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2005.5.30(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05-30 조회수 2333
<P>1. 농산물 <BR><BR>가격지수 : 102.29 전일대비 +1.51 <BR>동 향 : 농산물은 주초가 시작되면서 대부분 품목의 출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주말기간 재고물량이 소진되면서 요식업소를 중심으로 잎채소류와 양념채소류 등의 매수세가 강하게 형성되어 지수 소폭 오름세에 거래됨. 반면 오이 등 열매채소류와 버섯류는 특별한 소비촉진 요인이 없은 관계로 물량 증가와 함께 내림세로 주초장을 시작함. 브로코리는 기온상승과 함께 물량 증가로 내림세 주 출하지역은 충청권임. <BR><BR>◈ 고구마 감자류 <BR>가격지수 : 98.25 전일대비 -1.98 <BR>동 향 : 감자는 주말 619톤으로 많은 물량이 반입되었으며 금일 467톤으로 지난주이후 가장 적은 물량이 반입되었으나 재고누적으로 소폭 내림세 형성함. 수미종은 상품기준 4%하락하였으며, 대지종은 상품기준 3%하락하였음. 지역별 최고경락가는 수미종이 당진 35,000원, 서산 33,000원, 고령 30,500원이고 대지종은 26,000원임.<BR><BR>◈ 잎채소류 <BR>가격지수 : 91.75 전일대비 +5.48 <BR>동 향 : <BR>- 상추 :&nbsp; 금일 반입량은 110톤으로 전일 대비 7% 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 최근 저단가로 인해 주말 작업이 감소하면서 시장반입도 감소하였음.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시세는 소폭 오름세 거래되었으나 전주말에 미리 물량을 확보하여 주문량 증가가 평시에 비해 적어 시세상승폭은 제한적이었음. 상추는 전품종이 작황호조로 물량이 풍부하여 전반적으로 저단가를 유지하고 있으며, 현재의 물량상황을 감안할때 당분간 저단가로 지속될 가능성이 많아보임.</P><P>- 시금치 : 금일 반입량은 100톤으로 전일대비 14%가량 증가하여 반입되었음. 반입량이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주초 수요량 증가와 시금치 수요와 대체성이 강한 근대의 반입량이 급감하면서 큰폭으로 상승세 거래되어 시금치로 매기가 이동하면서 시금치도 반입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큰폭의 오름세를 보였음. 주로 반입되는 품종은 킹시금치가 주로 반입되고 있으며, 해초는 기온이 상승하면서 반입량이 점차 감소하고 있음</P><P>- 깻잎 : 반입량은 62톤으로 전일대비 25%가량 증가하여 반입되었음. 반입량은 증가하였으나 반입량과 상관없이 최근의 시세를 유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경남 밀양의 반입량은 감소하고 있고, 충남 금산의 반입량은 증가하고 있음. 깻잎 시세가 좋은 시세를 유지하면서 주산지인 밀양의 끝물출하가 계속 이어지고 있고 햇물출하가 지연되고 있음<BR><BR><BR>◈ 열매채소류 <BR>가격지수 : 69.06 전일대비 -2.25 <BR>동 향 : <BR><BR>◈ 뿌리채소류 <BR>가격지수 : 95.77 전일대비 +4.52 <BR>동 향 : <BR><BR>◈ 양념 채소류 <BR>가격지수 : 109.34 전일대비 +2.66 <BR>동 향 : 양파는 금일 724톤 반입되었으며 출하비율은 무안 80%, 함평6%, 해남 6%, 정읍 2%임. 양파는 중,만생 양파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물량증가량이 잠시 주춤하면서 시세는 다소 오름세를 형성함. 대파는 172톤으로 주초 물량으로는 적은 물량이 반입되었으며 상품기준 16% 오름세 형성함. 지역별 경락가는 고양 860-420원, 남양주 900-520원, 구리 870-500원, 포천 900-700원, 전주 810-670원, 양평 870-530원임. 풋고추는 공주, 창녕, 밀양지역에서 출하되고 있으며 금일 반입량은 70톤이며 주말 오름세에서 상품기준 9%하락세에 거래되었으며 꽈리고추는&nbsp; 당진 40%, 밀양 38%반입되었으며 금일반입량은 51톤으로 물량 급증하였고 시세는 상품기준 12%하락함. 