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2005.5.16(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05-16 조회수 3159
1. 농산물 <BR><BR>가격지수 : 103.32 전일대비 -3.84 <BR>동 향 : 농산물은 주초를 맞이하였으나 전반적인 소비부진이 이어졌으며, 전일 휴일로 출하작업이 줄어든 근교산 채소류와 풋고추가 상승하였지만, 기온상승으로 생육이 빨라진 오이, 호박 등 열매채소류를 비롯하여 채소류의 전반적인 시세는 약보합세를 형성하였음. 마늘쫑은 저장품 출하로 인해 약상승세를 형성하였고, 제주, 보성, 안양 지역 출하가 본격화된 감자는 약보합세를 형성하였음. <BR><BR>◈ 고구마 감자류 <BR>가격지수 : 102.03 전일대비 -17.37 <BR>동 향 : 감자는 제주지역 물량이 금일 200톤으로 증가하여 총 반입량은 553톤으로 홍수출하되어 상품기준 전일대비 15%하락하였음. 수미종은 김제, 장흥, 서산지역에서 주로 출하되었으며 금일 최고 경락가는 서산, 당진, 김제 지역에서 출하된 감자로 상자에 30,000원이고 대지종은 제주에서 출하되었으며 최고 경락가는 24,000-22,000원임<BR><BR>◈ 잎채소류 <BR>가격지수 : 92.55 전일대비 -8.07 <BR>동 향 : 배추는 금일 반입량은 999톤으로 전일 대비 47%증가하였슴. 출하지역은 해남 72%, 무안 9%, 진도 7%, 기타 11%였고, *봄배추(5톤 트럭 기준) 평택 45%, 의령 10%, 진주 10%, 기타 35%이었슴. 출하지역별 가격은 *5톤 트럭 평택 61~161만원, 의령 65~132만원, 진주 65~80만원 *10kg그물망 해남 510~3,850원, 무안 1,300~3,210원, 진도 1,000~3,000원이었슴. 금일 전체 평균 가격은 *10kg그물망 상품기준 2,900원, *5톤 트럭 상품기준 140만5천원이었슴. 남부지방 터널배추가 본격 출하되면서 물량이 증가하였으나 상품성 저하로 하락세를 형성함. 출하지역은 하우스 배추가 송탄, 해미, 광천등지이고, 터널배추는 의령, 진주등지이며, 저장배추는 상품성이 하락하면서 품위간 폭도 크게 나타나고 있슴<BR>- 양배추 : 금일 반입량은 346톤으로 전일대비 1톤 감소함. 금일 총출하물량중 출하지역별 반입비율은 제주도 북제주군 57%, 밀양 24%, 대구 12%, 기타 19%였고, 출하지역별 가격은 8kg그물망 기준 북제주군 550~2,700원, 밀양 1,300~4,700원, 대구 1,500~3,900원이었슴. 전체 평균가격은 상품기준 3,400원이었슴. 가격은 냉동은 하락세, 하우스산은 상승세에 거래됨.<BR>- 상추 :&nbsp;금일 반입량은 124톤으로 전일 대비 8%가량 증가하여 반입되었음. 주말 큰폭의 시세상승으로 인해 작업량이 증가하며서 주초 수요가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시세는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나, 품종별로는 시세가 엇갈렸는데, 지방시장 및 외부시장의 주문량이 많은 청상추는 상승세를 보인반면.&nbsp; 적포기와 적상추는 전일대비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하락세를 보였음.&nbsp;청상추가 최근 강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10톤내외에서 반입량이 형성되고 있어 시장 수요량이 크게 못미치면서 전주부터 강세를 형성하고 있고, 출하지에서도 출하조절을 통해 반입량을 조절하면서 최근의 강세를 형성하고 있음<P>- 시금치 : 금일반입량은 100톤으로 전일대비 22%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 전 주말 큰폭의 물량 증가로 인해 하락세를 보이면서 주말 작업량이 감소하였고, 주말 재고가 소진되면서 매기가 강하게 형성되면서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였음. 