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부추 잿빛곰팡이병 발생과 진단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5-05-26 | 조회수 | 3740 |
<TABLE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100%" border=0><TBODY><TR><TD colSpan=5>노지 및 비닐하우스재배를 하는 부추는 기후조건이 알맞은 시기에는 20일정도 생장한 후에 수확을 하며 연간 8~10회 정도 수확하여 10a당 5~7 M/T을 생산하는 단경기 소엽채류이다. 부추는 비교적 저온조건인 18~20℃에서 생육이 왕성하며, 산성토양에서는 생육이 열악하고, 부추잎이 고사하게 되므로, pH 6.5전후가 알맞다. 또한 배수가 잘되고 유기물이 풍부한 토양에서 생육이 왕성하다. 부추잿빛곰팡이병은 최근 문제가 되는 병해로써, 부추재배 전기간동안 발생되어 재배농민에게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는데, 이는 부추를 수확하여 출하하기전 병반이 있는 잎을 제거하여 일일 출하를 하기 때문에 노동력이 가중되고, 상품성이 떨어지고, 수확량이 떨어져 농가에 적지 않은 타격을 주고 있는 병해이며, 저온다습할 때에 발생이 많고, 이 병해의 병징은 초기에 부추잎 중간부위에 회백색의 타원형 병반이 찍히면서 부추의 생육이 진행함에 따라서 병반도 소형, 중형, 대형으로 커지며 병반이 많이 부추잎에 산재하면 수침상이 되어 고사를 하게 되는데, 이 병해가 수확하는 단계에서 발병이 심한 것은 이병된 부추잎을 제거하여 재배포장 주변에 방치함으로써 안개가 많이 끼고, 강우가 지속되어 다습조건이 되고, 온도가 18~23℃가 지속되면 포자발아 및 균생장을 조장하기 때문에 새로운 부추잎에 쉽게 전염된다.<BR> 본 연구는 부추 잿빛곰팡이병 발생과 진단에 대해 1992년부터 1994년까지 3년간에 걸쳐 연구한 결과를 살펴보고자 한다.</TD></TR><TR><TD> </TD><TD> </TD><TD> </TD><TD> </TD><TD> </TD><TD> </TD></TR><TR><TD> </TD><TD class=head colSpan=5>1. 부추잿빛곰팡이병 발생</TD></TR><TR><TD> </TD><TD colSpan=5> 1992년부터 1994년까지 3년간 충북 옥천지역에서 노지부추 주재배시기에 발생되는 부추잿빛곰팡이병에 대한 연도별, 시기별 부추잿빛곰팡이병 발생조사 결과 그림 1 같이 평균온도가 낮고, 강우량이 많았던 1993년에는 5월부터 9월까지 83% 이상의 높은 내병율을 보였고, 평균기온이 높고, 강우량이 적었던 1994년도에는 내병율이 적었으며, 부추의 생육도 매우 저조하였다. <BR> 비닐하우스재배에서 부추가 월동을 한 후에 5℃ 이상이 되면 생육을 시작하는데 하우스내의 기온상승에 의해 2월 하순부터 부추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하우스비닐를 제거하는 6월까지 발생을 보였으며, 4월에 평균 병반면적율이 0.29%로 가장 높았고,1994년도 조사시 2월 하순부터 발생되어 6월까지 발생되었는데, 3월에 평균 병반면적율이 2.43%로 가장 높았다.<BR>시설하우스내에서의 발생은 주로 3~4월에 많아 피해가 컸으며, 이 시기에는 환기작업을 철저히 하고, 발병초에 약제를 살포는 것이 효과적으로 생각되어진다.<BR> 평균기온은 1992에 20.7℃, 1993년도는 19.1℃ 였으나, 1994년도 21.5℃로 전년평균보다 2.4℃가 높았다. 년평균 강우량도 1991, 1992년도 124.1㎜, 1992, 1993년도 243.5㎜, 1994년도 80.4㎜로 이상저온이었던 1993년도에 월등히 강우량이 많았고, 이상고온이었던 1994년도에는 강우량이 극히 적었다. 또한 년평균 강우일수도 상당한 차이를 보여, 강우량이 많았던 1993년도 년평균 13.0일로 1994년도 보다 6.4일이 많았다. 년평균 일조시간도 강우량이 많았던 1993년도에는 57.8시간이었으나, 강우량이 적었던 1994년도에는 79.2시간으로, 21.4시간이 많았다.</TD></TR><TR><TD> </TD><TD> </TD><TD> </TD><TD> </TD><TD> </TD><TD> </TD></TR><TR><TD> </TD><TD colSpan=5><DIV align=center> </DIV></TD></TR><TR><TD> </TD><TD colSpan=5><DIV align=center><STRONG>그림 1. 노지부추에서 년도별.시기별 부추잿빛곰팡이병 발생<BR></STRONG>1992(◎), 1993(●), 1994(△) </DIV></TD></TR><TR><TD> </TD><TD> </TD><TD> </TD><TD> </TD><TD> </TD><TD> </TD></TR><TR><TD> </TD><TD colSpan=5><STRONG>표 1. 