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10월 과일 관측 정보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4-09-17 | 조회수 | 2565 |
<TABLE width=600 border=0> <TR> <TD width=946> <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 color=orange><B>■ 과일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8% 증가할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올해 과일 작황이 양호한 편이어서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8% 정도 증가할 전망임. 9월 공급 물량은 사과가 지난해보다 4%, 배는 35% 정도 늘어날 듯. 대체로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므로 완숙과 출하 및 출하시기 조절, 비상품과의 출하를 억제하는 노력이 요구됨.</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B></FONT></SPAN> </P> <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STRONG></STRONG></SPAN> </P> <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 color=orange><B>■ 사과 공급량 9월까지 4%, 10월 이후 8% 증가</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 <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사과 성목단수는 지난해보다 13% 증가하고 생산량은 7% 증가한 39만톤 수준이 될 전망. 7~9월 공급량은 지난해보다 4% 늘어난 12만톤 수준이 전망되며, 10월 이후 공급량이 8% 늘어 가격은 지난해(후지 상품 15kg당 3만원)보다 낮아질 전망. </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R> </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 <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 color=orange><B>■ 배 공급량 9월 35%, 10월 이후 29% 증가</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BR></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배 성목단수는 지난해보다 31% 증가하고 생산량은 30% 증가한 41만톤 수준이 될 전망. 9월 공급량은 지난해보다 35% 늘어난 10만톤 수준이 전망되며, 10월 이후 공급량이 29% 늘어 가격은 지난해(신고 상품 15kg당 2만 6천원)보다 낮아질 전망. </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R> </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 <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 color=orange><B>■ 포도 출하량 9월 8%, 10월 이후 20% 감소</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BR></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수체내 저장양분 부족 및 폭염으로 송이가 작은 편이어서 포도 단수는 지난해보다 1% 감소할 듯. 생산량은 8% 감소한 35만톤 수준이고, 9월 출하량은 8%, 10월 이후 출하량은 20% 감소할 전망. 당도는 지역·품종에 따라 지난해보다 0.3~2.7°Bx 향상될 듯.</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SPAN> </P> <P><FONT color=orange><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 복숭아 출하량 9월 17%, 10월 이후 6% 증가</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FONT><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BR></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올해 복숭아 단수는 지난해보다 4% 증가할 듯. 성목면적이 2% 증가하여 생산량은 7% 증가한 20만톤 수준일 전망. 9월 출하량은 17%, 10월 이후 출하량은 6% 증가할 전망. 당도는 지역·품종에 따라 지난해보다 0.4~1.8°Bx 향상될 듯. </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R> </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 <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 color=orange><B>■ 9월 이후 하우스온주공급량 지난해보다 9~11% 증가</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BR></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9월 이후 하우스온주 공급량은 지난해보다 9%~11% 증가하고, 가격은 지난해보다 약간 낮은 1만 9천원~2만 1천원 수준 전망. 노지온주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2~6% 증가한 61~63만톤 전망. 노지온주의 품질은 지난해보다 좋을 것으로 예상됨.</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R> </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 <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 color=orange><B>■ 9월 단감 공급량은 지난해보다 30% 증가</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BR></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단감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6% 증가한 19만톤 수준 전망. 단감 품질은 대체로 지난해보다 좋을 것으로 보임. 9월 단감 공급량은 지난해보다 30% 증가하여 가격은 지난해보다 낮은 2만 7천원~3만원 수준이 될 전망.</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SPAN> </P> <P><SPAN style="FONT-SIZE: 10pt"></SPAN> </P> <P><SPAN style="FONT-SIZE: 10pt">--자료 : 농업관측정보센터</SPAN></P></TD></TR></TABLE><BR>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599 | 2,488 | ||
598 | 2,537 | ||
597 | 2,844 | ||
596 | 2,439 | ||
595 | 2,851 | ||
594 | 2,880 | ||
593 | 2,841 | ||
592 | 2,647 | ||
591 | 2,565 | ||
590 | 2,6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