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주간새농사정보(제21호)5월22일 ~ 28일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5-05-24 | 조회수 | 2571 |
<TABLE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height=77 cellSpacing=0 cellPadding=1 width=440 border=1 none collapse BORDER-COLLAPSE: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TBODY><TR><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440 height=77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solid 0.425pt #000000 solid;><P center TEXT-ALIGN: 1.9pt;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130%; LINE-HEIGHT: -28.08pt; TEXT-INDENT: #333333; COLOR: 28.08pt; 0pt MARGIN: 10pt;><SPAN center TEXT-ALIGN: 1.9pt;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13pt; FONT-SIZE: bold;></SPAN><SPAN TEXT-ALIGN: 1.9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FONT-SIZE: bold; underline TEXT-DECORATION: center; ’HY견고딕’; #008000;>5</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underline TEXT-DECORATION: center; ’HY견고딕’; #008000; 2.5pt;>월의 주요 실천 농작업</SPAN> <P TEXT-ALIGN: ’바탕체’; FONT-FAMILY: 130%; LINE-HEIGHT: -28.08pt; TEXT-INDENT: #333333; COLOR: 28.08pt; 0pt MARGIN: 10pt; justify><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13pt; justify 0pt;> ◈ 논</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pt; #000000;>두렁 손질 및 논물가두기 </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13pt; justify 0pt;>◈ </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00000; -1.2pt;>못자리</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00000; -1.6pt;> 비닐속 바람트기</SPAN> <P TEXT-ALIGN: ’바탕체’; FONT-FAMILY: 130%; LINE-HEIGHT: -28.08pt; TEXT-INDENT: COLOR: 28.08pt; 0pt MARGIN: 10pt; justify #000000;><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pt; #000000;> </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13pt; justify 0pt;>◈</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pt; #000000;> </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00000; -2.4pt;>벼 물바구미</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pt; #000000;> </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00000; -0.8pt;>중점방제 하기 </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13pt; justify 0pt;>◈ </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pt; #000000;>고구마 알맞은 시기에 싹심기</SPAN> <P TEXT-ALIGN: ’바탕체’; FONT-FAMILY: 130%; LINE-HEIGHT: -28.08pt; TEXT-INDENT: COLOR: 28.08pt; 0pt MARGIN: 10pt; justify #000000;><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pt; #000000;> </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13pt; justify 0pt;>◈ </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pt; #000000;>마늘, 양파 가뭄 포장 관수 </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13pt; justify 0pt;>◈ </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00000; -0.8pt;>고추 적기 정식 및 포장관리</SPAN> <P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130%; LINE-HEIGHT: -28.08pt; TEXT-INDENT: COLOR: 28.08pt; 0pt MARGIN: 10pt; justify #000000; -0.8pt;><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00000; -0.8pt;> </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13pt; justify 0pt;>◈</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00000; -0.8pt;> </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pt; #000000;>과수 적기 열매솎기 </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13pt; FONT-SIZE: bold; justify 0pt;></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13pt; justify 0pt;>◈</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13pt; FONT-SIZE: bold; justify 0pt;> </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00000; -1.2pt;>돼지콜레라 바이러스 </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pt; #000000;>예방</SPAN> <P TEXT-ALIGN: ’바탕체’; FONT-FAMILY: 130%; LINE-HEIGHT: -28.08pt; TEXT-INDENT: #333333; COLOR: 28.08pt; 0pt MARGIN: 10pt; justify><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13pt; justify 0pt;> ◈ 느타</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pt; #000000;>리버섯 환경관리 </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13pt; justify 0pt;>◈ </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pt; #000000;>이앙기.관리기 사용전 점검</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13pt; justify 0pt;> </SPAN></P></TD></TR></TBODY></TABLE><P><SPAN>☞ 이번 주간에 실천 할 농작업 </SPAN></P><P><SPAN>☞ 이번 주간에 실천 할 농작업 <BR></SPAN></P><P><SPAN></SPAN> </P><P><SPAN>◈ 벼농사 <BR>가. 기계 모내기 <BR>○ 기계 모내기를 할때에는 논바닥이 평평하게 써레질을 잘 하도록 하고, 이앙기계의 포기수는 적정 포기수가 심겨지도록 조절한다. <BR>○ 어린모 기계이앙에서는 중모보다 볍씨를 더 배게 뿌렸으므로 이앙기계의 모 떼는 양과 포기수를 잘 조절하여 모내기를 하도록 한다. <BR>○ 이앙기계의 포기수를 알맞게 조절하였어도 모를 낼 때 옆줄과의 간격이 넓어지면 포기수가 적어지게 되므로 이앙기계를 회전할 때는 옆줄 간격을 잘 맞추도록 한다. <BR>○ 모판 수가 부족한 농가는 이웃 농가 여분의 모판이나 행정기관의 예비 모판 활용 여부를 알아보도록 하고, 이것이 여의치 못할 경우에는 어린모 육묘를 서두르도록 한다. <BR></SPAN></P><P><SPAN>나. 직파재배 논 관리 <BR>○ 싹이 트기 전 건답직파논에 물이 잠길 경우에는 파종한 볍씨가 썩게 되므로 배수로를 잘 정비하여 입모율을 높이도록 하고, 입모수가 ㎡당 60개 이하로 불량한 논은 어린모기계이앙으로 대체토록 한다.