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12월 과채 관측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4-11-10 조회수 2268
<P>&nbsp;</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B>■ 내년 4월 이후 과채류 공급량은 금년보다 크게 증가할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STRONG></STRONG></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B><BR>&nbsp;</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nbsp;정식시기가 늦추어져 내년 4월 이후 과채류 출하량이 크게 늘겠으며, 가격 하락이 우려됨. 소비심리 위축이 가중되어 방울토마토 가격이 크게 하락할 전망. 금년 11월~12월 상순 과채류 공급량은 지난해보다 20% 내외 많고 소비심리는 위축되어 오이, 호박, 방울토마토의 가격이 크게 낮겠음. 12월 중순 이후 한겨울의 오이, 방울토마토 공급량은 지난해보다 조금 적을 듯. 수박, 참외는 촉성재배의향이 증가함.</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BR>&nbsp;</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B>■ 토마토 반촉성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15~22% 증가할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STRONG></STRONG></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B><BR>&nbsp;</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nbsp;일반토마토 반촉성 정식은 지난해보다 15% 증가하고 방울토마토는 22% 많을 전망. 내년 4월이후 방울토마토 가격 급락이 우려됨. 11~12월 토마토 공급량은 출하면적의 증가로 지난해보다 11% 많겠으며, 가격은 평년보다 조금 높겠음. 11~12월 방울토마토 공급량은 지난해보다 16% 많겠으며, 가격은&nbsp; 대체과일이 많아 평년보다 낮겠음.&nbsp;&nbsp;</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BR>&nbsp;</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B>■ 11~12월 딸기 공급량은 작년보다 10% 증가</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STRONG></STRONG></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B><BR>&nbsp;</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nbsp;딸기 재배면적은 전년보다 1% 적은 7,260ha 수준이 될 전망. 11~12월 딸기 공급량은 출하면적과 단수의 증가로 지난해보다 10% 많겠음. 딸기 자묘 생산량이 육묘기 고온 때문에 지난해보다 감소하였으며, 딸기 묘의 타 지역구입이 평년보다 증가함.&nbsp;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BR>&nbsp;</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B>■ 11~12월 애호박 출하량은 작년보다 20% 증가</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STRONG></STRONG></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B><P><BR></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nbsp;애호박은 태풍 ‘메기’ 피해를 입었던 고추재배 농가가 애호박으로 작목을 전환하고, 촉성재배면적이 증가하여 11~12월 애호박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20% 많겠음. 내년 반촉성 애호박 면적은 토마토와의 생산 대체로 지난해보다 1% 감소하겠음. 10~12월 쥬키니 정식면적은 지난해와 비슷할 듯.</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BR>&nbsp;</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B>■ 겨울철 오이 출하면적은 작년보다 4% 적을 듯&nbsp;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B><BR>&nbsp;</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nbsp;11월 오이 출하면적은 작년보다 8% 많고, 겨울철에는 4~5% 적을 듯. 11월 오이 공급량은 지난해보다 13% 많아 가격은 작년보다 크게 낮겠으며, 12월 오이 공급량은 지난해보다 8% 적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소비심리 위축으로 가격은 지난해보다 낮겠음. 내년 반촉성 오이는 유가상승의 영향으로 정식이 늦춰지겠으며, 반촉성 면적은 지난해보다 2% 감소할 전망.</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BR>&nbsp;</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B>■ 내년 참외 면적은 금년보다 1% 감소할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STRONG></STRONG></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B><BR>&nbsp;</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nbsp;내년 참외의 재배면적은 금년보다 1% 정도 적은 7,290㏊ 수준이 될 전망. 내년 참외의 정식시기는 금년보다 앞당겨질 듯. 내년 참외는 촉성 재배가 금년보다 8%정도 증가하겠으나, 반촉성 재배는 금년보다 3%정도 감소할 전망.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BR>&nbsp;</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B>■ 내년 시설수박 면적은 감소 추세 멈출 듯</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STRONG></STRONG></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B><BR>&nbsp;</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FONT face=굴림>&nbsp;내년 시설수박 면적은 금년보다 1% 많은 1만 7,630ha 수준이 될 전망. 촉성 재배는 금년보다 2% 늘고, 반촉성 재배는 1% 늘어날 전망. 충청과 영남 지방의 수박 면적은 금년보다 4%, 1%씩 증가하겠으나, 호남지방은 금년보다 2% 감소하겠음. 수박 묘의 육묘장 구입 비율은 평년보다 증가함.</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SPAN>&nbsp;</P><P><SPAN style="FONT-SIZE: 10pt"></SPAN>&nbsp;</P><P align=right><SPAN style="FONT-SIZE: 10pt">출처 : 농업관측정보센터 2004. 11. 10.</SPAN></P><P><SPAN style="FONT-SIZE: 10pt"></SPAN>&nbsp;</P><P><SPAN style="FONT-SIZE: 10pt"></SPAN>&nbsp;</P>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649

배 값 생산량 증가에도 끄덕없어...암 예방 효과로 소비 확대

2,527
648

쌀협상 내용 공개 국민 여론 묻는다···농민단체는 대규모 농민대회

2,349
647

총각무, 출하지역 확산 값하락

2,575
646

12월 과일 관측정보

2,209
645

12월 과채 관측정보

2,268
644

단감값 강세 ‘쭉 ~’

2,396
643

농업관측-김장철 채소가격 작년보다 낮을 듯

2,417
642

채소 상인과 과일 상인의 희비 엇갈려

2,473
641

녹차.홍차가 치매를 예방한다.

2,513
640

국립 수목원 11월의 나무와 풀, 『백량금』 .『해국』선정

2,724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