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2005.5.17(화) 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05-17 조회수 2475
<P><FONT size=2>1. 농산물 <BR><BR>가격지수 : 103.73 전일대비 +0.75 <BR>동 향 : 농산물은 물량 감소와 전일 매기가 활발로 재고가 소진되어 가격이 상승한 대파, 풋고추 등 양념채소류, 셀러리, 청피망등 서양채소류와 고구마등이 상승하였지만, 기온상승으로 생육이 빨라진 오이, 호박등 열매채소류와 청상추, 배추 등 잎채소류는 가격이 하락하여 전체적인 지수는 강보합세를 형성하였음. <BR><BR>◈ 고구마 감자류 <BR>가격지수 : 117.49 전일대비 +15.46 <BR>동 향 : </FONT><SPAN style="FONT-FAMILY: " 10.0pt mso-bidi-font-size: 0pt; mso-font-kerning: ½A¸iA¶; mso-bidi-font-family: mso-hansi-font-family: mso-ascii-font-family: 신명조;><FONT size=2>감자는 김제지역 감자 출하량이 감소하고 제주도 반입량도 146톤으로 감소하면서 전체 반입량은 전일대비 감소한 385톤이며 시세는 강보합세 거래되었음. 수미종은 김제, 서산, 장흥, 고령 지역에서 주로 출하되었으며 최고경락가는 당진, 35,500원, 서산 35,000원임. 대지종은 제주, 밀양지역에서 출하되었으며 최고 23,500원에 경락됨. 고구마는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소폭 오름세 거래되었음.<BR></FONT></SPAN></P><P><FONT size=2></FONT>&nbsp;</P><P><FONT size=2>◈ 잎채소류 <BR>가격지수 : 83.61 전일대비 -8.20 <BR>동 향 : <BR><BR>◈ 열매채소류 <BR>가격지수 : 88.85 전일대비 -4.82 <BR>동 향 : <BR><BR>◈ 뿌리채소류 <BR>가격지수 : 117.45 전일대비 +1.54 <BR>동 향 : <BR><BR>◈ 양념 채소류 <BR>가격지수 : 105.92 전일대비 +7.20 <BR>동 향 : </FONT><FONT size=2><SPAN style="FONT-FAMILY: " 10.0pt mso-bidi-font-size: 0pt; mso-font-kerning: ½A¸iA¶; mso-bidi-font-family: mso-hansi-font-family: mso-ascii-font-family: 신명조;>양파는 무안지역에서 주로 출하되었고 기타 해남, 고흥지역에서 출하되었음. 최고가인 특품시세는 12-13kg이며 금일 시세는 물량감소로 전일대비 강보합세 거래됨. 대파는 반입량이 큰폭으로 감소하여 162톤 반입되었으며 오름세 거래됨. 지역별 경락가는 고양 430-250원, 구리 560-280원, 남양주 460-300원, 포천 430-250원, 영광 630-610원임. 고추류는 풋고추가 46톤으로 반입량 감소하면서 오름세, 청양고추도 반입량 감소로 강보합세, 꽈리고추는 전일 재고누적으로 약보합세 거래됨.<BR></SPAN><SPAN lang=EN-US 0pt; mso-font-kerning: ½A¸iA¶; mso-bidi-font-family: 신명조 mso-fareast-font-family: FONT-FAMILY: 12pt;>.<?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o:p></o:p></SPAN></FONT></P><P><FONT size=2>◈ 서양 채소류 <BR>가격지수 : 94.80 전일대비 +4.69 <BR>동 향 : <BR><BR>◈ 버섯류 <BR>가격지수 : 76.09 전일대비 -0.52 <BR>동 향 : <BR><BR>2. 수산물 </FONT></P><P><FONT size=2>가격지수 : 106.94로 전일대비 -1.02<BR>동 향 : 수산물은 조개류는 물량 감소와 재고 소진으로 오름세를 보인 반면, 연체류는 판매부진으로 재고가 많아지면서 시세 하락.&nbsp;&nbsp; 생선류는 냉동고등어가 대형품 위주로 판매호조를 보이며 오름세였고 임연수어, 꽁치, 삼치는 물량 감소로 시세 상승. 조개류는&nbsp; 새꼬막, 홍합, 깐홍합이 반입량 감소로 상승세 거래. 연체류는 수입낙지, 쭈꾸미는 물량이 늘면서 판매부진으로 재고가 누적되어 약세를 보였고 우렁쉥이, 오만둥이는 물량 감소로 강보합세 형성. </FONT></P><P><FONT size=2></FONT>&nbsp;</P><P><FONT size=2>◈ 생선류 <BR>가격지수 : 90.18로 전일대비 +0.36<BR>동 향 : 고등어는 부산산 냉동고등어와 제주산 대고등어가 물량이 늘었고 체장 큰 대형품 위주로 판매호조를 보이면서 오름세 거래. 수입생태는 일본산 물량이 줄었으나 판매부진으로 약보합세 거래. 갈치는 제주산 중소형품 반입량 증가로 거래가 부진하면서 하락세 거래. 꽁치, 임연수어는 동해안산 반입량이 줄면서 소비 수요 증가에 따른 판매호조로 오름세 거래. 병어는 부산산 중소형품이 반입되면서 선도가 떨어져 시세 하락. 활어류중 자연산 돔과 농어는 선도가 떨어져 하락세 거래. 양식돔과 광어는 판매호조로 소폭 상승세 거래.