<BR>○ 건답직파한 논의 벼 잎이 1~2개정도 자란 논은 물을 대주고, 물댄 후 5~10일경에 어린모 적용 입제 잡초약을 뿌려주도록 한다. <BR>○ 담수직파재배에서는 파종 후 10일경 뿌리가 내린 후 두배논, 직파매등 자기논에 적합한 잡초약을 선택하여 골고루 뿌려 주도록 한다. 이때 새 뿌리가 나오지 않았으면 약해를 받게 되므로 잡초약 사용 시기 선택에 주의하도록 한다. <BR></SPAN></P><P><SPAN>다. 거름주기 <BR>○ 모내기 때는 밑거름으로 알맞은 복합비료를 선택하여 주도록 해야 하는데, 제때에 모를 내는 논에는 농업기술센터에서 토양검정을 한 후 적정한 복합비료 등을 선택하여 적정량을 뿌려 주도록 한다. <BR>○ 복합비료는 논갈이나 써레질 바로 전에 논 전체에 뿌려 주어 갈이흙층에 고루 섞이도록 한다. <BR></P></SPAN><P><SPAN>라. 본 논 잡초방제 <BR>○ 피 등 잡초는 벼가 이용하여야 할 논토양의 양분을 빼앗아 수확량을 감소시키는 원인되므로 제때에 방제하도록 한다. <BR>○ 자기 논에 발생되는 풀의 종류에 따라 알맞은 잡초약을 선택토록하고, 입제 잡초약을 사용할 경우에는 논에 물을 3~4㎝ 정도로 대고 일주일이상 유지 되도록 관리해 주어야 약효가 좋아진다. <BR>○ 기계이앙을 한 논에서는 모낸 후 사용시기에 따라 알맞은 잡초약을 선택하여 뿌려주도록 하고, 어린모 기계이앙을 한 논에는 반드시 적용 잡초약을 뿌려서 약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BR></P></SPAN><P><SPAN>◈ 밭농사 <BR>가. 밭작물 관리 <BR>○ 밭작물은 뿌리가 엉키기 전에 솎음 작업이나 메워 심기를 해야하는데,참깨는 1개, 콩은 포기당 2개, 옥수수는 1개만 남기고 솎아 주도록 한다. <BR>○ 밭작물은 예비 모판을 설치하여 결주율이 10%이상 될시 적정 주수가 확보되도록 옮겨심기를 해준다. <BR>○ 참깨, 콩을 2모작으로 재배하려는 농가는 앞그루 작물을 서둘러 수확하여 적기에 파종을 하도록 하고, 특히 참깨는 흑색 유공 비닐을 사용하여 고온장해와 잡초 발생을 미리 막도록 한다. <BR>○ 옥수수는 잎이 5~6개 나왔을 때 10a당 요소 10㎏ 기준으로 웃거름을 주어서 생육을 촉진시키도록 한다. <BR></SPAN></P><P><SPAN>나. 보리 수확 <BR>○ 논에 심은 보리는 바인더, 콤바인 등 수확 기계를 최대한 활용하여 빠른 시일 내에 작업을 마쳐 뒷그루 작물이 적기에 파종되도록 한다. <BR>○ 보리를 수확할 때는 콤바인의 풍속을 높여 고품질 보리가 생산 될 수 있도록 선별 작업을 하고, 건조를 잘하여 수매할 때 높은 등급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BR></P></SPAN><P><SPAN>◈ 과 수 <BR>○ 열매솎기 작업은 만개 후 30일 이내에 완료하여 불필요한 양분 소모를 적게 하도록 한다. <BR>○ 사과의 경우 예년보다 액화아(겨드랑이 눈)을 포함한 전체 꽃 수가 많은 과원은 불필요한 양분 소모를 적게 하기 위하여 열매솎기 작업을 일찍 마치도록 한다. <BR>○ 저온이나 늦서리 피해로 중심화가 피해를 받은 과원은 측화를 이용하여 최대한 결실량 확보하도록 한다. <BR>○ 홍로 품종 열매솎기 작업시 중심화 결실보다는 꽃대와 연결되는 자루가 길고, 모양이 좋은 과실을 남기는 것이 좋다. <BR>○ 밀식과원의 어린 나무, 동해 피해 과원, 수세 약한 나무에 나무 좀 피해 발생이 우려되니 나무 좀 유인 트랩설치하거나 DDVP 또는 포스팜(100~200배 액)을 줄기부분에 뿌려주거나 피해를 받았을 경우에는 침입 구멍에 일회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주입하여 진딧물이나 잎말이나방류를 동시에 방제하도록 한다. <BR>○ 나무좀은 가능한 일찍 발견하여 1~2마리가 피해를 줄 때에 방제를 하되, 피해가 심하여 회복이 불가능한 나무는 조기에 뽑아서 태워버리는 것이 좋다. <BR></SPAN></P><P><SPAN></SPAN> </P><P><SPAN>◈ 화훼 <BR>○ 8월에 출하 예정인 국화는 순지르기를 실시하도록 하고, 노지재배용 국화는 묘목을 준비하고 삽목상을 설치하도록 한다. <BR>○ 시설에 재배하는 장미는 일교차가 심하면 생리 장해가 발생하기 쉽고 개화 일수가 길어지게 되므로 밤의 온도를 15 ~ 18℃로 관리해 준다. <BR>○ 종구용 백합을 재배 중인 하우스는 주기적으로 물을 주고, 병해충 방제를 실시한다. <BR>○ 구근 화훼류의 종구를 생산할 목적으로 재배중인 포장은 관리를 철저히 하여 우량 종구를 생산하도록 한다. <BR>○ 노지에서 재배하는 화훼류는 토양수분이 건조하지 않도록 물주기를 하여 생육을 촉진 시킨다. <BR></P></SPAN><P><SPAN>◈ 축 산 <BR>가. 가축 사양관리 <BR>○ 날씨가 더워지면 가축이 물을 먹는 량이 많아지므로 깨끗하고 신선한 물을 충분히 공급하고, 방목장에는 급여시설을 설치하여 소금을 먹을 수 있도록 한다. <BR>○ 번식우의 성 성숙 이전에는 일당 증체량이 500~600g, 성 성숙 이후에는 400g 정도로 키우는데, 양질의 풀을 최대한 급여하고 조사료로 볏짚만 급여할 때는 배합사료를 조금 늘려 주도록 한다. <BR>○ 여름철 수태율이 떨어지는 것에 대비하여 충분한 후보 돼지의 확보가 필요하며 선발했거나 구입한 후보 돼지는 1개월 이상 방목장에서 사육하여 다리와 발굽을 튼튼하게 하고 예방백신을 접종하도록 한다. <BR>○ 닭이 낳은 알이 깨지는 것을 막고 계분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산란율이 높은 시기에는 1일 3~4회에 알을 거둬들이도록 한다. <BR>○ 올해는 더위가 예년에 비해 심할 것으로 예보하고 있으니 그늘막 시설 등 축종별로 적합한 혹서기 대비 시설을 갖추도록 한다. <BR></SPAN></P><P><SPAN>나. 사료작물 관리 <BR>○ 방목 또는 청초로 베어 먹이지 못하고 남아 있는 이삭이 팬 목초는 건초를 만들어 먹이고, 방목한 후에 남아있는 풀은 베어주며 방목지에 떨어진 가축의 분은 초지에 고루 뿌려주어 초지의 생육을 좋게 한다. <BR>○ 초지나 사료작물의 사일리지 조제는 작물별 적기에 예취를 하여 예건한 다음 첨가제를 사용하여 곤포 사일리지 등의 작업을 실시한다. <BR>○ 사료용 옥수수의 잎이 6~7매 정도 나온 포장은 웃거름으로 질소질 비료를 주도록 하되, 비료를 기계로 살포할 때는 옥수수 잎에 물기가 없을 때 작업을 한다. <BR></SPAN></P><P><SPAN>다. 가축 위생관리 <BR>○ 최근 우리와 인접하고 있는 중국 동부지역의 산동성과 강소성에서 소 구제역이 발생하여 국내 유입이 우려되니, 구제역 예방을 위하여 축사안팎을 철저히 소독하고 외부인의 출입을 차단하도록 한다. <BR>○ 사람과 가축에 공통전염병인 소 부루세라병과 결핵병의 예방을 위해서는 쥐나 새 등 야생동물을 차단하고 가성소다 등을 이용하여 축사 주위를 주기적으로 소독하며 정기적인 혈청검사를 받아 감염우가 발견되면 즉시 살처분한다. <BR>○ 돼지콜레라가 재발되지 않도록 소독과 출입통제 등 철저한 차단방역을 하고 감염된 가축이 발견될 경우에는 신속히 방역당국에 신고한다. 병에 걸린 돼지는 절대로 자체 처리하거나 판매해서는 안 된다. <BR>○ 일부지역에서 돼지 오제스키병으로 어미돼지가 유산 또는 사산을 일으키고 새끼 돼지는 폐사가 증가하는 등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철저한 축사내외부 소독실시와 예방접종 등을 실시하여야 한다.<BR>○ 닭 뉴캣슬병과 가금티푸스 등의 예방을 위해서는 양계장 출입자와 차량 및 야생조수에 대해 차단방역을 하고 주요 질병에 대한 예방프로그램에 따라 백신을 접종한다. <BR>○ 가축분뇨 퇴비장에는 적량의 수분 조절재를 혼합하여 발효시키고 액비저장 탱크에는 폭기와 교반을 잘 하여 완전히 부숙 시켜 악취와 유해성분이 제거된 후에 작물에 이용하도록 한다. <BR></P></SPAN><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justify 0pt; #000000; ’한컴바탕’; 16pt;><A name=#762c1219></A></SPAN><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000000; ’한컴바탕’; 160%;><TABLE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height=159 cellSpacing=0 cellPadding=1 width=484 border=1 none collapse BORDER-COLLAPSE: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TBODY><TR><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484 colSpan=4 height=90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solid 0.425pt #000000 solid;><P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130%; LINE-HEIGHT: -28.08pt; TEXT-INDENT: COLOR: 28.08pt; 0pt MARGIN: 10pt; ’HY견고딕’; #008000; 2.3pt;><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underline TEXT-DECORATION: center; ’HY견고딕’; #008000; 2.3pt;>5월 중순의 기상 예보</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underline