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지상중계>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 종합토론회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4-12-02 | 조회수 | 2803 |
<P> </P><P> </P><P>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가 대부분 영세해 전문적인 마케팅 능력이 부족한 실정인데다 시설 노후화로 처리능력이 부족한 실정이어서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개선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P><P><BR> <BR> 농림부는 지난달 25일과 26일 양일간 충남 아산시 도고면 소재 토비스콘도미니엄에서 농림부, 지자체, 농수산물유통공사, 농협중앙회 관계자와 APC운영책임자 110여명이 참석한 가운제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 종합토론회'를 개최했다.</P><P><BR> 이날 토론회에서 도별 대표로 참석한 APC 관계자의 견해를 요약했다.</P><P><BR><BR> ■ 박형규 논산과수영농법인 대표=정부가 APC운영자금으로 10억원에서 많게는 30억원까지 지원해 주지만 담보능력이나 출자금 부족으로 인해 사용하는데 애로를 겪고 있다. 이에대한 제도적 완화가 필요하며 특히 올해부터 APC 설치시 지방비의 지원비율이 50%로 바뀌면서 APC사업이 지자체사업으로 변모, 사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다. 사업자의 자부담 비율을 높이더라도 지방비의 비중을 없애는 게 낫다. 또 공동선별비 지원 대상품목을 표고버섯·밤 등의 품목도 포함시켜야 하고 농촌 고령화를 고려해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도 마련돼야 한다.</P><P><BR> <BR> ■ 김운용 상주원예농협 조합장=거점형 APC를 새로 건립하기 보다 208개에 달하는 기존 APC의 시설을 보완·활용하는게 APC 활성화에 유리하다. 한 지구에 거점 APC가 건립된다고 타 지역에서 농산물의 싣고 가겠는가. 따라서 시설의 부분적 보완과 공선비·포장비·수집비 등 운영자금 보조를 확대해 최대한 농업인들에게 혜택을 줘야 한다.</P><P><BR> <BR> ■ 박수경 풀빛영농조합 이사=지방비의 지원비율이 높아 지방자립도가 낮은 지역의 조합은 APC사업을 추진하려 해도 할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사전 인식이 미흡한 상황에서 지자체의 심사평가에도 의구심이 생기는게 사실이다. 농업의 전업화·규모화를 이루려면 영농활동이 기계화돼야 하며 따라서 논 이외에 밭도 구획정리사업이 이뤄져야 한다.</P><P><BR> <BR> ■ 김기택 장호원농협 과장=현재 거점형 APC를 추진중이나 장호원농협의 경우 1993년에 선별장이 건립되다보니 노후화가 심각해 500~600만원씩 보수비가 소요되고 있다. 신규시설도 좋지만 내구년수를 따져 개보수가 필요한 APC에 대한 국고보조를 해 줘야 한다. 또 사단법인이 아니더라도 자조금 확보가 가능토록 조치해 줬으면 한다. 자자체와의 관계에서도 사실 초기에는 원만치 않았으나 공동 노력하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P><P><BR> <BR> ■ 임희문 완주봉상생강조합 조합장=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와 중국산과의 차별화를 위해선 가공시설에 대한 자금지원이 필요하다. 식품사업은 3년주기로 트랜드가 변화돼 새로운 상품 아이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신규 아이템 개발을 위한 용역비 지원도 필요하다.</P><P><BR> <BR> ■ 김운행 충북원예농협 상무=충북지역의 경우 기존의 저온저장시설로는 전체 생산량의 3%밖에 소화하지 못해 규모화된 대규모 시설의 설치가 시급하다. 한편 사과만해도 전체 5만4000여톤중 2만3000톤 가량이 충주에서 생산되고 인근 지역에서 3000여톤이 생산될 정도로 생산지역이 집중화돼 있다. 따라서 연합사업도 시·군단위가 아닌 도단위 연합이 요구된다.</P><P><BR> <BR> ■ 곽기성 대관령원협 전무=사업 영역이 면단위로 정해진 상황이므로 사업자별로 수지의 안정화를 도모하는게 중요하다. 소형 APC 계열화를 통해 거점형 APC가 저장·가공 등을 소형 APC에 분산하는방식도 고려돼야 한다. 이와함께 시설 건립을 위한 토지 확보가 원활하지 못하다보니 시설 집중화가 이뤄지지 않고 있어 APC도 농지를 확보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P><P><BR><BR> ■ 강기표 도울농산 대표=농산물이 수확 후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선 신선편이 식품이 아닌 신선편의 농산물로 지정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연합사업도 면단위는 사업규모가 너무 작고 도단위는 너무 크므로 군단위의 사업주체가 바람직 하다. 사업의 독립성을 확보키 위한 법인화도 이뤄져야 한다.</P><P> </P><P> </P><P> </P><P> </P><P align=right>출처 : 농수축산신문 2004. 12. 1.</P><P><BR></P>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709 | 3,256 | ||
708 | 2,540 | ||
707 | 2,811 | ||
706 | 2,431 | ||
705 | 2,803 | ||
704 | 2,844 | ||
703 | 2,685 | ||
702 | 2,387 | ||
701 | 2,438 | ||
700 | 2,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