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전국 최초 통합미곡종합처리장 등장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5-01-17 | 조회수 | 2779 |
<P> </P><P>충남 연기군에 47억원 규모의 전국 최초 통합 미곡종합처리장(RPC)이 등장했다.<BR> <BR>기존의 RPC를 가지고 있는 동면·금남 조합은 현물로 출자하고 RPC가 없는 조치원·서면·전의·남면농협 등 4개 조합은 현금으로 출자하는 등 관내 전 조합이 참여했다<BR> <BR>연기군 통합RPC는 관내 농업인 조합원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수확기 관내 원료벼 수매를 현재 40%에서 오는 2007년에는 8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BR> <BR>또 지방자치단체와 협력을 통해 고품질 명품브랜드 쌀 개발·홍보 등 판매확대로 현재 161억원의 매출액을 오는 2007년 230억원까지 늘리는 것은 물론 흑자규모도 3억원 수준을 목표로 하고 있다. <BR> <BR>조원무 충남연기 동면농협조합장은 “철저하게 손익분기점을 맞춰서 농업인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P><P> </P><P> </P><P><STRONG> # 운영은 어떻게 이뤄지나</STRONG></P><P><BR> <BR>연기군 통합 RPC는 사내분사제로 운영되다가 오는 7월 농협법이 시행된 이후에는 조합공동사업법인으로 추진될 예정이다.<BR> <BR>이와관련 사내분사제를 통해 책임경영체제를 철저하게 이행한다는 계획이다.<BR> <BR>통합 RPC 운영협의회장과 통합 RPC분사장간에 운영협약서(MOU)를 체결한 뒤 원료곡 매입 가격도 사내분사제에서는 RPC운영협의회에서 결정되다가 농협법 개정이후에는 법인 이사회에서 별도로 정하기로 했다.<BR> <BR>또 금남농협 RPC 시설을 주가공 시설로 하며 동면 RPC 도정시설은 내년 12월까지만 사용하고 이후에는 창고로 개조해 활용할 예정이다.</P><P> </P><P> </P><P><STRONG> # 마케팅과 판매방법</STRONG></P><P><BR> <BR>RPC통합 후 공동브랜드를 개발해 브랜드 중심으로 판매활동을 전개한다는 계획이다.<BR> <BR>특히 통합 RPC의 계약재배를 통해 고품질·기능성 쌀 등 고급미와 일반미의 가격을 차등화해서 실시키로 했다.<BR> <BR>계약재배 물량은 2003년 5311톤에서 오는 2007년 1만톤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BR> <BR>대표브랜드인 `으뜸이(가칭)'는 고가미로 육성하고 기존의 `아리쌀'은 중고가미, `연동미'는 일반저가미로 판매할 예정이다.<BR> <BR>이와관련 기존 브랜드는 공동브랜드를 육성하면서 점차 축소키로 했다.</P><P> </P><P> </P><P> <STRONG> # 자금지원</STRONG></P><P><BR> <BR>정부는 운영자금으로 통합 RPC 개소수와 통합연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고 있으며 우대지원금액을 차등 적용하고 있다.<BR> <BR>시설자금의 경우에도 국고보조비율을 10% 포인트 올렸으며 건조저장시설의 지원 개소수도 2개 RPC통합의 경우 2개소를 지원하게 된다.<BR> <BR>이와관련 정부는 연기군 통합 RPC에 운영자금으로 기존 RPC에 투입되는 28억원에 추가로 58억원을 합해 총 84억원을 지원하며 건조저장시설도 2개 원조하기로 했다.<BR> <BR>농협중앙회도 조합 자율적인 RPC통합을 위해 연기군에 운영자금 50억원과 시설·장비구입 장비로 1억원을 보조했다.</P><P> </P><P> </P><P> <STRONG> # RPC 통합효과</STRONG></P><P><BR> <BR>RPC통합으로 농가벼 총매입량은 통합전인 2003년 9532톤에서 올해 1만8200톤, 내년 2만800톤, 오는 2007년 2만800톤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RPC가동율도 통합전인 2003년 85.6%에서 올해 131%, 내년 144%, 오는 2007년 144%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BR> <BR>경영손익도 통합전인 2003년 500만원 적자에서 올해 1억원, 내년 2억원, 오는 2007년 3억원으로 점차 늘어날 것으로 추정됐다.<BR> <BR>이외에도 군단위 공동브랜드 마케팅으로 브랜드 가치와 인지도를 높이는 것은 물론 초기 통합 RPC체계를 구축하는 데도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BR></P><P> </P><P> </P><P align=right>출처: 농수축산신문 2005. 1. 14.</P><P> </P>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849 | 2,472 | ||
848 | 3,392 | ||
847 | 2,888 | ||
846 | 2,396 | ||
845 | 2,373 | ||
844 | 2,509 | ||
843 | 2,674 | ||
842 | 3,112 | ||
841 | 2,779 | ||
840 | 2,2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