TEXT-DECORATION: center; ’HY견고딕’; #008000; -1pt;>(기상청 발표)</SPAN> <P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28.08pt; TEXT-INDENT: COLOR: 28.08pt; 0pt MARGIN: 10pt; justify #000000; ’굴림체’;><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pt; #000000; ’굴림체’;> 5월 하순에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맑은 날이 많겠으며,</SPAN> <P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28.08pt; TEXT-INDENT: COLOR: 28.08pt; 0pt MARGIN: 10pt; justify #000000; ’굴림체’;><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pt; #000000; ’굴림체’;> 중국 내륙지</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pt; #000000; ’굴림체’;>역에서 발달하는 고온 건조한 기류의 영향으로 일시적인 </SPAN><P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28.08pt; TEXT-INDENT: COLOR: 28.08pt; 0pt MARGIN: 10pt; justify #000000; ’굴림체’;><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pt; #000000; ’굴림체’;> 고온현상을 보일 때가 있겠</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pt; #000000; ’굴림체’;>음. 중부지방은 대체로 건조한 경향을 보이</SPAN> <P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28.08pt; TEXT-INDENT: COLOR: 28.08pt; 0pt MARGIN: 10pt; justify #000000; ’굴림체’;><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pt; #000000; ’굴림체’;> 겠으며, 남쪽에서 접근하는 기압골의 영향</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pt; #000000; ’굴림체’;>으로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SPAN><P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28.08pt; TEXT-INDENT: COLOR: 28.08pt; 0pt MARGIN: 10pt; justify #000000; ’굴림체’;><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pt; #000000; ’굴림체’;> 다소 많은 비가 오는 곳이 있겠음. 6월 상순에는 이동성</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pt; #000000; ’굴림체’;> 고기압과 기압</SPAN> <P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28.08pt; TEXT-INDENT: COLOR: 28.08pt; 0pt MARGIN: 10pt; justify #000000; ’굴림체’;><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pt; #000000; ’굴림체’;> 골의 영향을 주기적으로 받겠으며, 한두 차례 다소 많은 비가 오는 곳</SPAN> <P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28.08pt; TEXT-INDENT: COLOR: 28.08pt; 0pt MARGIN: 10pt; justify #000000; ’굴림체’;><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pt; #000000; ’굴림체’;> 이 있겠음.</SPAN></P></TD></TR><TR><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28 height=18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000000 double 1.417pt double;><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굴림’;><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굴림’;>순별</SPAN><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바탕’;></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113 height=18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0.425pt #000000 solid; double 1.417pt double;><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굴림’;><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굴림’;>날 씨</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155 height=18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0.425pt #000000 solid; double 1.417pt double;><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굴림’;><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굴림’;>기 온</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187 height=18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0.425pt #000000 solid; double 1.417pt double;><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굴림’;><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굴림’;>강 수 량</SPAN></P></TD></TR><TR><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28 height=25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solid 0.425pt #000000 solid; 1.417pt double;><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굴림’;><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굴림’;>5월하순</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113 height=25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solid 0.425pt #000000 solid; 1.417pt double;><P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TEXT-INDENT: COLOR: 0pt MARGIN: 10pt; 0pt; #000000; ’굴림’; left 5pt;><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굴림’; left>맑은 날이 많겠음.</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155 height=25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solid 0.425pt #000000 solid;><P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TEXT-INDENT: COLOR: 0pt MARGIN: 10pt; 0pt; #000000; ’굴림’; left 5pt;><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굴림’; left>평년(평균기온 13~20℃)보다</SPAN> <P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TEXT-INDENT: COLOR: 0pt MARGIN: 10pt; 0pt; #000000; ’굴림’; left 5pt;><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굴림’; left>높겠음. </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187 height=25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solid 0.425pt #000000 solid; 1.417pt double;><P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TEXT-INDENT: COLOR: 0pt MARGIN: 10pt; justify 0pt; #000000; ’굴림’; 5pt;><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pt; #000000; ’굴림’;>평년(13~59㎜)과 비슷하겠음.