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2005년 6월 축산관측월보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5-05-26 | 조회수 | 2067 |
<STRONG><FONT color=#0000ff size=2><한육우></FONT></STRONG><P><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 한육우 사육두수 증가 전망</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STRONG> </STRONG></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2005년 3월 한육우 사육두수는 165만 4천두로 전분기에 비해 1만 2천두 감소하였으나, 1년 전에 비해서는 13만 3천두 증가하였다.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한우산지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신규농가의 진입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사육농가수의 증가로 두당 사육두수는 8.6두로 전분기에 비해 0.2마리 감소하였다.</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도축두수가 증가하지만 송아지 생산이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되어 한육우 사육두수는 증가할 전망이다. 6월 사육두수는 175만 5천두, 9월 사육두수는 179만두로 전망된다. </FONT></SPAN></P><P><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B></B></FONT></SPAN> </P><P><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B>■ 한우 산지가격 강보합세</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쇠고기 소비가 증가하면서 큰 소 가격이 상승하였고, 신규 사육농가의 진입과 기존농가의 사육규모 확장으로 송아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송아지 가격이 상승하였다.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도축두수 증가로 쇠고기 생산이 증가하지만 쇠고기 소비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향후 한우 산지가격은 현 수준에서 강보합세로 전망된다. 6~8월 한우 가격은 한우 암소 420~430만원대, 한우 수소 360~370만원대, 수송아지 230~240만원대로 전망된다.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 color=blue><B></B></FONT></SPAN> </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 color=blue><B><젖소></B></FONT></SPAN></P><P><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B>■ 9월 사육두수 전년동기보다 2.1% 감소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인공수정 실적을 이용하여 계산한 1세미만 사육두수 잠재력 지수 변화를 보면 6월에 전년동월보다 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9월에는 0.8%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1세미만 사육두수가 감소할 것으로 보이고 2004년 송아지 생산이 감소함에 따라 2005년 1~2세 두수도 감소할 것으로 보여 6월, 9월 사육두수는 감소할 전망이다.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6월 사육두수는 전년동기보다 2.9% 감소한 49만 4천두, 9월 사육두수는 49만 3천두로 전년동기보다 2.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B></B></FONT></SPAN> </P><P><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B>■ 2/4분기, 3/4분기 원유 생산량 소폭 감소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2/4분기, 3/4분기 원유 생산량은 6월, 9월 착유우 두수가 전년동기보다 1%대에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어 전년 동기간보다 소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2/4분기 원유 생산량은 전년 동기간보다 0.5% 감소한 57만 8천톤으로 전망되고 3/4분기 생산량은 0.8% 감소한 54만 5천톤으로 전망된다.</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1~4월 10대 유업체의 시유 판매실적을 보면, 백색시유는 38만 6천톤으로 0.5% 증가한 반면, 가공시유는 11만 4천톤으로 9.1% 감소하여 전체 시유 판매 실적은 1.9% 감소하였다.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 color=blue><B></B></FONT></SPAN> </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 color=blue><B><돼지></B></FONT></SPAN></P><P><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B>■ 9월 사육두수 전년동월과 비슷할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2004년부터 산지가격이 높게 형성되고 있지만 종돈장의 후보돈 공급 부족으로 2004년 12월, 2005년 3월 모돈수가 감소하여 6월 사육두수는 전년동기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9월 사육두수는 여름 폭염 피해로 사육두수가 감소했던 전년동기보다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6월 사육두수는 전년동기보다 1.2% 감소한 891만두로 전망되고, 9월 사육두수는 전년동기보다 0.3% 증가한 907만두로 전망된다.</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B></B></FONT></SPAN> </P><P><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B>■ 6~8월 산지가격 27만 5천원~28만 5천원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작년 여름 모돈의 수태율 저하, 지난 겨울 모돈의 유사산, 돼지 질병(PMWS, PED 등) 피해로 8월까지 출하두수가 감소할 것으로 보여 6~8월 성돈 산지가격은 높게 형성될 전망이다.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6~8월 산지가격은 전년동기보다 8.8% 상승한 27만 5천원~28만 5천원으로 전망되고, 9~11월 산지가격은 6.7% 상승한 23만원~24만원으로 전망된다.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1~4월 돼지고기 수입량은 산지가격이 높게 형성됨에 따라 전년 동기간보다 약 2.5배 증가한 7만 7천톤이었다. 그 중 미국산이 1만 9천톤(수입비중 24.8%)으로 가장 많이 수입되었다.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 color=blue><B></B></FONT></SPAN> </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 color=blue><B><산란계></B></FONT></SPAN></P><P><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B>■ 9월 사육수수 전년보다 증가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6월 사육수수는 병아리 생산 잠재력이 높아 전년보다 8.0% 증가하고 9월 사육수수는 농가들의 입식의향이 높아 전년보다 7.3% 증가한 5,267만수로 전망된다.</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실용계 병아리 입식수수의 증가로 6월 산란용 마리수는 전년보다 증가하고 9월 산란용 마리수 또한 전년동기보다 1.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6월 산란용 마리수가 증가하여 6~8월 계란생산량은 전년 동기간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B></B></FONT></SPAN> </P><P><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B>■ 6~8월 계란 평균가격 900~1,100원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6~8월에는 산란계 생산성이 회복되고 계란 공급량이 증가하여 계란 산지가격은 3~5월보다 크게 하락한 900~1,100원으로 전망된다.</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6월 사육수수와 산란용 마리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노계도태가 지연될 경우 6~8월에는 계란 공급 과잉으로 계란 가격이 전망치의 최저(900원대)에서 형성될 가능성도 있다.</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지속적으로 노계도태가 지연될 경우 계란 가격의 약세가 장기화될 수도 있다.</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color=blue><B></B></FONT></SPAN> </P><P><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color=blue><B><육계></B></FONT></SPAN></P><P><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B>■ 6월 사육수수 전년동기보다 9.9% 증가</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5월 병아리 생산 잠재력이 전년동기보다 높아 6월 육계 사육수수는 전년보다 9.9%, 5월보다는 19.0% 증가한 7,534만수로 전망된다.</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6월 도계수수는 사육수수가 증가하여 전년동기보다 10.6%, 5월보다 17.9% 증가한 5,874만수로 전망된다.</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2004년 2~11월까지 입식된 종계 병아리수는 378만수로 전년 동기간보다 8.2% 증가하여 2005년 6월 병아리 생산량은 전년동기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B></B></FONT></SPAN> </P><P><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B>■ 6월 육계 평균가격 1,500~1,600원</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도계수수가 증가하고 육계 생산성 또한 회복되어 시장성 있는 공급물량이 증가할 것으로 보여 6월 육계 가격은 5월보다 하락한 1,500~1,600원에서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4월 소비자기대지수는 101.3으로 기준치(100)를 상회하여 소비자들의 기대심리가 호전된 것으로 보인다(통계청).</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6월 이후의 병아리 생산 잠재력이 전년보다 높게 나타나 닭고기 수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육계 가격은 전년보다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SPAN> </P><P align=right><SPAN style="FONT-SIZE: 10pt">- 2005.5. 26 농업관측정보센터 - </SPAN></P>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1159 | 2,449 | ||
1158 | 2,229 | ||
1157 | 2,310 | ||
1156 | 2,270 | ||
1155 | 2,382 | ||
1154 | 3,739 | ||
1153 | 2,067 | ||
1152 | 2,378 | ||
1151 | 2,623 | ||
1150 | 2,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