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2005.5.25(수)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05-25 조회수 2422
<P>1. 농산물 </P><P>가격지수 : 107.48 전일대비 -2.07<BR>동 향 : 농산물은 주중으로 접어든데다 경기부진으로 인한 매기부진이 계속되면서 약보합세 거래됨. 서양채류를 제외한 대부분 품목이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주중 요식업소 납품물량이 감소하는 상추류와 깻잎, 쌈추, 아욱, 배추 등 잎채소류의 하락폭이 컸음. 반면 계절적 수요가 활발한 열무, 시금치가 오름세 거래되었고 경기일원으로 출하지역이 이동한 대파가 상품성이 향상되면서 모처럼 오름세 거래됨. </P><P>&nbsp;</P><P>◈ 고구마 감자류 <BR>가격지수 : 110.34 전일대비 -5.76<BR>동 향 : </P><P>&nbsp;</P><P>◈ 잎채소류 <BR>가격지수 : 90.34 전일대비 -6.74<BR>동 향 : 배추는 금일 반입량은 847톤으로 전일 대비 20%증가하였슴. *저장배추(10kg그물망) 출하지역은 해남 48%, 무안 27%, 진도 14%, 기타 21%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3,65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해남 1,400~4,600원, 무안 1,380~3,850원, 진도 800~4,900원이었슴. *봄배추(5톤 트럭 기준) 출하지역은 의령 25%, 홍성 20%, 연기 15%, 기타 40%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147만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의령 50~140만원, 홍성 100~167만원, 연기 147~168만원이었슴.&nbsp; 전일 시세 상승에 따른 산지 작업량이 증가하였고, 터널배추가 전국으로 확대되면서 물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금일은 약보합세를 형성하였다. 터널배추는 상품성이 비교적 양호해 시세 주도한 반면, 끝물로 접어든 저온저장 물량은 장기 저장에 따른 상품성 하락으로 시세 상승에 발목을 잡고 있다.<BR><BR>- 양배추 : 금일 반입량은 219톤으로 전일대비 12% 감소함. 금일 총출하물량중 출하지역별 반입비율은 대구 달성군 42%, 완주 27%, 밀양 15%, 기타 30%였고, 출하지역별 가격은 8kg그물망 기준 달성 3,050~6,400원, 완주 2,800~6,000원, 밀양 2,950~6,700원이었슴. 전체 평균가격은 상품기준 6,250원이었슴. 물량은 전일대비 감소하였으나, 주변 야채 시세 하락으로 양배추 소비가 감소하면서 시세는 소폭 내림세 형성함. 물량이 감소하면서 당분간 시세는 강세로 유지될 전망임</P><P>&nbsp;</P><P>◈ 열매채소류 <BR>가격지수 : 87.04 전일대비 -0.10<BR>동 향 : 오이는 전체적으로 436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2%증가하였고, *백다다기 100개기준 출하지역은 천안 25%, 춘천 13%, 고흥 9%, 기타 52%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18,00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천안 3,500~23,000원, 춘천 2,000~18,000원, 고흥 2,000~11,000원이었슴 *취청 20kg상자 출하지역은 구례 32%, 순천 23%, 강진 15%, 기타 30%였고, 상품 기준 가격은 19,00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구례 3,000~13,500원, 순천 1,500~22,000원, 강진 1,000~21,000원이었슴.&nbsp; 백다다기는 물량이 약간 감소하였지만, 상품성이 약간 하락하면서 시세 보합세 형성. * 취청은 반입량이 전일대비 증가하면서 소폭 내림세였고, 상품 품위간 편차가 크게 나타남<BR><BR>- 호박 : 전체적으로 284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6%증가하였슴. *애호박 20개기준 출하지역은 청원 16%, 광주 11%, 광양 10%, 기타 62%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6,75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청원 1,000~8,000원, 광주 2,000~10,500원, 광양 4,000~10,000원이었슴. *츄키니 10kg상자 출하지역은 부산 20%, 하남 16%, 여주 13%, 기타 50%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7,25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부산 4,000~13,500원, 하남 1,500~22,000원, 여주 2,000~21,000원이었슴. 