</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justify 0pt; #000000; ’굴림’;></SPAN></P></TD></TR><TR><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28 height=24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0.425pt #000000 solid; double 1.417pt double;><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굴림’; 120%;><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0pt; #000000; ’굴림’; 12pt;>6월상순</SPAN><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0pt; #000000; ’굴림’; 12pt;></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113 height=24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0.425pt #000000 solid; double 1.417pt double;><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굴림’; 120%;><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0pt; #000000; ’굴림’; 12pt;>구름끼는 날이 많겠음.</SPAN><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0pt; #000000; ’굴림’; 12pt;></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155 height=24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0.425pt #000000 solid; double 1.417pt><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000000; ’굴림’; 120%;><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justify 0pt; #000000; ’굴림’; 12pt;>평년(평균기온 15~22℃)과 비슷하겠음.</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justify 0pt; #000000; ’굴림’; 12pt;></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187 height=24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0.425pt #000000 solid; double 1.417pt double;><P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굴림’; left><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굴림’; left> 평년(28~83㎜)과 비슷하겠음</SPAN></P></TD></TR></TBODY></TABLE></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000000; ’한컴바탕’; 160%;> </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000000; ’한컴바탕’; 160%;><!--StartFragment--></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000000; ’한컴바탕’; 160%;><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justify 0pt; #000000; ’한컴바탕’; 16pt;></SPAN></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20%;>☞ 5월의 농업관측 <BR></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20%;>◈ 채 소 <BR>○ <FONT color=#ff80c0>봄배추· 무 가격은 작년보다 높을 전망 <BR></FONT>월동배추·무 저온저장물량이 작년보다 많으나 봄배추·무 출하예상량이 작년보다 적어 5월 배추·무 가격은 작년과 비슷하거나 다소 높을 전망. 고랭지배추·무 재배의향면적은 평년보다 각각 4%, 5% 감소. <BR>○ 금년 고추 재배의향면적은 작년보다 1% 감소 <BR>4월말 현재 2004년산 공급량은 전년보다 11%, 재고량은 8% 많고, 5월 이후 고추 수입도 작년보다 많을 것으로 예상되어 5~7월 가격은 약보합세 전망. 금년 고추 재배의향면적은 작년보다 1% 감소 전망. <BR>○ <FONT color=#ff80c0>마늘, 양파 생산량 작년보다 많을 전망 <BR></FONT>금년산 마늘 생산량은 작년산보다 4% 많은 37만 1,000톤 내외 전망. 마늘 수확기인 5~7월 수입량은 작년 동기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되나, 생산량이 작년산보다 많아 가격은 작년보다 다소 낮을 전망. 금년산 양파 생산량은 작년산보다 9% 많은 103만 1,000톤 내외 전망. 조생종 양파의 수확시기가 지연됨에 따라 4월말 공급량이 작년보다 많고, 중만생종 양파 생산량도 작년 동기보다 12% 많아 5~6월 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낮을 전망. <BR>○ 봄대파 출하량은 작년보다 적고, 쪽파는 많아 <BR>5~6월의 봄대파 출하량은 작년보다 3% 적어 도매가격은 작년 동기(590원)보다 높을 전망. 여름대파 출하면적은 작년보다 3%, 남부지방 겨울대파 정식의향면적은 4% 감소. <BR>5월 쪽파 출하량은 작년 동기보다 8% 많아 도매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낮을 전망. 6월 및 여름쪽파 출하예상면적은 작년과 비슷하거나 다소 감소. <BR>○ 수미 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낮을 듯 <BR>5월 수미 출하량은 작년 동기보다 8% 많아 도매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낮을 전망. 제주도 겨울감자 생산량은 작년보다 적어 대지 가격은 높을 전망. 고랭지감자 파종(의향)면적은 작년보다 1% 감소. <BR>○ 당근 가격은 작년과 비슷하고 양배추는 낮을 전망 <BR>5월의 당근 국내 출하량은 작년보다 적으나 수입량이 증가할 것으로 보여 가격은 작년 동기와 비슷할 전망. 5월 양배추 출하량은 작년보다 12% 많아 상품 8kg당 도매가격은 4,000원 내외 전망. 당근·양배추의 고랭지 파종 및 정식(의향)면적은 2~9% 적을 전망. <BR></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20%;> </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20%;>◈ 축산물 <BR>○ 육계 : 사육수수는 전년보다 11.6%, 4월보다는 20.0% 증가한 6,345만수로 도계수수는 사 육수수가 증가하여 전년동기보다 11.5%, 4월보다 21.5% 증가한 4,987만수로 전망. 육계 평균가격은 경기회복 기대에 따른 수요 증가와 시장성 있는 공급물량(생체중 1.5kg)이 부족하여 5월 육계 가격은 전년(1,432원)보다 상승한 1,500~1,600원에서 형성될 것으로 전망. <농업관측센터 designtimesp=21395 designtimesp=22235 designtimesp=22931> <BR></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20%;><SPAN><!--StartFragment--> ☞ 이달의 농작물 병해충 중점방제기술 </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000000; ’한컴바탕’; 160%;><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justify 0pt; #000000; ’한컴바탕’; 16pt;><A name=#762c121a></A></SPAN><TABLE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height=227 cellSpacing=0 cellPadding=1 width=525 border=1 none BORDER-COLLAPSE: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227px HEIGHT: collapse; 525px; WIDTH:><TBODY><TR><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479 height=133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solid 0.425pt #000000 solid;><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COLOR: 0pt MARGIN: 10pt; ’HY견고딕’; #008000; 0pt; 160%; 1pt; -1pt><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underline TEXT-DECORATION: center; ’HY견고딕’; #008000; 0pt; 16pt;>농작물 병해충 발생정보</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FONT-SIZE: bold; underline TEXT-DECORATION: center; #008000; 0pt; 16pt; ’굴림’;>(제5호 : 2005. 