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2004 유통 결산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4-12-28 | 조회수 | 2430 |
<P> </P><P><FONT size=1></FONT> </P><P><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3031"><FONT size=1></FONT></SPAN> </P><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3031"><P><FONT class=junmun><STRONG><FONT color=#0072bc size=1>유통분야의 올 주요 쟁점은 안전한 농산물의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친환경 농산물 출하량이 늘어난 부분이다. 전국 최초로 지난 6월 강서도매시장에 시장도매인 시장이 문을 열었고, 계산서 교부 의무비율 상향 조정으로 가산세 납부 부담 이 커질 것을 우려한 중도매인들의 반발이 극심했다. </FONT></STRONG></FONT></P><P><FONT size=1></FONT><FONT class=junmun><STRONG><FONT color=#0072bc><BR><BR> </P></FONT></STRONG><P><TABLE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100%" border=0> <TR> <TD vAlign=top align=left> <P align=center><SPAN style="FONT-SIZE: 11pt; COLOR: #003031; LINE-HEIGHT: 14pt; FONT-FAMILY: '굴림'"><STRONG><FONT size=1>소비자 ‘안전 먹거리’ 폭발적 관심</FONT></STRONG></SPAN></P><SPAN style="FONT-SIZE: 11pt; COLOR: #003031; LINE-HEIGHT: 14pt; FONT-FAMILY: '굴림'"> <P><BR><BR><FONT size=1>●친환경·유기농산물 부상 소비자들이 안전한 먹거리를 선호함에 따라 친환경·유기농산물 재배와 관심이 급격히 확대된 한 해였다. 소비자시민모임 등 시민단체 조사에서 소비자의 90% 이상이 안전농산물을 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올 국내 친환경·유기농산물 재배농가 수 및 면적도 2만6870호와 2만6250ha로 2001년보다 약 5배 증가했다. 이에 따라 대형유통업체는 잔류농약검사 등 안전성을 강화하고 도매시장에서는 산지안전성 검사를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최근 농림부가 이력추적제,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 도입과 함께 2005년 공영도매시장의 평가항목에 친환경농산물 취급실적을 포함할 계획이어서 친환경농산물의 시장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FONT></P> <P align=center><BR><BR><STRONG><FONT size=1>중도매인 가산세 부담 가중 반발</FONT></STRONG></P> <P><BR><BR><FONT size=1>●계산서교부 의무비율 샹향 2004년 공영도매시장 중도매인의 계산서교부 의무비율이 지난해의 2배 수준인 40%로 상향조정되자 농수축산물 취급 중도매인들이 가산세 부과를 우려, 반발이 극심했다. 이에 따라 전국중도매인가산세대책위원회는 재경부와 농림부에 열악한 유통환경을 감안해 계산서교부 의무비율을 지난해 수준인 20%로 동결해 달라는 건의서를 제출했다. 특히 대책위는 재경부에서 중도매인의 건의를 받아드릴 수 없다고 답변하자 중도매인총궐기대회 개최를 선언했고, 재경부가 문제를 대화로 해결하자는 입장으로 선회했다. 현재 중도매인대표들은 재경부, 농림부와 함께 도매시장의 계산서 교부실태를 조사하고 대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FONT></P> <P align=center><BR><BR><STRONG><FONT size=1>잦은 마찰…시행 3개월만에 일시 중단</FONT></STRONG></P> <P><BR><BR><FONT size=1>●사과 소포장 및 5개 단위 경매 서울시농수산물공사와 5개 청과부류 도매법인과 전국과실부중도매인조합연합회는 지난 9월부터 사과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5kg·10kg 소포장과 5개 단위 경매를 실시했다. 반면 소포장 및 5개 단위 경매는 시행 3개월만에 내년 6월까지 일시 중단하기에 이르렀다. 초기부터 경매방식으로 생산자단체와 마찰을 빚은 데다 추석 명절특수 이후 중도매인들의 소포장 구매를 기피하고 가격도 농가들의 기대를 밑돌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국과실부중도매인조합연합회는 지난 11월 하순부터 5개 단위 경매를 일시 중지하고 생산자단체와 토론회를 거쳐 문제점을 보완하기로 했다. 또한 산지 생산농가에 5개 단위 경매에 대한 필요성을 홍보하고 중도매인 교육도 시행한 다음 내년 7월부터 전국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다. </FONT></P> <P align=center><BR><BR><STRONG><FONT size=1>강서시장 52개법인 등록 완료 영업 ‘안정’</FONT></STRONG></P> <P><BR><BR><FONT size=1>●시장도매인제 시장 개장 서울시는 지난 6월 전국 최초로 강서도매시장에 시장도매인 시장을 개장하면서 유통관계자들의 시선이 집중됐다. 시장도매인의 자본금이 8억원으로 참여 주체인 서울 영등포시장 상인은 과도한 규모라고 반발해 왔기 때문. 그러나 시장도매인 모집 첫 공고에서는 5개 법인이 미달됐으나 추가 모집으로 당초 계획된 52개 시장도매인 법인 등록이 완료됐다. 초기에는 이중영업을 하는 사례가 발생했으나 주주변경을 제한적으로 실시한 이후 안정을 찾았다. 특히 대형유통업체들이 시장도매인과 거래규모를 확대하고 있어 도매시장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FONT></P> <P align=center><BR><BR><STRONG><FONT size=1>하역노조 문제 해결 ‘최대 과제’</FONT></STRONG></P> <P><BR><BR><FONT size=1>●파렛트 출하촉진 사업 농림부가 2007년까지 공영도매시장 파렛트 출하실적을 물량 대비 30%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을 발표하고 물류개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03년 도매시장의 파렛트 출하비율이 1%에 불과해 물류 현대화가 시급한 과제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반면 2005년까지 파렛트 출하비율을 약 13% 수준까지 올려야 하는 중앙도매시장 도매법인들의 불만은 상당히 높았다. 특히 가락시장의 경우 하역주체인 하역노조의 문제 해결방안이 강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파렛트 출하 사업이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고 주장해 왔다. 반면 서울시농수산물공사 등 개설자도 파렛트 출하에 따른 도매법인, 출하자의 지원방안을 강구하고 있어 2005년부터 가시적인 성과가 기대된다.</FONT></P> <P><FONT size=1></FONT> </P> <P><FONT size=1></FONT> </P> <P><FONT size=1></FONT> </P> <P><FONT size=1></FONT> </P> <P><FONT size=1></FONT> </P> <P align=right><FONT size=1>출처 : 한국농어민신문 2004. 12. 27.</FONT></P> <P><FONT size=1></FONT> </P></SPAN></TD></TR></TABLE></P></FONT></SPAN>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799 | 2,446 | ||
798 | 2,418 | ||
797 | 2,251 | ||
796 | 2,437 | ||
795 | 2,452 | ||
794 | 2,391 | ||
793 | 2,877 | ||
792 | 2,430 | ||
791 | 2,724 | ||
790 | 2,3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