비닐하우스재배시 연도별. 시기별 부추잿빛곰팡이병 발생</STRONG>(충북)</TD></TR><TR><TD> </TD><TD colSpan=5><TABLE class=IDa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100%" border=0><TBODY><TR><TD class=IDa align=middle rowSpan=2>년도</TD><TD class=IDa align=middle colSpan=5>병반면적율(%)</TD></TR><TR><TD class=IDa align=middle>2</TD><TD class=IDa align=middle>3</TD><TD class=IDa align=middle>4</TD><TD class=IDa align=middle>5</TD><TD class=IDa align=middle>6월</TD></TR><TR><TD class=IDa align=middle>1992<BR>1994 </TD><TD class=IDa align=middle>-<BR>0.77 </TD><TD class=IDa align=middle>-<BR>2.43 </TD><TD class=IDa align=middle>0.29<BR>0.16 </TD><TD class=IDa align=middle>0.08<BR>0.06 </TD><TD class=IDa align=middle>0.03<BR>0.03 </TD></TR></TBODY></TABLE></TD></TR><TR><TD> </TD><TD> </TD><TD> </TD><TD> </TD><TD> </TD><TD> </TD></TR><TR><TD> </TD><TD colSpan=5><STRONG>표 2. 연도별. 시기별 부추잿빛곰팡이병 발생과 기상과의 관계 </STRONG></TD></TR><TR><TD> </TD><TD colSpan=5><TABLE class=IDa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100%" border=0><TBODY><TR><TD class=IDa align=middle>기상요인</TD><TD class=IDa align=middle>1992</TD><TD class=IDa align=middle>1993</TD><TD class=IDa align=middle>1994</TD><TD class=IDa align=middle>상관식</TD></TR><TR><TD class=IDa align=middle><DIV align=left> 강우량(mm)<BR> 강우일수(일)<BR> 평균기온(℃)<BR> 일조시간(시간)<BR> 병반면적율(%)</DIV></TD><TD class=IDa align=middle><DIV align=right>124.1 <BR>6.4 <BR>20.7 <BR>66.8 <BR>0.15 </DIV></TD><TD class=IDa align=middle><DIV align=right>243.5 <BR>13.0 <BR>19.1 <BR>57.8 <BR>1.18 </DIV></TD><TD class=IDa align=middle><DIV align=right>80.4 <BR>6.6 <BR>21.5 <BR>79.2 <BR>0.09 </DIV></TD><TD class=IDa align=middle><DIV align=left> Y= 0.007x-0.586(r=0.977*<BR> Y= 0.163x-0.937(r=0.997**)<BR> Y=-0.481x+10.307(r=-0.96*)<BR> Y=-0.048x+3.743(r=-0.844) <BR><BR></DIV></TD></TR></TBODY></TABLE></TD></TR><TR><TD> </TD><TD> </TD><TD> </TD><TD> </TD><TD> </TD><TD> </TD></TR><TR><TD> </TD><TD colSpan=5> 강우량과 강우일수는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고, 평균기온은 부의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일조시간과의 유의차는 없었다. 따라서 부추잿빛곰팡이병 발생이 기상요인인 강우일수>강우량>그리고 평균기온이 크게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D></TR><TR><TD> </TD><TD> </TD><TD> </TD><TD> </TD><TD> </TD><TD> </TD></TR><TR><TD> </TD><TD colSpan=5><DIV align=center> </DIV></TD></TR><TR><TD> </TD><TD colSpan=5><DIV align=center><STRONG>그림 2. 