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김치 종주국 위상 ‘흔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4-10-18 조회수 2693
<P>&nbsp;</P><P>&nbsp;</P><P>&nbsp;김치 종주국인 우리나라의 김치 수입량이 계속 늘어나 배추 생산기반까지 잠식해갈 것으로 예상됐다.</P><P><BR>&nbsp;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석호 전문연구원과 김병률 연구위원은 11일 ‘시장 개방하의 배추 수급모형과 전망’ 보고서를 통해 김치 수입량이 지난해 2만8천706톤에서 2008년 4만3천2톤, 2012년 4만7천214톤 등으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BR><BR>&nbsp;또 소비 감소세와 수입 김치의 소비대체로 인해 국내 배추 재배면적은 2003년 4만7천686ha에서 2012년에는 3만8천984ha로 18.2% 줄고, 배추 생산액은 가격 하락까지 겹쳐 같은 기간 6천770억원에서 4천849억원으로 28.4%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BR><BR>&nbsp;보고서는 “중국에 진출한 한국 김치공장을 중심으로 수입김치가 국내 고정 수요처를 확보해가고 있고 국내 요식업소의 수요도 확대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BR><BR>&nbsp;올해초에만 해도 농경연은 배추가 저율관세 품목이어서 도하개발아젠다(DDA) 협상의 영향이 작고 김치와 배추는 국내 공급 불안 시기를 빼고는 거의 수입이 없을 것으로 예측했다.<BR><BR>&nbsp;이에 따라 고관세 품목인 고추, 마늘 농가의 작목전환 등으로 배추 재배면적은 2013년에 4만9천400ha에 달하는 등 오히려 증가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었다. <BR></P><P>&nbsp;</P><P align=right>출처 : 농업인신문 2004. 10. 15.</P><P>&nbsp;</P>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609

단감 수출가격 지지 주산지 농협 뭉쳤다

2,810
608

근교 채소 경매시간 가락시장 30분 당겨

3,014
607

中콩 수입 풀무원 두부…소비자 외면

3,758
606

사과 비규격포장 유통 근절안돼

2,929
605

남북합작 된장 국내출시

2,667
604

김치 종주국 위상 ‘흔들’

2,693
603

<관심품목> 무ㆍ배추

2,496
602

멜론, 선물용 수요 줄어 값 ‘뚝’

2,760
601

포도값 5년래 최고

4,071
600

농산물브랜드 ‘휘모리’ 본격 ‘수출몰이’

2,566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