5. 1~5. 31)</SPAN> <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0pt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pt; -1pt 100%;><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FONT-SIZE: bold; justify 0pt; ’굴림’;> 1.</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FONT-SIZE: bold; justify 0pt;> 벼물바구미와 애멸구 등 본논 초기 문제 병해충은 모내는 날 </SPAN><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0pt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pt; -1pt 100%;><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FONT-SIZE: bold; justify 0pt;> 육묘상자처리로 방제 :</SPAN> <P TEXT-ALIGN: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0pt MARGIN: 10pt; justify 0pt; 1pt; -1pt 100%;><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justify 0pt;> 모내는 날 상자에 입제농약을 뿌린 후 모내기하여 벼물바구미와 줄</SPAN> <P TEXT-ALIGN: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0pt MARGIN: 10pt; justify 0pt; 1pt; -1pt 100%;><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justify 0pt;> 무늬잎마름병을 </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justify 0pt;>옮기는 애멸구, 벼잎벌레.굴파리, 잎도열병을 함께 </SPAN><P TEXT-ALIGN: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0pt MARGIN: 10pt; justify 0pt; 1pt; -1pt 100%;><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justify 0pt;> 예방하기 바랍니다.</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justify -0.2pt;></SPAN> <P TEXT-ALIGN: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0pt MARGIN: 10pt; justify -1pt 100%; -23.34pt; 24.34pt; 7pt><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FONT-SIZE: bold; justify 0pt;> 2. 사과?배 붉은별무늬병, 검은별무늬병, 점무늬낙엽병 등 초기방제 : </SPAN><P TEXT-ALIGN: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0pt MARGIN: 10pt; justify -1pt 100%; -23.34pt; 24.34pt; 7pt><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FONT-SIZE: bold; justify 0pt;> </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justify 0pt;>병을 일으키는 </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justify 0pt;>포자가 많이 날아다니고 있으니 기상상황에 따라 강우 </SPAN><P TEXT-ALIGN: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0pt MARGIN: 10pt; justify -1pt 100%; -23.34pt; 24.34pt; 7pt><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justify 0pt;> 전후에 방제하기 바랍니다.</SPAN> <P TEXT-ALIGN: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0pt MARGIN: 10pt; justify 0pt; 1pt; -1pt 100%; 7pt><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FONT-SIZE: bold; justify 0pt;> 3. 과수 응애, 꼬마배나무이, 나무좀 등은 발생 초기에 방제 :</SPAN> <P TEXT-ALIGN: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0pt MARGIN: 10pt; justify 0pt; 1pt; -1pt 100%; 7pt><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justify 0pt;> </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justify 0.1pt;>기온이 높아지면서</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justify 0.1pt;> 해충의 활동이 활발해 지고 있으니</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justify 0.1pt;> </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justify 0pt;>과원을 잘 살펴</SPAN> <P TEXT-ALIGN: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0pt MARGIN: 10pt; justify 0pt; 1pt; -1pt 100%; 7pt><SPAN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justify 0pt;> 발생초기에 방제하기 바랍</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justify 0pt; ’굴림’;>니다.</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333333; COLOR: 10pt; FONT-SIZE: bold; justify 0pt; ’굴림’;></SPAN></P></TD></TR></TBODY></TABLE><SPAN></SPAN></P></SPAN><SPAN><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20%;><BR>◈ 벼 못자리 병해(모마름병, 뜸모) <BR>○ 육묘상자는 그 자체로 병이 발생하기 좋은 환경이며 병원균이 침입하면 병의 진전이 빠르고 큰 피해를 가져옵니다. <BR></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20%;>○ 못자리 기간 중 이상저온이나 일조가 부족한 경우, 온도 및 관수, 시비관리가 미흡한 못자리를 중심으로 모마름병과 뜸모가 발생할 우려가 있습니다. <BR>○ 밤낮의 온도차가 심하지 않도록 못자리 관리를 잘하여 주고, 발생초기에 적용농약으로 방제하기 바랍니다. <BR></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20%;> </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20%;>◈ 벼 줄무늬잎마름병, 벼물바구미 <BR>○ 줄무늬잎마름병은 애멸구가 옮기는 바이러스병으로 <BR>경기, 충남, 전라남북도 등 서해안 지방과 경상남북도 일부지방에서 병독을 지닌 애멸구 비율이 다소 높은 경향임(벼물바구미와 동시방제시</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20%;> </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20%;>○ 벼물바구미는 월동성충이 벼 잎을 갉아먹고 알을 낳은 후 성 <BR>충은 죽고, 알에서 부화된 유충이 벼 뿌리를 갉아먹어 피해를 주게 됩니다.(애멸구 벼잎벌레·굴파리류, 물가파리, 깔다구 등과 동시방제가 가능한 농약을 선택하여 모내는 날 상자에 뿌려 모내기하거나, 이때 방제를 못한 경우에는 모낸 후 10~15일 사이에 본논에서 적용농약으로 방제) <BR></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20%;> </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20%;>◈ 보리 붉은곰팡이병 <BR>○ 보리 붉은곰팡이병은 보리의 이삭이 팬 후 젖익음때까지 비가 잦을 때 발생하는 병으로 병이 발생한 후에는 사실상 약제방제가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배수구를 잘 정비하여 뿌리의 활력을 높이도록 하기 바랍니다.