,936
553

농수산물유통공사, 수출 공동브랜드 ‘휘모리’ 사용업자 접수

2,797
552

“배추·대파 출하 월·화요일에”

2,670
551

밥맛 정보 제대로 알려주세요

2,607
550

관심품목 - 상추

2,763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