애호박은 물량이 전일보다 소폭 감소하였으나, 고품질 보다 일반 물량이 증가하면서 시세는 소폭 내림세. *쥬키니는 재고 부족과 물량이 크게 감소하면서 상승세 형성함.</P><P>&nbsp;</P><P>◈ 뿌리채소류 <BR>가격지수 : 102.57 전일대비 -5.80<BR>동 향 : 무는 금일 반입량은 581톤으로 전일 대비 10%감소하였슴. *저장무(18kgPE대) 출하지역은 남제주 56%, 북제주 20%, 부여 19%, 기타 5%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4,850원이고, 출하지역별로는 남제주 1,300~6,600원, 북제주 1,400~5,800원, 부여 2,200~5,100원이었슴. *봄무(5ton트럭) 출하지역은 부여 43%, 영암 17%, 나주 10%, 기타 30%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210만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부여 135~181만원, 영암 110~207만원, 나주 105~126만원이었슴. 봄무는 물량이 증가하였으나, 저장무는 전일대비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시세는 저장무 소폭 약보합세, 봄무는 강보합세를 형성함. 예년에 비해 반입량이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시세가 좀처럼 오름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장기적인 소비부진으로 산지 출하대기 물량이 제때 출하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제주산 저온저장 물량은 예년에 비해 더욱 늦게까지 출하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됨.</P><P>&nbsp;</P><P>◈ 양념 채소류 <BR>가격지수 : 113.04 전일대비 -0.79<BR>동 향 : </P><P>&nbsp;</P><P>◈ 서양 채소류 <BR>가격지수 : 106.22 전일대비 +0.46<BR>동 향 : </P><P>&nbsp;</P><P>◈ 버섯류 <BR>가격지수 : 77.43 전일대비 -3.64<BR>동 향 :&nbsp;버섯류 총 반입량은 164톤으로 전일대비 28% 증가한 모습을 보임. 충남과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반입이 이루어지고 있는 느타리버섯은 오늘 중상품을 중심으로 소폭의 오름세를 보이고 있으나 충남과 경기 지역 반입 물량의 상품성의 고르게 우수하여 특품은 내림세 형성. 양송이는 충남 보령시, 부여군, 논산시의 물량이 대부분으로 충남 지역 생산량이 대부분으며 금일 반입량이 21톤으로 증가하면서 약보합세에 거래. 생표고는 충남북 지역을 중심으로 반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금일 시세는 전일대비 약보합세에 거래됨. 지난 주말에 비해 주초 거래가가 높게 형성되었으나 물량 증가로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하였음. 최근 상승세를 보인 팽이는 전일 경락가 상승으로 인한 구매력 부담으로 금일 내림세를 보였으며&nbsp; 반입량은 39톤으로 전일대비 15%증가하였음.&nbsp; <BR></P><P>2. 수산물 </P><P>가격지수 : 108.83로 전일대비 -1.55<BR>동 향 : 수산물은 생선류 물량 증가와 조개류, 연체류 판매부진으로 재고가 누적되면서 하락세 거래. 생선류는 고등어, 갈치, 수입생태, 삼치가 반입량 증가로 시세 하락. 조개류는 굴, 바지락, 새꼬막이 거래가 부진하면서 재고가 많아 하락세 거래. 연체류는 미더덕, 오만둥이, 냉동오징어는 반입량 증가로 하락세였고 수입낙지, 쭈꾸미는 물량은 줄었으나 소비부진으로 약세 형성. </P><P>&nbsp;</P><P>◈ 생선류 <BR>가격지수 : 94.90로 전일대비 -0.94<BR>동 향 : 고등어는 정부비축분 냉동고등어가 12,000여 상자가 반입되어 물량이 대폭 증가하면서 거래부진으로 보합세 형성. 수입생태는 일본산 반입량 증가와 주중 판매가 부진하면서 하락세 거래. 갈치는 제주산 물량이 증가하면서 체장이 작아 거래부진으로 재고가 누적되면서 하락세 형성. 