(기상예보에 유의하여 비가 계속될 경우에는 수확 14일 이전까지 캡탄수화제로 방제)</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20%;> </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20%;>◈ 마늘 잎마름병, 양파노균병 <BR>○ 잎마름병은 비가 자주오거나 일부 과습한 밭에서 뿌리 활력이 낮을 경우 발병이 많으므로 배수구 정비를 잘하고, 발생이 심한 밭에서는 적용농약으로 방제하기바랍니다. <BR>○ 양파 노균병은 5월 중순까지 기온이 낮고 비가 자주 올 때 발생이 많은 병으로 배수로를 잘 정비하고 병이 발생한 밭은 적용농약으로 방제하기 바랍니다. <BR></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20%;> </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20%;>◈ 시설재배 흰가루병, 노균병, 노지고추 역병(예방대책) <BR>○ 고추·토마토·가지·오이·호박·참외·메론의 흰가루병은 서늘하고 습도가 낮을때 발생이 많으며 비료를 많이 주어 무성하게 자라면 발생이 늘어나는 경향이니 질소비료의 과용을 피하고 병든 잎을 제거한 후 적용농약으로 방제하기 바랍니다. <BR>○ 오이·참외·메론 등 박과작물의 노균병은 시설내에서 5월중에 가장 많이 발생하니 시설내 습도가 높아지거나 세력이 약해지지 않도록 관리하고 발생초기부터 적극적으로 방제하기 바랍니다. <BR>○ 노지고추의 역병은 토양전염성 병으로 병이 발생한 후에는 약제방제 효과가 낮기 때문에 해마다 병 발생이 많은 상습지에서는 고추 정식용 이랑을 조성한 후 비닐을 멀칭하기 전이나 정식직전에 프리엔액제 700배액으로 관주하면 역병과 시들음병 발생이 억제됩니다. <BR></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20%;>◈ 온실가루이, 아메리카잎굴파리, 총채벌레, 진딧물, 응애 등 시설재배 해충 <BR>○ 시설내에서는 온도가 높게 유지되어 해충의 세대가 짧아지고 연중 발생하며, 해충 의 크기가 작아 농업인이 초기에는 발생을 몰라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습니다. <BR>○ 시설내 해충 예찰을 위하여 해충이 좋아하는 색깔의 황색끈끈이 트랩으로 초기밀도를 조사하고 적용농약으로 방제하기 바랍니다. <BR>○ 토마토의 온실가루이, 담배가루이, 아메리카잎굴파리, 고추·파프리카의 진딧물, 총채벌레, 점박이응애, 차먼지응애, 딸기의 점박이응애, 진딧물, 과채류나 잎들깨, 상추 등 엽채류에 천적을 이용할 경우에는 천적이용 해충방제 모델에 맞추어 투입하기 바랍니다. <BR></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20%;> </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20%;>◈ 사과·배 붉은별무늬병, 검은별무늬병, 점무늬낙엽병, 단감 둥근무늬낙엽병, 복숭아 잎오갈병 등 과수병해 <BR>○ 붉은별무늬병은 4~5월 비가오면 향나무에 있던 동포자가 부풀어 여기에 형성된 소생자가 배나무나 사과나무에 날아들어 병이 발생하게 되니, 비오기 전후에 적용농약으로 방제하기 바랍니다.</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20%;>검은별무늬병은 5~6월 비가 자주 올 때 질소비료기가 많고 가지가 무성한 과원에서 피해가 크므로 비배관리를 잘하고, 병이 발생된 이후에는 방제가 어려우므로 예방에 힘써주기 바랍니다. <BR>○ 사과 점무늬낙엽병은 향후 강우에 따라 병 발생이 좌우 될 것으로 예상되니 비온 후 예방효과가 있는 약제로 방제하기 바랍니다. <BR>○ 복숭아잎오갈병은 잎이 나오기 시작하면서부터 5월 중순까지가 주 감염기이므로 세균성구멍병 등 발생 병해충과 동시방제 하기바랍니다. <BR>○ 단감 둥근무늬낙엽병은 최근 조사결과 자낭포자 비산시기가 5월 하순에서 7월 하순까지였고, 최대 비산시기가 5월 하순으로 1차 방제시기를 6월 상순에서 5월 하순으로 앞당겨 방제하기 바랍니다. <BR></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20%;> </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20%;>◈ 과수 응애, 진딧물, 꼬마배나무이, 포도장님노린재 등 과수해충 <BR>○ 점박이응애는 중부지방의 경우 나무에서 발견되지는 않으나 과원 잡초에서는 발견되고 있으니 5월 상순경부터는 새로운 성충이 출현하여 나무위로 올라가 정착하므로 발생초기에 방제하기 바랍니다. <BR>○ 지난해 복숭아순나방에 의한 과실피해가 많았던 과원에서는 꽃이 진후에 방제하기 바랍니다. <BR>○ 진딧물류(사과 : 사과혹진딧물, 배 : 배나무면충)는 월동약제 및 개화전방제를 소홀이한 농가에서는 꽃이진 후 잘 방제하기 바랍니다. <BR>○ 꼬마배나무이는 꽃봉오리에 산란한 알이 부화를 시작하는 시기이므로 월동기 방제에 소홀한 농가는 예찰 후 꽃이 진후 발생초기에 방제하기 바랍니다. <BR>○ 포도장님노린재는 월동알이 부화하고 있는 시기이므로 전년도 피해가 심한 농가에서는 포도잎이 3~4엽 벌어질 때 적기 방제하기 바랍니다. <BR><BR>☞ 최근에 개발한 기술</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20%;>◈ 고추역병 발생 억제를 위한 정식전 관주처리 기술(‘03 원예연) <BR>○ 고추에서 피해가 큰 역병은 아주심은 직후인 5월 중·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BR>7월의 장마이후에 급격히 만연하는 토양전염성 병으로 병이 발생한 후에는 방제가 어려움 <BR>○ 해마다 역병 발생이 많은 상습지에서는 고추 정식용 이랑을 조성한후 비닐을 멀칭하기 전이나 정식직전에 프리엔액제 700배액으로 관주하면 역병과 시들음병 발생이 억제됩니다. <BR>- 고추 정식후 생육기 약제 처리방법과 비교시 발병후의 약제방제는 방제효율이 낮음 <BR>- 정식후 약제 관주처리는 작토층 전체로 퍼지지 않아 방제효과를 충분히 나타내지 못하여 여러번 처리해야 하므로 방제비용이 많이 소요됨 <BR></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20%;><!--StartFragment--> <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바탕체’;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0pt; #000000; 16pt;><연작토양내 약제 처리방법 개선에 의한 역병 발병억제 정도(’03 원예연구소)></SPAN> </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333333;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굴림’; 120%;><TABLE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height=104 cellSpacing=0 cellPadding=1 width=474 border=1 none collapse BORDER-COLLAPSE: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TBODY><TR><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98 height=35 rowSpan=2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solid 0.425pt #000000 solid; 1.134pt><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160%; ’바탕’;><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0pt; #000000; 16pt; ’바탕’;>처리약제</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68 height=35 rowSpan=2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solid 0.425pt #000000 solid; 1.134pt><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160%; ’바탕’;><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0pt; #000000; 16pt; ’바탕’;>처리시기</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55 height=35 rowSpan=2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solid 0.425pt #000000 solid; 1.134pt><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160%; ’바탕’;><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0pt; #000000; 16pt; ’바탕’;>처리량</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84 