주로 급식업체의 주문이 많은 박스시금치 위주로 상승세를 보였으며, 단 시금치는 소폭 하락세를 보였음</P><P>- 깻잎 : 반입량은 62톤으로 전일대비 17%가량 증가하여 반입되었음. 반입량은 증가하였으나 반입량과 상관없이 최근의 시세를 유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경남 밀양의 반입량은 감소하고 있고, 충남 금산의 반입량은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밀양산이 66%를 차지하고 있음. 현재 거래되고 있는 시세가 바닥시세라는 인식이 짙게 형성되면서 물량의 증감에 관계없이 상품기준으로 12,000원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가격의 급격한 변동은 없는 편임. 소비 또한 꾸준한 편으로 외부시장 및 유통업체의 주문이 꾸준히 형성되고 있음<BR><BR><BR>◈ 열매채소류 <BR>가격지수 : 93.67 전일대비 -24.19 <BR>동 향 : 오이는 전체적으로 788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90%증가하였고, 금일 총출하물량중 출하지역별 반입비율은 *백다다기-천안 22%, 상주 12%, 춘천 9%, 기타 57%, *취청-구례 37%, 순천 24%, 강진 12%, 기타 27%였고, 출하지역별 가격은 *백다다기 오이 천안 6,000~26,500원, 상주2,000~24,000원, 춘천 3,000~22,500원, *취청오이 구례 1,500~18,500원, 순천 1,500~30,000원, 강진 1,000~26,000원이었슴. 금일 전체 평균가격은 백다다기 상품기준 21,250원, 취청오이 상품 기준 22,000원이었슴. 백다다기는 물량 증가와 지속적인 대량물량 반입예상으로 인해 시세 하락. * 취청도 물량 증가로 인해 시세 하락세.<BR>- 호박 : 전체적으로 391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61%증가하였고. 금일 총출하물량중 출하지역별 반입비율은 *애호박- 청원 19%, 평택 12%, 광주 12%, 기타 57%&nbsp; *츄키니-전주 32%, 하남 23%, 공주 14%, 기타 31%였고, 출하지역별 가격은 *애호박 20개 기준 청원 3,500~7,500원, 평택 2,500~6,500원, 광주 2,000~9,000원, *츄키니 10kg상자 기준 전주 500~18,500원, 하남 500~30,000원, 공주 1,500~26,000원이었슴. 금일 전체 평균 가격은 애호박 상품기준 6,500원, 츄키니 호박 상품 기준 5,750원이었슴. <BR><BR>◈ 뿌리채소류 <BR>가격지수 : 115.17 전일대비 -0.19 <BR>동 향 : 무는 금일 반입량은 727톤으로 전일 대비 21%증가하였슴. 출하지역은 남제주 73%, 북제주 15%, 영암 10%, 기타 2%였고, 금일 전체 평균가격은 18kgPE대 상품기준 5,650원이었슴. 출하지역별 가격은 남제주 1,300~6,800원, 북제주 1,500~7,700원, 영암 1,100~4,700원이었슴. 전체적인 물량이 증가하면서 햇무는 약보합세. 저장무는 보합세에 거래됨<BR><BR>◈ 양념 채소류 <BR>가격지수 : 98.72 전일대비 +4.60 <BR>동 향 : 양파는 무안 80%, 해남 7% 반입되었으며 총반입량은 주말대비 9%증가한 982톤임. 지난주 중반이후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시세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금일 최고 경락가는 무안 13kg망이 kg당 615원, 해남 13kg망이kg당 577원임. 대파는 반입량이 다소 감소하여 189톤이엇으며 주말대비 보합세 거래되어 매우 낮은 시세를 형성하고 있음. 금일 출하지역은 고양 64%, 구리 12%, 남양주 5%, 영광 3%임. 지역별 경락가는 고양 300-170원, 구리 480-180원, 남양주 320-170원, 영광 530-470원임. 