무방제구에서 부추 수확후 부추잿빛곰팡이병 병반면적율 변화 </STRONG></DIV></TD></TR><TR><TD> </TD><TD> </TD><TD> </TD><TD> </TD><TD> </TD><TD> </TD></TR><TR><TD> </TD><TD colSpan=5> 부추를 수확한후 5~6일부터 병반이 관찰되었으며, 그후 부추생육이 진행하면서 병반수도 증가하였고, 병반의 크기도 변화하였다. 부추를 수확하려면 18~20일정도 소요되는데, 부추생육이 진행하면서 부추잿빛곰팡이병의 병반면적율도 비례해서 증가하였다. 수확 16일부터 급격히 병반면적율이 증가하여 수확직전인 21일째에는 편균병반면적율이 약 2.8%까지 올라가 부추 수확시 상품성이 매우 떨어져 재배농민들에게 큰 타격을 주었다.</TD></TR><TR><TD> </TD><TD> </TD><TD> </TD><TD> </TD><TD> </TD><TD> </TD></TR><TR><TD> </TD><TD class=head colSpan=5>2. 진단</TD></TR><TR><TD> </TD><TD colSpan=5> 부추잿빛곰팡이병의 병징은 부추잎 중간부위에 회백색의 반점이 원형 내지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면서, 산재하고, 점차 커지며 부추 수확단계에 가면 수침상이 되어 부추잎이 썩게된다.</TD></TR><TR><TD> </TD><TD> </TD><TD> </TD><TD> </TD><TD> </TD><TD> </TD></TR><TR><TD> </TD><TD colSpan=5><TABLE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100%" border=0><TBODY><TR><TD><DIV align=center> </DIV></TD><TD><DIV align=center> </DIV></TD></TR></TBODY></TABLE></TD></TR><TR><TD> </TD><TD colSpan=5><TABLE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100%" border=0><TBODY><TR><TD width="50%"><DIV align=center><STRONG>그림 3. 노지에서 부추잿빛곰팡이병에<BR>이병된 병징 모습</STRONG></DIV></TD><TD width="50%"><DIV align=center><STRONG>그림 4. 부추잿빛곰팡이병에 이병된<BR>병반면적율별 병반모습</STRONG></DIV></TD></TR></TBODY></TABLE></TD></TR><TR><TD> </TD><TD> </TD><TD> </TD><TD> </TD><TD> </TD><TD> </TD></TR><TR><TD> </TD><TD colSpan=5> 부추잿빛곰팡이병 병반은 소형인 경우 0.5~2.0×0.2~0.7㎜이며, 중형은 2.1~4.5㎜ ×0.8~3.0㎜이고, 대형은 4.6~12.0×3.1~5.0㎜이었다. 부추잿빛곰팡이병에 이병된 부추잎 중간부위에 회백색 반점에서 분리한 병원균은 대부분이 B.squamosa 이었으며, 부추잎 선단에 회백색곰팡이가 끼인 병징에서는 주로 B.cinerea 균이 검출되었다. 부추잎 중간부위 회백색 반점에서 분리된 병원균의 형태적 특징은 그림 5와 같고, Walker(1925)의 분류방식에 따라서 관찰 및 측정한 결과는 표 3과같다.</TD></TR><TR><TD> </TD><TD> </TD><TD> </TD><TD> </TD><TD> </TD><TD> </TD></TR><TR><TD> </TD><TD colSpan=5><STRONG>표 3. 부추잿빛곰팡이병균인 Botrytis squamosa의 형태적 특징</STRONG></TD></TR><TR><TD> </TD><TD colSpan=5><TABLE class=IDa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100%" border=0><TBODY><TR><TD class=IDa align=middle><DIV align=center>구분</DIV></TD><TD class=IDa align=middle>분리특성</TD><TD class=IDa align=middle>Walker(1925)</TD></TR><TR><TD class=IDa align=middle><DIV align=center>균 사 색 깔</DIV></TD><TD class=IDa align=middle><DIV align=left> 무색~담갈색</DIV></TD><TD class=IDa align=middle><DIV align=left> 무색~담갈색</DIV></TD></TR><TR><TD class=IDa align=middle><DIV align=center>포 자 모 양<BR> 길이(um)<BR> 폭(um)<BR> 색깔</DIV></TD><TD class=IDa align=middle><DIV align=left> 란형~타원형<BR> 20.2±2.64♩(16.0~24.0) <BR> 14.1±1.79(12.0~17.0) <BR> 무색</DIV></TD><TD class=IDa align=middle><DIV