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2005농업전망-⑹·끝 축산물 수급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5-02-02 | 조회수 | 2324 |
<P> </P><P align=center><STRONG>한우 큰수소 340만원선… 돼지값 ‘강세’</STRONG></P><P> </P><P><BR>올해 한우는 경기 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마릿수가 빠른 속도로 늘면서 생체 500㎏ 기준 산지 큰 수소값이 지난해(351만원)보다 소폭 하락한 340만원대로 예상되는 등 부진을 면치 못할 것으로 보인다. 젖소도 소비량 감소로 원유 수급 상황이 어려워지고 닭고기·달걀은 마릿수가 증가하면서 지난해보다 값이 하락할 전망이다. 하지만 돼지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값 강세가 예상된다.</P><P> </P><P> </P><P>*한·육우</P><P> </P><P>한우 농가의 높은 번식 의욕으로 생산마릿수는 늘어나는 반면, 암소 도축 마릿수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1세 미만 송아지 마릿수는 66만마리로 지난해보다 5만마리 늘고, 1~2세 마릿수도 지난해보다 3만마리 증가한 44만마리로 전망된다. </P><P> </P><P>이로써 올해 말 사육마릿수는 지난해보다 17만마리 늘어난 184만마리, 2006년에는 192만마리로 관측된다. 하지만 2009년에 가서는 179만마리까지 감소한 뒤 2014년에는 다시 221만마리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P><P> </P><P>올 국내산 쇠고기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6% 늘어난 15만1,000t, 수입량은 지난해보다 32% 늘어난 17만5,000t으로 관측됐다. 미국산 쇠고기의 수입 재개는 미·일의 쇠고기 협상 진행상황을 고려할 때 연내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분석된다. </P><P> </P><P>쇠고기 소비량은 지난해보다 5% 정도 늘어난 34만1,000t으로 전망된다. 이로써 올해 쇠고기 자급률은 지난해보다 0.3%포인트 늘어난 44.3%로 예상됐다. 하지만 2008년에 가서는 이보다 3.7%포인트 줄어든 40.6%, 2014년에는 34%대로 하락할 것으로 관측된다.</P><P> </P><P>올 생체 500㎏ 기준 산지 큰 한우 수소값은 지난해(351만원)보다 소폭 하락한 340만원대가 예상된다. </P><P> </P><P>하지만 미국산 쇠고기 수입이 연내에 재개되면 한우값은 이보다 더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P><P> </P><P>앞으로 한우값은 2007년까지 떨어진 뒤 2008년부터 다시 올라 2014년께 370만원대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P><P> </P><P> </P><P>*돼 지</P><P> </P><P>가축분뇨처리문제와 악취방지법 등으로 올해 어미돼지 마릿수는 지난해와 비슷한 94만6,000마리, 사육마릿수는 지난해보다 1.9% 줄어든 883만마리로 관측된다. </P><P> </P><P>이에 따라 올 돼지고기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7% 감소한 73만5,000t에 달하지만 2007년 이후부터는 사육마릿수가 증가하면서 완만히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P><P> </P><P>하지만 올 돼지고기 소비량은 지난해(85만5,500t)보다는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P><P> </P><P>이에 따라 올해 큰 돼지(100㎏) 산지 평균값은 지난해(23만4,500원)보다 2.9% 오른 24만1,000원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개와 가축 질병 등 돌발 변수는 이 같은 산지값 흐름에 큰 영향을 줄 것이다.</P><P> </P><P>돼지고기 수입량은 산지값 강세 등으로 지난해보다 22%가량 늘어난 13만2,400t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국제 돼지고기 시세 등을 고려하면 수입육 도매값은 정육 1㎏당 2.05달러(2,152여원)가 될 것으로 보인다.</P><P> </P><P> </P><P>*젖 소</P><P> </P><P>지난해 젖소에 한우수정란을 이식해 한우를 낳거나 한우 정액을 넣어 교잡우를 생산하는 사례가 많아져 송아지 생산이 줄어드는 등 올해 사육마릿수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P><P> </P><P>착유소 마릿수도 지난해보다 줄어들지만, 원유값 상승과 배합사료 가격 인하로 마리당 산유량은 늘어날 것으로 보여 원유생산량은 2004년보다 0.9% 증가한 227만t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P><P> </P><P>우유값 상승으로 시유 소비량은 지난해보다 줄어들 것으로 보이나 유제품 소비량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올해 원유 소비량은 2004년과 비슷한 수준인 306만5,000t으로 1인당 원유소비량은 63.2㎏이 될 전망이다. 앞으로도 우유 소비는 정체되고, 유제품 소비는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P><P> </P><P>이에 따라 2005년 유제품 수입량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올해는 뉴질랜드에서 치즈 수출이 늘어날 것으로 보여 우리나라도 뉴질랜드산 치즈 수입이 늘어날 것으로 분석된다.</P><P> </P><P>2006년 이후에는 착유소 마릿수가 소폭 감소하지만 한마리당 산유량이 증가하면서 원유생산량이 조금 늘어나 올해 재고량(원유환산)은 지난해보다 21.3% 늘어난 8만3,000t으로 전망된다. 내년 이후에도 원유생산량이 완만히 늘면서 재고량도 증가할 것이다.</P><P> </P><P> </P><P>*닭</P><P> </P><P>산란닭 사육마릿수가 늘어나 올해 달걀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증가한 49만7,000t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산지 달걀값은 지난해보다 3.4% 떨어진 1,028원이 될 전망이다. </P><P> </P><P>2005년 육계 사육마릿수는 지난해보다 3.3%가 늘어난 5.242만마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올해 국내 닭고기 공급량이 늘고, 수입이 재개될 것으로 예측돼 2005년 육계값은 지난해보다 15.5% 하락한 1,188원(지육 1㎏당)이 될 전망이다.</P><P> </P><P>앞으로 닭고기 수입량은 계속 늘어 수입 닭고기의 국내 시장점유율이 높아질 것으로 보여 2014년에는 수입 닭고기가 국내 닭고기 총 공급량의 28%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BR></P><P> </P><P> </P><P> </P><P> </P><P align=right>출처 : 농민신문 2005. 2. 2.</P><P> </P>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889 | 2,706 | ||
888 | 2,608 | ||
887 | 2,324 | ||
886 | 2,503 | ||
885 | 2,365 | ||
884 | 2,482 | ||
883 | 2,564 | ||
882 | 2,393 | ||
881 | 2,444 | ||
880 | 2,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