</FONT></P><P><FONT size=2>◈ 조개류 <BR>가격지수 : 119.19로 전일대비 +2.79<BR>동 향 : 어제 큰폭의 내림세를 보였던 조개류는 금일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시세는 강보합세를 형성.충무산 굴은 반입량이 40%가량 줄어들었음에도 선도가 떨어져 어제 이어 금일에도 가격은 소폭 하락하였음.&nbsp; 바지락은 망으로 거래되던 것이 금일에 박스로 반입되면서 중?하품 저장 상태가 좋아 상품성 가치가 상승하면서 중?하품 시세는 오름세를 상품은 강보합세를 보임. 새꼬막은 전일대비 반입량이 40%정도 감소하고 주중 학교급식 수요로 인한 식자재납품 업체 구매에 힘입어 강보합세를 형성. 깐 홍합은 외식업체의 물량확보가 매수세 상승을 부추기며 강보합세를 보임. <BR></FONT></P><P><FONT size=2></FONT>&nbsp;</P><P><FONT size=2>◈ 연체류 <BR>가격지수 : 101.67로 전일대비 -8.80<BR>동 향 : 어제 강세를 보였던 연체류는 금일 반입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시세는 급락하였음. 낙지는 전일에 비해 반입량이 4톤가량 증가한데다 매수세 부진으로 전일 5kg상자 상품 평균 22,000원 하던 것이 금일에는 17,500원에 거래되어 연체류 하락세를 주도함. 물오징어는 전일에 비해 7톤가량 입하량이 줄었음에도 주중 외식업체 매수 부진과 전일 재고 누적으로 인하여 시세는 전일에 비해 7.3% 하락하였다. 어제 상승세를 보였던 쭈꾸미는 반입량이 배이상 늘어나면서 시세는 부진함. 미더덕, 오만둥이는 약보합세, 우렁쉥이는 보합세 유지.</FONT></P><P><FONT size=2></FONT>&nbsp;</P><P><FONT size=2>◈ 나무과일류<BR><BR>가격지수 : 113.47p 전일대비 +1.69p<BR>동 &nbsp; &nbsp;향 : 금일 반입량은 194톤으로 전일 164톤에 비해 12% 증가. 사과는 산지 저장량이 지난해에 비해 20% 가량 적은 수준으로 향후 시세가 현재보다 하락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많아 출하량이 늘어났고, 이와 반대로 배는 화접이후 출하량이 집중되어 시장내 재고가 증가하였고, 특히 대과의 판매부진으로 시세 하락이 지속되면서 출하를 자제하여 반입량이 급감하였음. 감귤은 하우스 물량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나 지난해에 비해 생산량이 2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높은 시세를 유지하면서 3kg, 5kg 등 소포장 비율이 높아지고 있음. 또한 시설재배된 포도와 복숭아 물량이 증가하고 있으나 본격적인 출하는 이달 말경에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며, 매실도 출하량이 소폭 증가하고 있음. <BR>금일 시세는 출하량 급감에도 불구하고 시장내 재고 누적에 따른 매기부진으로 배 시세는 전일에 비해 소폭 하락하였고, 사과는 소과를 중심으로 강보합세를 형성하였음.<BR><BR>◆ 채소과일류<BR>가격지수 : 106.56 &nbsp;-13.56P<BR>동 &nbsp; 향 : 채소과일류는 972톤 반입되어 전일 1,104톤 대비 12% 출하량 감소함. 품목별로는 수박의 출하량 감소가 가장 많았고 토마토 일반종과 메론도 물량 감소하였음. 도매시세는 물량 감소한 품목이 많은 가운데 수박과 토마토의 반입량이 늘면서 전체반입량 증가하였음. 도매시세는 기상여건이 좋지 못해 수박과 대부분 과일류의 시세가 내림세에 거래되면서 지수 큰 폭으로 하락하였음. 한편, 토마토는 2~3년전부터 시세호조로 기존 주 출하지역인 춘천, 논산, 공주, 광주 등지의 재배면적이 증가하였고, 경기권 평택 및 강원 양구, 정선, 영월 등지에서도 작목전환한 농가가 많아 금년 출하량 전년 대비 50% 이상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시세는 출하량 증가로 전년보다 낮게 형성되고 있음. <BR><BR></FONT></P><P><FONT size=2></FONT>&nbsp;</P><P align=right><FONT size=2>- 2005.5.17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FONT></P><BR><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1109

버섯재배사의 자동 환기시대를 열다!첨부파일 있음

4,985
1108

장미 로열티, 우리 육성 품종으로 대응한다!

2,555
1107

봇물터진 돼지고기 수입

2,425
1106

불법종자 유통시킨 종자업체 고발등 조치첨부파일 있음

2,736
1105

2005.5.17(화) 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2,475
1104

금년도 사과원 관리는 열매솎기를 앞당겨야 한다!

2,314
1103

2005.5.16(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3,159
1102

2004년 화훼재배 현황첨부파일 있음

3,068
1101

북, 과학농사 확대 조치 취해

2,319
1100

친환경농산물 분류 3개로 축소

2,371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