청양고추는 출하지역별 반입비율이 밀양 76%, 창녕 8%, 예천 8%이며 지난주 물량이 증가하면서 내림세를 보였으나 금일은 물량이 크게 증가하였음에도 주초 수요 증가로 강보합세 거래됨. <BR><BR>◈ 서양 채소류 <BR>가격지수 : 116.27 전일대비 -1.45 <BR>동 향 : 피망은 40톤이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9%증가하여 반입되었으나 시세는 주초 수요증가로 인해 큰폭의 오름세를 보였음. 양상추는 56톤이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78%증가하였으나, 주말 반입량이 감소하였다가 주초 물량이 증가한것으로 평상시의 물량공급을 유지하였으나 물량증가로 인해 시세는 큰폭의 하락세를 보였음. 서양채소류는 대부분 물량 증가로 인해 보합내지 하락세를 보였으며, 케일은 물량 감소로 인해 상승세를 보였음.<BR><BR>◈ 버섯류 <BR>가격지수 : 72.64 전일대비 -4.08 <BR>동 향 : 버섯류는 주초를 맞아 이틀물량이 반입되면서 매기 부진으로 지수 하락세 형성. 느타리는 충청과 경기, 강원 지역의 중심으로 반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초 반입량이 45톤으로 증가하면서 소폭의 하락세 형성. 특품의 경우, 우수 상품의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강보합세 형성. 2kg 상품이 7,750원에 거래되어 지난주말 대비 500원 내림세 보임. 양송이는 주초 식자재 업체의 주문발주로 매기가 활발하였으나 반입량 증가세가 두드러져 약세 장세 형성. 지난주말대비 등급별로 1,000원 정도 하락한 시세 형성. 새송이는 반입량과 시세 모두 전장 대비 보합세에 거래. 생표고는 주말 반입량 급감으로 시세 상승을 기대하였으나 매기가 저조해 약보합세 형성. 팽이는 산지 물동량 조절로 반입량이 36톤으로 감소하면서 오름세 형성. 반입량 대비 매기 강세 보임.<BR><BR>2. 수산물 </P><P>가격지수 : 112.39로 전일대비 +1.41<BR>동 향 : 수산물은 주초를 맞아 조개류, 연체류 판매호조로 상승세 거래. 생선류는 고등어, 수입생태, 삼치, 임연수어가 물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거래가 부진하여 시세 하락. 조개류는 바지락, 모시조개, 굴, 홍합이 판매호조로 금일 물량이 소진되면서 오름세 주도. 연체류는 수입낙지, 쭈꾸미, 미더덕, 오만둥이 반입량 감소로 강보합세 형성. 물오징어는 동해안산(주문진, 속초)이 체장이 작고 선도가 떨어지는 하품 반입량 증가로 하락세 거래.</P><P>◈ 생선류 <BR>가격지수 : 97.86로 전일대비 -2.31<BR>동 향 : 고등어는 부산산 생물고등어가 소고등어 위주로 7,000여상자가 반입되면서 판매가 부진하여 하락세를 보였고 냉동고등어도 약 20톤 가량 출하되었으나 생물고등어 물량 증가 여파로 판매가 부진하여 약세로 거래. 수입생태는 일본산 반입량 대폭 증가와 기온상승에 따른 소비 수요 감소로 판매가 부진하면서 시세 하락. 갈치는 제주산이 체장이 큰 대형품 위주로 판매가 활발하면서 오름세를 보였고 일본산과 중국산은 물량이 큰 폭으로 줄면서 재고가 없어 시세 상승. 꽁치는 동해안산이 반입량이 줄었으나 선도가 떨어져 거래가 부진하여 약세를 형성하였고 삼치는 충무산과 부산산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체장이 작아 하락세 거래. 임연수어는 동해안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선도가 떨어져 매기가 한산하면서 약세를 보였고 병어는 목포산이 중소형품 위주로 물량이 증가하면서 전주 고단가 형성에 따른 재고 누적 영향으로 약보합세 형성.</P><P>◈ 조개류 <BR>가격지수 : 116.11로&nbsp; 전일대비 +8.29<BR>조개류는 주말 매기 활발로 재고가 소진되고 토요일 대비 입하량이 감소하고 식자재 업체 매수세가 호조를 보이며 큰폭의 오름세를 보였음. 충무산 굴은 토요일 대비 반입량이 소폭 늘었났으나 매수세 호조로 시세는 강보합세 형성. 지난주 꾸준한 내림세를 보였던 국내산 바지락은 금일 북한산 수입량이 줄어들고, 선도가 뛰어나 시세는 토요대비 42.9% 상승을 보임. 