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5천년 잠사, 역사 . 미래를 본다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4-10-26 | 조회수 | 3519 |
<A name="[문서의 처음]"></A><P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FONT size=3>대한잠사회, 한국 잠사박물관 개관, 유물전시.유통.미래과학 창조</FONT></SPAN><FONT size=3> </FONT></P><P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P><P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A name="[문서의 처음]"></A></P><P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대한잠사회 잠업진흥원 잠사류 종합유통 문화센터(충북 청원군 강내면 학천리 소재)에 수천년 우리나라 산업의 역사를 이끌어 온 잠사산업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한눈에 보고 느끼며 체험 할 수 있는 국내 최대규모의 한국잠사박물관이 지난 15일 개관했다. 이날 개관식에는 허상만 농림부장관, 손정수 농촌진흥청장을 비롯한 많은 잠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됐다.</SPAN> </P><P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허상만 농림부 장관은 격려사를 통해 잠업은 우리의 전통적인 산업으로 그간 계속 위축되어 오다가 ‘95년 이후 잠업인들의 단결된 힘과 저력으로 새로운 방향전환을 모색하여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으며, 이제 한국잠사박물관이 단순 유물전시관에서 유통과 학습체험장을 겸비한 새로운 개념의 박물관 개관을 계기로 더욱 발전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SPAN></P><P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대한잠사회(회장 심재익)는 2002년 8월27일 한국잠사박물관의 첫 삽 이후 2년 2개월의 대역사 끝에 5천년의 역사를 이어져 내려온 한민족의 전통적인 민족사업인 잠사업의 역사를 완성하여 개관하게 되었다. </SPAN></P><P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한국의 전통산업으로서 잠사업은 그동안 한민족의 역사와 함께 5천여 년 동안 명주실을 생산하여 인류에게 따뜻함과 보드라움으로 사랑받던 의류산업으로의 역할이 우리나라 농촌사회의 노령화와 부녀화로 점차 소멸되는 과정에서 기능성 양잠으로 소생하는 일련의 잠업역사를 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SPAN> </P><P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조상의 땀과 얼이 담긴 잠사업현장에서 형성된 과거 민족 산업의 흔적을 살펴보면서 미래에 새롭게 예상되어질 생명소재를 바탕으로 한 바이오산업의 총아로서의 잠사업에 대한 비젼을 제시하고자 노력했다.</SPAN> </P><P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그 동안 농촌 진흥청(청장 손 정 수)에서는 동의보감 등 고의서에 근거하여 뽕잎이나 누에 등 양잠산물의 신비한 기능을 현대과학으로 연구한 결과와 이를 이용한 다양한 기능성제품을 한눈에 볼 수 있게 전시했다. </SPAN></P><P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특히 ‘95년에 개발되어 현재 농가소득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잠업이 다시 소생하는 큰 밑거름이 되고 있는 ‘누에분말’에 함유되어 있는 DNJ (데옥시노지리마이신)가 인체의 소장에서 당분해효소의 활성을 조절하여 혈당을 떨어뜨려 주는 물질임을 입증한 연구결과는 흥미를 끌고 있다.</SPAN> </P><P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아울러 농가소득은 물론 국민 건강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는 누에 동충하초의 대량생산 기술개발 과정과 관련 제품이 소개되어 있으며 최근 연구개발된 실크를 이용한 고부가 화장품이나 천연염모제 개발과정이 소개됐으며, 그리고 짝짓기 하지 않은 수나방을 이용해 개발한 천영강정제 ‘누에그라’의 개발은 단순한 기술력에 의한 경우로 타 산업의 모델이 되고 있다.</SPAN> </P><P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개관하는 잠사박물관에는 초등학교 교과과정에 나오는 누에의 한 살이 과정을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하는 분야부터 우리 선조들이 실을 켜고 비단을 직조하는데 사용했던 연모와 도구는 물론 실제 입고 평상생활에 이용했던 비단 옷 까지 그 시대에 살았던 사람들의 의상도 복원 재현에 보는 이들의 잔잔한 감동도 불러 일으키고 있다. </SPAN></P><P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현재 한국잠사박물관은 독립건물로 2층의 역사문화관, 세미나실 그리고 1층에는 잠상미래관, 잠상산물관, 농경문화관과 수장고등이 있으며 총면적 9,950m</SPAN><SPAN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SUP>2</SUP></SPAN><SPAN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인 잠사류 종합유통문화센터내에 자리 잡고 있다. </SPAN></P><P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3px; COLOR: #000000;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 출처 : 한국영농신문 2004. 10. 25 </SPAN></P><P style="FONT-SIZE: 13px; MARGIN: 0px; COLOR: #000000; TEXT-INDENT: 0px; LINE-HEIGHT: 21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P>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629 | 3,119 | ||
628 | 3,067 | ||
627 | 2,751 | ||
626 | 3,614 | ||
625 | 3,305 | ||
624 | 2,689 | ||
623 | 3,519 | ||
622 | 4,011 | ||
621 | 2,901 | ||
620 | 2,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