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9월 과일 관측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4-08-23 조회수 2544
<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B></FONT></SPAN>&nbsp;</P><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 color=green><B>■ 사과 추석공급물량은 지난해보다 11%, 배는 65% 증가할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17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center"><FONT face=굴림><B><BR></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올해 기상조건이 양호한 편이여서 과일 작황 및 품질이 대체로 좋은 편임. 사과 추석공급물량은 지난해보다 11%, 배는 65% 증가할 전망이어서 가격하락이 예상됨. 따라서 완숙과 출하 등 고품질화와 출하시기 조절로 가격하락폭을 줄이는 노력이 요구됨.</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FONT></SPAN>&nbsp;</P><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nbsp;</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FONT color=green>■ 사과 추석 공급량은 지난해보다 많을 전망</FONT>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justify"></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nbsp;</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기상여건 호조로 사과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8% 많은 40만톤 수준이 될 전망. 품종별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후지 7%, 쓰가루 9%, 홍로 12%, 홍월 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추석공급물량은 지난해보다 11% 늘어나고 가격도 낮아질 전망.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R>&nbsp;</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FONT color=green>■ 배 추석 공급량은 지난해보다 65% 늘어날 전망 </FONT></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nbsp;</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성목면적이 지난해 수준이나 병충해 피해가 적고 생육상황이 양호하여 올해 배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31% 정도 늘어날 전망. 추석공급물량이 지난해보다 65% 늘어나 가격하락이 예상되므로 완숙과 출하 및 출하시기 조정 노력이 요구됨.</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R>&nbsp;</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 color=green><B>■ 포도 9월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4% 감소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nbsp;</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장마 이후 갈반병 및 노균병이 발생하였지만 지난해보다 병해충 발생량이 적은 편. 노지면적의 감소로 인해 9월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4%, 10월 이후 출하량은 19% 감소할 전망. 송이모양, 당도 등 노지포도의 품질은 지난해보다 좋을 듯.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nbsp;</P><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nbsp;</P><P><FONT color=gray><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 color=green><B>■ 복숭아 9월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13% 증가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FONT></P><P><FONT color=gray><SPAN style="FONT-SIZE: 10pt"></SPAN></FONT><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nbsp;</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기상조건이 양호하여 생육상황은 지난해보다 좋은 편이지만 가뭄 및 고온으로 인해 과실비대가 저조한 편임. 8월 출하량은 7%, 9월 이후 출하량은 13% 증가할 전망. 중·만생종 복숭아 품질은 크기면에서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당도는 좋을 듯.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R>&nbsp;</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 color=green><B>■ 8월 하우스온주공급량 지난해보다 13% 감소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nbsp;</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8월 하우스온주 공급량은 지난해보다 13% 감소하지만 9월에는 9% 증가할 듯. 8~9월 하우스온주가격은 지난해보다 낮고 평년보다는 높은 수준일 전망. 노지온주의 열매 수는 해거리 풍년해로 지난해보다 많으며, 기상이 양호하여 품질은 좋을 듯.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R>&nbsp;</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P><FONT color=gree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 color=green><B>■ 단감 9월 공급량은 지난해보다 28% 증가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FONT></P><P><FONT color=green><SPAN style="FONT-SIZE: 10pt"></SPAN></FONT><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nbsp;</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black; LINE-HEIGHT: 21px;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단감 생산량은 기상이 양호하여 태풍피해가 컸던 지난해보다 14% 증가한 19만톤 수준이 될 전망. 품질은 장마가 비교적 짧고 기온이 높아 지난해보다 좋을 듯. 9월 단감공급량은 지난해보다 28%, 10월 이후에는 14% 증가할 전망.</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SPAN>&nbsp;</P><P><SPAN style="FONT-SIZE: 10pt"></SPAN>&nbsp;</P><P><SPAN style="FONT-SIZE: 10pt">---출처 : 농업관측정보센타</SPAN></P>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569

9월 과일 관측 정보

2,544
568

다음달부터 가락시장 사과 거래방식 소포장 단위로 전환

2,698
567

깻잎 약보합 맴돌아

2,485
566

고구마, 소포장ㆍ고품질 열풍

2,753
565

복숭아 강세

2,824
564

도매시장 수산물 거래 물량 늘고 가격은 하락세

2,958
563

<관심품목〉포도

2,601
562

채소류 물받아 씻는게 안전

2,828
561

8월 나무ㆍ풀 "배롱나무"ㆍ"익모초" 선정

2,680
560

농수산물유통공사 사장 공모

2,699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