align=left> 타원형<BR> 10.0~26.0<BR> 10.0~18.0<BR> 무색 </DIV></TD></TR><TR><TD class=IDa align=middle>분생자경 길이(um)<BR> 직경(um)<BR> 격막(개)</TD><TD class=IDa align=middle><DIV align=left> 951.0±322.7(490~1.450)<BR> 16.4±3.20(13.0~23.0) <BR> 1~2</DIV></TD><TD class=IDa align=middle><DIV align=left> -<BR> -<BR> 1.2 </DIV></TD></TR><TR><TD class=IDa align=middle>균 핵 모 양<BR> 직경(mm)<BR> 색깔<BR> 건조무게(mg)</TD><TD class=IDa align=middle><DIV align=left> 편평한공모양 <BR> 1.34±0.4(0.8~2.2) <BR> 흑색<BR> 0.14±0.05(0.1~0.2mg)</DIV></TD><TD class=IDa align=middle><DIV align=left> 편평한공모양혹은란형<BR> 1.0~2.0<BR> 흑색<BR> - </DIV></TD></TR></TBODY></TABLE></TD></TR><TR><TD> </TD><TD> </TD><TD> </TD><TD> </TD><TD> </TD><TD> </TD></TR><TR><TD> </TD><TD colSpan=5> 분리한 Botrytis squamosa 균을 기주식물인 부추, 양파, 파에 포자현탁액을 만들어 분무 접종한 결과 모두 병원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병징은 20일 이후부터 작은 병반이 부추잎에 보이기 시작하여 점차로 회백색의 병반이 커지면서 그 숫자도 증가되어, 그 후 잎이 수침상이 되면서 고사되었다. 병원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병반이 확실한 부추잎을 채취하여 병원균을 분리한 결과 Botrytis squamosa 균을 재분리할 수가 있었다.<BR> 노지부추에서 잿빛곰팡이병 발생은 재배전기간인 4월부터 9월까지 발생되며, 하우스재배시는 2월부터 6월까지 저온 다습한 조건에서 발생된다. 발병조건은 기상요인에 의해 크게 좌우되는데 강우량, 강우일수, 저온지속시 그리고 일조시간과 고도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부추를 수확한지 5~6일경부터 부추잎에 병반이 발병되며 방제를 하지 않을시 수확전까지 급격히 병반이 증가한다.</TD></TR><TR><TD> </TD><TD> </TD><TD> </TD><TD> </TD><TD> </TD><TD> </TD></TR><TR><TD> </TD><TD colSpan=5><DIV align=center> </DIV></TD></TR><TR><TD> </TD><TD colSpan=5><DIV align=center><STRONG>그림 5. 부추잿빛곰팡이병 병원균의 분생포자. <BR>분생자경의 모습</STRONG></DIV></TD></TR><TR><TD> </TD><TD> </TD><TD> </TD><TD> </TD><TD> </TD><TD> </TD></TR><TR><TD> </TD><TD colSpan=5><DIV align=center> </DIV></TD></TR><TR><TD> </TD><TD colSpan=5><DIV align=center><STRONG>그림 6. 부추잿빛곰팡이병 병원균의 균핵의 모습</STRONG></DIV></TD></TR><TR><TD> </TD><TD> </TD><TD> </TD><TD> </TD><TD> </TD><TD> </TD></TR><TR><TD> </TD><TD colSpan=5> 부추잎에 발병이 되며 부추잿빛곰팡이병의 병징은 회백색의 소형내지 대형의 병반이며, 그 모양은 원형내지는 장방형으로 부추잎 중간부위에 이병 되며, 병반의 크기는 소형, 중형, 대형으로 부추 잿빛곰팡이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Botrytis squamosa이다. 이 병원균은 부추, 파, 양파에서 병원성을 나타내었다.</TD></TR></TBODY></TABLE><P> </P><P align=right>- 2005. 5. 26 농촌진흥청 - </P>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1159 | 2,450 | ||
1158 | 2,229 | ||
1157 | 2,310 | ||
1156 | 2,271 | ||
1155 | 2,382 | ||
1154 | 3,740 | ||
1153 | 2,067 | ||
1152 | 2,378 | ||
1151 | 2,623 | ||
1150 | 2,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