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2005농업전망/식품안전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5-02-03 | 조회수 | 2188 |
<P> </P><P align=center><STRONG>소비자 '안전성' 요구 거세ㆍGAP·HACCP 등 차질없이</STRONG></P><P><BR> <BR> <BR>수입개방과 과학 발달로 다이옥신, 가금인플루엔자 등 식품위해사고는 대형화되고 있으며, 지금보다도 더 많은 유전자조작식품의 출현과 환경 파괴로 인한 유해물질의 식품 오염이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P><P> </P><P>소비자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관심과 요구는 갈수록 증대되고 있지만 식품안전정책에 대한 신뢰도는 44% 수준으로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쇠고기 안전성정보의 경우 소비자단체발표는 48% 신뢰하는 반면 정부 발표는 15%에 불과하다. </P><P> </P><P>식품안전체계의 장기 비전은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식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당면과제로는 위험분석관련 R&D 투자 확대, 소비자안전센터(안) 설치, 수입식품 사전관리체제 도입,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 위해요소중점관리제도(HACCP), 이력추적관리제도(Traceability) 등 사전적 식품안전관리제도 시행기반 마련, 부처간 종합정보망 구축,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역할 정립 등이다. </P><P> </P><P>생산자, 유통업체 및 제조업체들 역시 안전한 식품의 생산·제조·공급을 위해 지침을 준수하고, 자율적 안전 및 위생검사체제 구축을 통해 소비자의 요구에 대응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정부는 위험분석체계에 입각한 위험관리와 안전성향상 기술 개발 및 보급에 노력해야 한다. </P><P> </P><P> </P><P> </P><P> </P><P> </P><P align=right>출처 : 한국농어민신문 2005. 2. 3.</P><P> </P>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899 | 2,783 | ||
898 | 3,595 | ||
897 | 2,549 | ||
896 | 6,150 | ||
895 | 2,677 | ||
894 | 2,898 | ||
893 | 2,617 | ||
892 | 2,380 | ||
891 | 2,337 | ||
890 | 2,18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