height=35 rowSpan=2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solid 0.425pt #000000 solid; 1.134pt><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바탕’;><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바탕’;>처리방법</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166 colSpan=2 height=17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solid 0.425pt #000000 solid; 1.134pt><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바탕’;><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바탕’;>발 병 율 (%)</SPAN><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바탕’;></SPAN></P></TD></TR><TR><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84 height=17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solid 0.425pt #000000 solid;><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바탕’;><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바탕’;>역병</SPAN><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바탕’;></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82 height=17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solid 0.425pt #000000 solid; 1.134pt><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바탕’;><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바탕’;>시들음병</SPAN><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바탕’;></SPAN></P></TD></TR><TR><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98 height=22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0.425pt #000000 solid; 1.134pt><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160%; ’바탕’;><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0pt; #000000; 16pt; ’바탕’;>다조메입제</SPAN><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0pt; #000000; 16pt; ’바탕’;></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68 height=22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0.425pt #000000 solid;><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160%; ’바탕’;><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0pt; #000000; 16pt; ’바탕’;>정식 2주전</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55 height=22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0.425pt #000000 solid;><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160%; ’바탕’;><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0pt; #000000; 16pt; ’바탕’;>30㎏/10a</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84 height=22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0.425pt #000000 solid;><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바탕’; 100%;><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0pt; #000000; ’바탕’;>토양혼화</SPAN><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0pt; #000000; ’바탕’;></SPAN> <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바탕’; 100%;><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0pt; #000000; ’바탕’;>(15~20㎝)</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84 height=22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0.425pt #000000 solid;><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바탕’;><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바탕’;>8.8(3)</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82 height=22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0.425pt #000000 solid; 1.134pt><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바탕’;><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바탕’;>6.3(2)</SPAN><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바탕’;></SPAN></P></TD></TR><TR><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98 height=23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0.425pt #000000 solid; 1.134pt 0.425pt;><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160%; ’바탕’;><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0pt; #000000; 16pt; ’바탕’;>프리엔(700배)</SPAN><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0pt; #000000; 16pt; ’바탕’;></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68 height=23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0.425pt #000000 solid; 0.425pt;><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160%; ’바탕’;><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0pt; #000000; 16pt; ’바탕’;>정식직전</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55 height=23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0.425pt #000000 solid; 0.425pt;><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160%; ’바탕’;><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0pt; #000000; 16pt; ’바탕’;>200㎖/주</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84 height=23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0.425pt #000000 solid; 0.425pt;><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바탕’;><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바탕’;>토양관주</SPAN><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바탕’;></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84 