풋마늘은 제주, 고흥지역에서 지난주말이후 출하되기 시작하였으며 50개들이 망당 상품은 4,500-5,000원, 중품은 3,000-3,500원에 거래되고 있음. 고추류는 풋고추가 64톤으로 16%감소하여 반입되었으며 상품기준 25%상승하였고 청양고추도 주말대비 4%감소한 76톤 반입되었으며 상품기준 10%오름세, 꽈리고추는 37톤으로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소비가 활발하여 상품기준 7%오름세 형성함.<BR><BR>◈ 서양 채소류 <BR>가격지수 : 90.11 전일대비 +4.40 <BR>동 향 : 피망은 38톤이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감소하여 반입되었고, 시세는 반입량 감소와 주초 수요증가로 상승세를 보였음, 경남 진주의 끝물 출하로 인한 상품성 저하로 좀처럼 저단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양상을 지속하고 있음. 양상추는 반입량과 상관없이 10,000대의 시세를 유지하는 모습을 보였고, 기타 서양채소류는 대부분 보합내지 약세를 보였으나 반입량이 감소한 치커리와 파세리가 큰폭의 시세상승을 보였음<BR><BR>◈ 버섯류 <BR>가격지수 : 76.61 전일대비 -0.68 <BR>동 향 : 느타리는 이틀 물량 반입으로 전일보다 17%증가한 43톤 반입. 반입량 증가에 따른 매기 형성이 어려워 하락세 형성. 양송이는 논산 신교및 청라지역 주기 현상으로 반입량 증가. 반입량 증가로 전 등급 약세 장세를 보임. 새송이는 반입량이 15%증가하였으며 특품은 보합세를 형성한 반면, 중하품은 소폭의 하락세 보임. 충청 지역을 중심으로 출하가 이루어지고 있는 생표고는 우수 상품 출하 둔화세를 보이고 있으며 반입량은 주초임에도 감소세 형성. 반입량 감소로 인해 상승세에 거래. 지난 주말 반입량 감소로 중상품 위주의 상승세를 보이던 팽이는 금일 반입량이 43톤으로 증가하면서 내림세 형성. 전반적 시세 하락으로 특품의 반입량이 감소해 특품과 중상품간 시세 차이가 적어지고 있음. <BR></P><P>2. 수산물 </P><P>가격지수 : 107.96로 전일대비 -0.79<BR>동 향 : 수산물은 주초 물량 증가와 생선류, 조개류 위주로 거래가 부진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생선류는 삼치, 꽁치, 냉태, 양식우럭, 자연산 광어가 물량이 증가하면서 하락세 거래. 조개류는 소라, 굴, 새꼬막, 깐바지락이 반입량 증가와 거래부진으로 시세 하락. 연체류는 수입낙지, 쭈꾸미, 미더덕이 반입량이 줄고 지난주말 재고 소진으로 상승세 거래.</P><P>◈ 생선류 <BR>가격지수 : 89.82로 전일대비 -2.24<BR>동 향 : 고등어는 제주산 생물고등어가 반입되었으나 반입량이 적어 1상자 50,000-65,000원의 강세를 형성하였고 부산산 냉고등어는 반입량 증가와 판매부진으로 하락세 거래. 냉동 명태는 물량이 증가하면서 거래가 부진하여 하락세를 보였고 일본산 수입명태는 중품 위주로 선도가 좋아 판매호조를 보여 소폭 상승세 거래. 갈치는 체장 작은 제주산이 반입되면서 판매부진으로 시세 하락. 수입갈치 또한 일본산이 선도가 떨어져 약세 형성. 꽁치는 속초와 거진에서 조업 활발로 반입량이 크게 늘면서 시세 하락. 삼치는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전주 재고 소진으로 매수세가 크게 증가하면서 보합세 거래. 병어는 충무산이 선도가 좋아 체장이 큰 부산산과 함께 상승세 거래. 활어류중 숭어류, 자연산 광어, 자연산 농어, 양식 우럭은 반입량 증가와 주초 판매부진으로 하락세 주도.</P><P>◈ 조개류 <BR>가격지수 : 116.40로 전일대비 -11.374<BR>동 향 : 주초 조개류는 입하량이 증가하고 물량확보 매수세는 둔화되면서 시세는 내림세를 보였다. 충무산 굴은 선도가 떨어지면서 매기가 부진하여 시세가 토요일대비 19.2% 하락하면서 조개류 전체지수 부진을 주도 하였음. 