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수입 깐마늘 표백제 처리 ‘의혹’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4-11-18 조회수 3140
<P>&nbsp;</P><P><FONT size=1><FONT color=#003031><BR>&nbsp;</P><P align=center><STRONG><FONT color=green>유통인들, "가공 과정 탈색방지 위해" 주장</FONT></STRONG></P><P>&nbsp;</P><P>수입산 신선 깐마늘 가공 과정에서 탈색을 방지하기 위해 표백제를 처리한다는 의혹이 제기돼 충격을 주고 있다.</P><P>&nbsp;</P><P>마늘유통인들에 따르면 최근 수입량이 급증한 신선 깐마늘의 갈변현상 방지 등 상품성을 보전하기 위해 중국 현지 업체들이 표백제를 사용한다고 주장했다. 중국에서 가공된 깐마늘이 수송, 검역 등을 거쳐 국내 소비자에게 유통될 때까지 5일 이상의 기간이 소요돼 표백제 처리는 필수적으로 이뤄진다는 것이다. </P><P>&nbsp;</P><FONT size=1></FONT><P>특히 신선 깐마늘은 조리용으로 사용되기보다 생마늘용으로 소비되고 있어 시민들의 건강을 위협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는 국내 소비자들이 식품을 선택할 때 외관이 깨끗한 것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올 수입마늘 중 지난해 906톤에 불과했던 신선 깐마늘 수입량이 올 10월 하순기준 3270톤으로 3.6배나 늘었다. </P><P>&nbsp;</P><P>현재 식품 표백제로 사용되는 것은 아황산염류와 과산화수소 등이다. 아황산염류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1인 섭취 허용량을 0.7mg/kg으로 정하고 있으나 알레르기 체질이나 천식환자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미국의 경우 자연식품에는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국내 마늘가공업체 한 관계자는 “수입마늘 뿐만 아니라 도라지, 당근 등 세척해서 수입되는 농산물은 대부분 표백제나 방부제 처리가 됐다고 봐야 한다”며 “정부는 국민의 건강보호를 위해 더 정밀하고 체계적으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P><P>&nbsp;</P><P>&nbsp;</P><P>&nbsp;</P><P>&nbsp;</P><P align=right>출처 : 한국농어민신문 2004. 11. 18.</P></FONT><P><BR></P></FONT><!-- HTML인 경우 --></FONT>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669

수입 깐마늘 표백제 처리 ‘의혹’

3,140
668

김장채소 “아~ 옛날이여”

2,259
667

건고추 값 김장철 만나 ‘껑충’

2,498
666

예년보다 일찍 나온 한라봉

2,575
665

“식량주권 지켜내자”

2,257
664

공공비축제 도입 … 추곡수매 사실상 폐지

2,785
663

배값 당분간 보합세 유지할듯

2,910
662

7만8000톤 무·배추 수매키로

2,399
661

“쌀농가 실질소득 보장 미흡” 보완요구

2,571
660

초강세 생강값 쉬어가나

2,524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