height=23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0.425pt #000000 solid; 0.425pt;><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바탕’;><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바탕’;>0.0(0)</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82 height=23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0.425pt #000000 solid; 1.134pt 0.425pt;><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바탕’;><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바탕’;>0.0(0)</SPAN></P></TD></TR><TR><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98 height=23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solid 0.425pt #000000 solid; 1.134pt 0.425pt;><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160%; ’바탕’;><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0pt; #000000; 16pt; ’바탕’;>관행(관수처리)</SPAN><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0pt; #000000; 16pt; ’바탕’;></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68 height=23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solid 0.425pt #000000 solid; 1.134pt 0.425pt;><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160%; ’바탕’;><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0pt; #000000; 16pt; ’바탕’;>〃</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55 height=23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solid 0.425pt #000000 solid; 1.134pt 0.425pt;><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160%; ’바탕’;><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0pt; #000000; 16pt; ’바탕’;>〃</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84 height=23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solid 0.425pt #000000 solid; 1.134pt 0.425pt;><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바탕’;><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바탕’;>〃</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84 height=23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solid 0.425pt #000000 solid; 1.134pt 0.425pt;><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바탕’;><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바탕’;>28.8(3)</SPAN><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바탕’;></SPAN></P></TD><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82 height=23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solid 0.425pt #000000 solid; 1.134pt 0.425pt;><P center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0pt; #000000; ’바탕’;><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바탕’;>11.3(2)</SPAN><SPAN center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3pt; 0pt; #000000; ’바탕’;></SPAN></P></TD></TR></TBODY></TABLE></P><P></SPAN></SPAN> </P><P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TEXT-INDENT: COLOR: 0pt MARGIN: 10pt; justify #000000; ’바탕’; -25.2pt; 25.2pt;>◈ 토마토 수경재배시 착색증진 기술 <BR>농촌진흥청에서는 소비자들의 토마토의 소비패턴이 고급화됨에 따라 수경재배 할 경우 착색증진과 라이코펜 함량, 당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생산기술을 개발하여 농가에 보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BR>새로운 재배기술을 적용하려는 농가는 양액을 순환식으로 재사용하거나 집수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수경재배방식에 저단밀식 재배용이나 마지막 적심을 한 토마토를 대상으로 전용배양액 농도 EC를 1.0dS/m, 급액공급량은 1일 1주에 1ℓ를 8회에 나누어 급액 한다. <BR>처리시기는 착과 후 25~30일이 지난 후 1번과 직경 6~6.5cm내외의 녹숙기 5일전에 처리를 하는데 처리방법은 천일염(Nacl의 농도 80%)을 양액 1톤당 5.8kg를 투입하여 배양액농도 EC 10~11dS/m 수준으로 수확시까지 공급한다. <BR>수확 후에 배지 세척관리는 수확 직후 지제부 5cm내외를 남기고 절단 후 7주일정도 수분공급을 중단하고 나서 뿌리를 뽑아내고 새로운 펄라이트로 채운 후 깨끗한 물을 계속 공급을 하여 흘러나오게 한 후 EC 0.5~0.7 dS/m될 때까지 씻어주면 완전히 제거된다. <BR>시험성적 결과를 보면 상품수량은 일반재배보다는 9%내외가 감소되지만 당도, 색도, 경도, 산도 등 상품성이 우수하여 22 %의 소득이 높아진다. </P><P TEXT-ALIGN: FONT-FAMILY: 130%; LINE-HEIGHT: TEXT-INDENT: COLOR: 0pt MARGIN: 10pt; justify #000000; ’바탕’; -25.2pt; 25.2pt;> </P><P><SPAN>재배시 주의 할 사항은 수경재배시설이 순환식시스템 하우스일 경우 소금물이 땅속이나 하천으로 흘러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SPAN><SPAN>또한</SPAN><SPAN> 여름철 고온기에 햇빛에 데친 과일 또는 열과(찢어진 과일)를 방지하려면 30% 정도 차광막을 설치하면 막을 수 있다 토마토는</SPAN><SPAN> 비타민과 미네랄 등의 영양소가 듬뿍 들어 있어 천국의 과일로 불려지며, 서양에서는 음식 재료로 많이 사용한다. 특히 노화예방에 좋은 라이코펜성분이 함유돼 있어 익혀서 먹으면 흡수가 잘 된다. 특히 토마토는 깨끗한 피부를 가꾸는 데 좋으며, 지성피부나 여드름 피부를 개선하는데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미국 타임지(誌)가 뽑은 ‘몸에 좋은 10가지 식품’ 중 하나로 라이코펜(lycopene)이 세포의 산화를 막아 심혈관 질환과 각종 암 발병을 억제한다고 하였다. </SPAN></P><P> </P><P align=right>- 2005.5.24 농촌진흥청 - </P><P> </P><P> </P><P> </P><P> </P><P><!--StartFragment--></P><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TEXT-INDENT: COLOR: MARGIN: 10pt; justify 0pt; #000000; ’한컴바탕’; 160%;><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justify 0pt; #000000; ’한컴바탕’; 16pt;><A name=#762c28a9></A></SPAN> </P><BR><BR><BR>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1139 | 3,086 | ||
1138 | 2,571 | ||
1137 | 2,379 | ||
1136 | 5,300 | ||
1135 | 2,146 | ||
1134 | 2,186 | ||
1133 | 2,190 | ||
1132 | 4,398 | ||
1131 | 3,000 | ||
1130 | 2,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