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12월 과일 관측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4-11-10 조회수 2209
<P>&nbsp;</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 사과, 배의 저장물량이 많으므로 적절한 출하시기 조정이 필요할 듯</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STRONG></STRONG></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center"><FONT face=굴림><B><BR>&nbsp;</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nbsp;사과, 배의 11월 이후 공급량이 작년보다 각각 20%, 40%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므로 출하시기의 적절한 분산이 필요할 듯. 내년 과수 재배면적은 사과가 2% 증가하나 여타 품목은 1~3% 정도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1% 감소할 전망. 유류가격 상승으로 포도의 가온재배면적은 12%, 감귤은 4% 줄어들 전망임.</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R>&nbsp;</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 사과 재배면적은 2% 증가할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STRONG></STRONG></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BR>&nbsp;</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nbsp;11월 이후 사과 공급량은 지난해보다 20% 늘어난 23만톤 수준이 예상되지만, 11~12월 가격은 지난해(후지 상품 3만 5천원)와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전망. 내년 사과 재배면적은 올해보다 2%(400ha) 정도 늘어난 2만 7,080ha 수준이 될 전망.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R>&nbsp;</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 배 재배면적은 1% 감소할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STRONG></STRONG></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BR>&nbsp;</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nbsp;11월 이후 배 공급량은 지난해보다 40% 늘어난 27만톤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되어, 11~12월 가격은 지난해(신고 상품 3만 4천원)보다 낮을 전망. 내년 배 재배면적은 올해보다 1%(190ha) 정도 줄어든 2만 2,800ha 수준이 될 전망.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R>&nbsp;</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 내년 포도 면적은 1% 감소할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STRONG></STRONG></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BR>&nbsp;</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nbsp;내년 포도 재배면적은 올해보다 1%(180ha) 감소한 2만 2,730ha일 전망. 노지면적은 올해보다 1%, 하우스면적은 4% 감소할 전망. 캠벨얼리는 올해보다 1% 감소하고 거봉은 1% 증가할 듯. 새단은 올해보다 9% 감소하고 MBA는 3% 증가할 듯.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R>&nbsp;</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 내년 복숭아 면적은 3% 감소할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STRONG></STRONG></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BR>&nbsp;</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nbsp;내년 복숭아 재배면적은 올해보다 3%(480ha) 감소한 1만 5,090ha일 전망. 중부지역보다 남부지역의 면적 감소세가 더 클 듯. 유모계 면적은 2%, 천도계는 8% 감소할 듯. 조생종 면적은 올해보다 4%, 중생종은 5%, 만생종은 1% 감소할 듯.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R>&nbsp;</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 내년 감귤 재배면적은 3% 감소할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STRONG></STRONG></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BR>&nbsp;</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nbsp;노지감귤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2% 증가한 61만톤 수준 전망. 11월 감귤 공급량은 지난해보다 3% 증가하지만 12월에는 1% 감소할 듯. 내년 감귤 재배면적은 올해보다 3%(740ha) 감소한 2만 1,370ha 수준 전망.</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FONT></SPAN>&nbs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P><BR></P></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 내년 단감 재배면적은 1% 감소할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B><BR>&nbsp;</P></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B></FONT></SPAN><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단감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9% 증가한 18만톤 수준일 전망. 11월 단감 공급량은 지난해보다 2% 많지만 가격은 지난해 수준 전망. 12월 공급량은 지난해 수준일 듯. 내년 단감 재배면적은 올해보다 1%(110ha) 감소한 1만 8,420ha 수준 전망.</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SPAN>&nbsp;</P><P><SPAN style="FONT-SIZE: 10pt"></SPAN>&nbsp;</P><SPAN style="FONT-SIZE: 10pt"><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FONT></SPAN>&nbsp;</P><P align=right><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출처 : 농업관측정보센터 2004. 11. 10.</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5.6pt; TEXT-ALIGN: justify"><FONT face=굴림>&nbsp;</P></FONT></SPAN></SPAN>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649

배 값 생산량 증가에도 끄덕없어...암 예방 효과로 소비 확대

2,526
648

쌀협상 내용 공개 국민 여론 묻는다···농민단체는 대규모 농민대회

2,349
647

총각무, 출하지역 확산 값하락

2,574
646

12월 과일 관측정보

2,209
645

12월 과채 관측정보

2,267
644

단감값 강세 ‘쭉 ~’

2,396
643

농업관측-김장철 채소가격 작년보다 낮을 듯

2,417
642

채소 상인과 과일 상인의 희비 엇갈려

2,473
641

녹차.홍차가 치매를 예방한다.

2,512
640

국립 수목원 11월의 나무와 풀, 『백량금』 .『해국』선정

2,724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