바지락은 하품위주로 반입량이 증가한데다 상품성 가치 마저 떨어지면서 하품 가격이 소폭 하락. 새꼬막은 반입량이 증가로 내림세를 보임. 가무락, 소라는 약보합세, 홍합, 재첩, 참꼬막은 보합세 유지. </P><P>◈ 연체류 <BR>가격지수 : 110.47로 전일대비 +6.50<BR>동 향 : 전주에 내림세로 마감했던 연체류는 주산지 출하자들의 시세부진 예상으로 반입량이 전체적으로 감소하면서 시세는 강세를 보였다. 낙지는 전일에 비해 3톤가량 반입량이 줄어들고, 하품 선도가 눈에 띄게 나아지면서 시세는 오름세를 기록함. 쭈꾸미는 50%이상 물량이 감소하고, 학교급식 물량확보 대비로 인한 식자재업체 구매량이 늘어나면서 시세는 상승세를 보임. 살오징어는 반입량이 8톤 가량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선도가 뛰어나 상품성 가치를 인정받으면서 시세는 보합세를 유지. 미더덕 통영산 상품은 시세 상승, 냉동 미더덕은 시세 하락을 보임. 오만둥이는 내림세, 문어는 강보합세에 거래.</P><P>&nbsp;</P><P>◆ 채소과일류<BR>가격지수 : 119.56 &nbsp;-1.68P<BR>동 &nbsp; 향 : 채소과일류는 1,104톤 반입되어 전일 1,049톤 대비 5% 출하량 증가함. 품목별로는 물량 감소한 품목이 많은 가운데 수박과 토마토의 반입량이 늘면서 전체반입량 증가하였음. 도매시세는 출하량이 27%가량 감소한 방울토마토를 제외한 대부분 품목이 약보합세에 거래되면서 지수소폭하락세에 거래됨. 금일 수박은 경북 고령지역이 30% 가량 출하 점유율을 보였으며, 의령과 함안 지역이 7~8%, 부여와 논산 지역이 6~7% 출하분포를 보였음. 토마토는 강원 춘천지역이 28% 가량 출하되어 가장 많은 거래가 이루어졌으며 충남 공주와 논산지역이 7~9% 출하 점유율을 나타냈으며, 방울토마토는 부여, 보성, 담양, 장흥지역에서 10~15% 출하 분포율을 보였음.<BR><BR>◆ 나무과일류<BR>가격지수 : 111.78 &nbsp;+0.32P<BR>동 &nbsp; 향 : 나무과일류는 174톤 반입되어 전일 115톤 대비 51% 출하량 증가하였다. 나무과일류는 주초가 시작되면서 국내산 과일은 사과와 배의 출하량이 증가하였고 수입산은 바나나와 오렌지의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전체반입량 증가세를 보였다. 한라봉은 출하종료시기가 임박하고 있으며 하우스감귤은 아직까지 상품성이 떨어지고 있어 적극적 구매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수입산 오렌지 네블은 5월 16일을 기점으로 수입이 끝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시세는 내림세에 거래되고 있음.<BR><BR></P><P><BR>&nbsp;</P><P align=right>- 2005.5.16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nbsp; - </P><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1109

버섯재배사의 자동 환기시대를 열다!첨부파일 있음

4,985
1108

장미 로열티, 우리 육성 품종으로 대응한다!

2,555
1107

봇물터진 돼지고기 수입

2,425
1106

불법종자 유통시킨 종자업체 고발등 조치첨부파일 있음

2,735
1105

2005.5.17(화) 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2,474
1104

금년도 사과원 관리는 열매솎기를 앞당겨야 한다!

2,313
1103

2005.5.16(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3,159
1102

2004년 화훼재배 현황첨부파일 있음

3,068
1101

북, 과학농사 확대 조치 취해

2,319
1100

친환경농산물 분류 3개로 축소

2,371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