삼치는 체장이 작아지고 선도가 떨어지는 부산산 물량 증가로 시세 하락. 꽁치는 일본산 반입량 증가하면서 선도가 떨어져 하품 위주로 약세를 형성. 임연수어는 동해안산 반입량이 대폭 감소하면서 주중 재고마저 소진된 상태로 상승세 거래. 병어는 목포와 여수 등 전남 지역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약세를 보이는 가운데 충무산이 선도가 좋고 체장이 커 판매호조를 보이며 강보합세 거래. </P><P>&nbsp;</P><P>◈ 조개류 <BR>가격지수 : 105.67로&nbsp; 전일대비 -4.82<BR>전일 약보합세를 보였던 조개류는 재고누적으로 인하여 금일 반입량이 감소하였음에도 시세는 내림세를 보임. 충무산 굴은 반입량이 어제 수준과 비슷하였으나 선도가 떨어지고 주중 매수세 부진으로 전일대비 16.7% 하락함. 전일 강보합세를 형성하였던 바지락은 금일 반입된 물량 선도가 떨어지면서 약세장 형성. 큰 폭으로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삼천포, 마산산 깐바지락은 금일 입하량이 수요에 못미처 21.4% 상승세 보임. 목포, 고흥산 새고막은 시세 하락 영향으로 어제에 비하여 반입량은 하락하였으나 누적된 재고로 금일에도 약보합세로 장을 마침. </P><P>&nbsp;</P><P>◈ 연체류 <BR>가격지수 : 119.01로 전일대비 -3.64<BR>전일 약보합세 장을 형성했던 연체류는 반입량이 줄었으나 주중 매수세 둔화로 내림세 보임. 수입낙지는 입하량이 소폭 감소하였으나 상품 물량이 증가하여 강보합세에 거래됨. 물오징어는 동해안 수온저하로 어획이 부진하여 반입량은 미미하였으나, 삼척산이 체장이 작아 약보합세에 거래 되었음. 국내산 쭈구미는 강보합세, 중국산은 물량이 감소하였으나 선도저하로 약보합세를 보임. 전일 오름세를 보였던 우렁쉥이는 입하량 증가로 내림세, 미더덕은 누적된 재고와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 보임.</P><P>&nbsp;</P><P>&nbsp;</P><P>◆ 채소과일류<BR>가격지수 : 108.18 &nbsp;-12.39P<BR>동 &nbsp; 향 : 채소과일류는 1,053톤 반입되어 전일 1,093톤 대비 4% 출하량 감소함. 품목별로는 토마토 일반종의 출하량 다소 증가하였으나 수박 등 대부분 과일류가 주중반 시세하락에 대한 우려로 작업량을 줄이면서 물량 소폭 감소함. 도매시세는 출하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주중반에 접어들면서 특별한 소비촉진행사가 없으면서 머스크 메론을 제외한 전 품목 내림세에 거래되면서 지수 큰 폭으로 하락하였음. 수박은 현재 고령 우곡지역에서 출하를 주도하고 있으며, 다음주 경 함안 등 2기작 물량이 소량 출하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됨. 최근 밤과 낮의 일교차 심화와 흐린날씨로 수박 소비는 다소 주춤한 모습을 보이고 있음.<BR><BR><BR>◆ 나무과일류<BR>가격지수 : 121.80 &nbsp;-5.65P<BR>동 &nbsp; 향 : 나무과일류는 154톤 반입되어 전일 202톤 대비 24% 출하량 감소하였음. 품목별로는 사과 출하량이 크게 감소하였고 수입과일류의 반입량도 줄면서 전체물량 감소하였음. 도매시세는 출하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채소과일류 하락세의 영향을 받아 사과와 매실이 내림세에 거래되면서 전체지수 내림세에 거래되었음. 반면 하우스감귤과 한라봉은 강보합세에 거래되었음. <BR></P><P>&nbsp;</P><P align=right>- 2005. 5. 25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P><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1149

한국산 인삼제품 마케팅 강화해야

2,386
1148

축산업 등록제 ‘급물살’

2,187
1147

엽경채소 양배추 병충해방제(4월~9월)

2,958
1146

한우 송아지 암수 맞춤 생산 실용화 기술개발첨부파일 있음

2,498
1145

담배가루이 발생상황 및 방제대책

3,740
1144

농작물재해보험 손해평가요령 개정첨부파일 있음

2,348
1143

농협 안성목장, 국내 최초 유기농계란 인증첨부파일 있음

2,244
1142

2005.5.25(수)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2,422
1141

클릭 한번으로 찾아가는 농업·농촌

2,305
1140

고추장.된장.간장도 수출 `쑥쑥'

2,764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