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해양수산개발원 수산관측센터 발표 - 12월 김 관측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4-11-24 | 조회수 | 2897 |
<P> </P><P align=center><STRONG>도매시장 가격 안 좋아</STRONG></P><P> </P><P><TABLE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610 border=0> <TR style="LINE-HEIGHT: 150%"> <TD style="PADDING-RIGHT: 10px; PADDING-LEFT: 3px; PADDING-TOP: 20px"> <P> 햇김이 수확되고 있다. </P> <P> </P> <P> 2005년산 조기산 김의 첫 수확이 10월 하순부터 진도군, 해남군, 부산 강서구에서 시작됐으며 11월 중순부터 본격적으로 채취가 시작됐다. </P> <P><BR> 올해 김은 지난해에 비해 시설량은 줄었으나 작황은 예년 수준을 약간 웃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P><BR>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관측센터에 따르면 “금년산 물김 중 45%는 산지수협 위판, 32.2%는 임가공 생산 후 재래시장등을 통해 판매될 것으로 예상되며 1차 가공업체들 중 73.6%는 원초를 자기 지역에서 구입할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P> <P><BR> 서울건해산물 김상혹 이사는 “올해 햇김이 도매시장으로 일평균 200짝 정도 들어오고 있어 지난해와 물량면에서는 별다른 변화가 없다”고 설명하고 “햇김은 김 특성상 깊은 맛이 형성돼 있지 않고 여리기 때문에 장기 보관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아 수요가 없는 편”이라며 이에따라 “햇김 가격이 산지에서보다 도매시장에서 오히려 낮아 물량이 많이 들어오고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P> <P><BR> 실제로 10월말 물김 산지가격은 kg당 의창 3023원, 해남1383원, 진도 1856원이 형성됐으나 도매시장에서는 파래김 한속당 2100원에서 2200원, 돌김 한속당 4000원 선에 거래되고 있어 산지보다 500원에서 많게는 1000원정도 가격이 낮다.</P> <P><BR> 수산관측센터는 대형 소매점의 돌김과 재래김 가격이 추선 이전에 비해 4.9~11.8%하락했다며 금년 11월에는 동절기 소비가 본격적으로 살아나지 않는 가운데 김밥용김 중품 도매가격은 상승 기조가 둔화되고, 소매가격은 보합세를 이룰 것으로 분석했다. </P> <P><BR> 서울건해산물 김이사는 “햇김이 맛이 들기시작하는 12월과 1월이 되면 김 수요가 늘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P> <P> </P> <P align=right>출처 : 농수축산신문 2004. 11. 22.</P> <P><BR></P></TD><!--<td style="padding-right : 10; padding-top : 20; padding-left : 3"></td>--></TR><!--테이블끝--></TABLE></P>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689 | 2,399 | ||
688 | 2,417 | ||
687 | 2,842 | ||
686 | 2,451 | ||
685 | 2,632 | ||
684 | 2,897 | ||
683 | 3,075 | ||
682 | 2,683 | ||
681 | 2,581 | ||
680 | 2,6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