새꼬막은 주말 산지 기상여건 호조로 인한 채취량이 증가하면서 금일 반입량은 토요일대비 4톤가량 늘어나 시세는 내림세를 보였음. 모시조개는 씨알이 굵은 상품위주로 반입되면서 소폭 오름세에 거래됨. </P><P>◈ 연체류 <BR>가격지수 : 126.65로 전일대비 +5.69<BR>지난주 재고가 주말 매수세 호조로 소진되면서 주초 연체류 재고 확보를 위한 매수세가 강세를 보이며 시세는 오름세를 보였음. 중국산 수입낙지는 저장상태가 양호하고 선도가 뛰어나 반입량이 증가하였음에도 시세는 강보합세를 보임. 물오징어는 주말 동해안 기상여건이 나아져 반입량은 토요일 대비 10톤가량 증가하였으나, 냉오징어 반입량이 소폭줄어들면서 시세는 중?상품은 보합세를 하품은 체장이 작아 내림세를 보였음. 국내산 쭈꾸미는 반입량이 워낙 미미한데다 금일 반입분은 선도가 뛰어나 높은 가격을 형성하였음. 수입산 쭈꾸미는 반입량이 토요일 대비 60%가량 감소하여 큰폭의 오름세를 보였음. 미더덕은 금일 소량 반입되었으나 주말 미더덕 매수세가 시장기대에 못미쳐 재고가 누적되어 시세는 보합세를 유지하였음.</P><P>&nbsp;</P><P>◈ 채소과일류<BR><BR>가격지수 : 118.75p 주말대비 +8.80p<BR>동 &nbsp; &nbsp;향 : 금일 1,164톤이 반입되어 지난 주말 952톤에 비해 22% 증가. 기온이 초여름의 더운 날씨를 보여 제철과일인 수박, 참외 등이 주말 판매 호조로 주초 매기가 활발한 가운데 금일 출하물량도 수박이 38%, 참외는 6% 가량 증가하였음. 특히 그동안 수요가 많았던 오렌지 네블종이 끝물에 접어들면서 무름과 발생이 증가하고 제철과일인 수박, 참외로 소비이동이 가속화되면서 강세를 형성하였음. 토마토는 강원지역 출하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기온상승으로 상품성 하락에 따른 구매 부담이 증가하고 출하량 증가로 인해 약보합세를 형성하였음.<BR><BR>◈ 나무과일류<BR><BR>가격지수 : 119.05p 주말대비 -4.22p<BR>동 &nbsp; &nbsp;향 : 금일 반입량은 217톤으로 지난 주말 188톤에 비해 16% 증가. 전남 순천, 광양, 경남 진주 등지에서 매실의 출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나 올해 결실률이 지난해에 비해 크게 늘어나 매실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며, 이에 따라 시세도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었음. 하우스 복숭아와 포도 등의 출하가 소폭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전체물량에 비해 비중이 미미하고 본격적인 출하는 6월부터 시작될 전망임. 금일 사과는 지난주 시세 상승으로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조정세를 보였던 주말에 이어 약세를 형성하였으나, 배는 주초 수요 증가로 약세를 보였던 주말 시세보다 소폭 상승하였음. <BR><BR></P><P align=right>&nbsp;</P><P align=right>- 2005. 5. 30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P><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1169

긴장감 어린 북녘 들판..'농업전선'에서 '모내기전투'

2,191
1168

하우스감귤 계통출하 크게 늘듯

2,305
1167

2005.5.30(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2,333
1166

주간예보(05월 23일 ~ 05월 27일)

2,126
1165

정부혁신세계박람회(고급 한우육을 1000원에...친환경 쌀을 500원에 드립니다!)첨부파일 있음

2,115
1164

남극 미생물 유래의 내동성 유전자 개발첨부파일 있음

2,369
1163

한국이 동아시아 농작물 유전자원의 원산지 국가로 재조명 되다첨부파일 있음

2,211
1162

국산 딸기품종 육성 본격화...전망과 과제

2,426
1161

큰돼지값은 소폭상승...수익악화 우려

2,427
1160

2004년도 기타 가축통계 자료첨부파일 있음

2,358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