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중국농업정보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5-06-01 | 조회수 | 2545 |
<FONT face=한컴돋움 size=3><STRONG>[만재현(万載縣), 유기농업으로 외국시장 진출]</STRONG></FONT> <P justify TEXT-ALIGN: ?한양신명조?; FONT-FAMILY: 180%; LINE-HEIGHT: 0pt; TEXT-INDENT: #000000; COLOR: MARGIN: 13pt;><SPAN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0pt; #000000; COLOR: 13pt; LETTER-SPACING: 한양신명조,한컴돋움; 23.4pt;> 강서성(江西省)의 강서금원 농업개발유한공사가 생산한「냉동건조파」가 구미시장에 수출되고 있다. 북경과 대만기업이 공동투자한 금원공사는 2004년 중국최대의 냉동?건조유기식품가공생산라인을 건설했다. 완성 후 1년간의 가공능력은 3만톤 전후에 달할 전망이다. 파는 선별, 세척, 자르기, 조미 등의 가공처리를 거쳐 냉동작업 후 최종적으로 유럽, 미국, 호주, 일본 등 10개국 이상의 국가에 수출되고 있다. 유기생강, 강낭콩 등의 15종류 농산물은 EU, 독일, 일본 등의 국가 및 지역의 유기식품인증센터 인증을 취득했다.</SPAN> </P><P justify TEXT-ALIGN: ?한양신명조?; FONT-FAMILY: 180%; LINE-HEIGHT: 0pt; TEXT-INDENT: #000000; COLOR: MARGIN: 13pt;><SPAN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0pt; #000000; COLOR: 13pt; LETTER-SPACING: 한양신명조,한컴돋움; 23.4pt;><BR></SPAN></P><P justify TEXT-ALIGN: ?한양신명조?; FONT-FAMILY: 180%; LINE-HEIGHT: 0pt; TEXT-INDENT: #000000; COLOR: MARGIN: 13pt;><SPAN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0pt; #000000; COLOR: 13pt; LETTER-SPACING: 한양신명조,한컴돋움; 23.4pt;><STRONG><FONT size=3>[농민전업(農民專業)합작사에 첫 영업허가서]</FONT></STRONG></SPAN> </P><P justify TEXT-ALIGN: ?한양신명조?; FONT-FAMILY: 180%; LINE-HEIGHT: 0pt; TEXT-INDENT: #000000; COLOR: MARGIN: 13pt;><SPAN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0pt; #000000; COLOR: 13pt; LETTER-SPACING: 한양신명조,한컴돋움; 23.4pt;> 절강성(浙江省) 공상(工商)국은 전국에서 처음으로 농민전업합작사 영업허가서를 발행했는데, 절강성 대주시(臺州市)의 10社가「기업법인영업허가서」를 받았다. 공상국에 따르면, 농민전업합작사의 등록신청조건은 까다롭지 않다. 7인 이상의 조합원, 1만 위안이상의 등록금, 조합원들이 만든 정관, 합작사 명칭, 합작사 조직기구, 정해진 생산경영장소, 필요생산경영조건 등만 있으면 등록할 수 있다. 지금까지 농민전업합작사는 명확한 법적지위와 법인자격이 없어 경영자격, 은행대출, 세금감면, 상표등록, 소송 등 여러 가지 면에서 곤란에 직면하는 경우가 많았다. </SPAN></P><P justify TEXT-ALIGN: ?한양신명조?; FONT-FAMILY: 180%; LINE-HEIGHT: 0pt; TEXT-INDENT: #000000; COLOR: MARGIN: 13pt;><SPAN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0pt; #000000; COLOR: 13pt; LETTER-SPACING: 한양신명조,한컴돋움; 23.4pt;></SPAN> </P><P justify TEXT-ALIGN: ?한양신명조?; FONT-FAMILY: 180%; LINE-HEIGHT: 0pt; TEXT-INDENT: #000000; COLOR: MARGIN: 13pt;><SPAN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0pt; #000000; COLOR: 13pt; LETTER-SPACING: 한양신명조,한컴돋움; 23.4pt;> 절강은 중국에서 제일 먼저 중국농민전업합작사가 생긴 지역의 하나이다. 동성(同省)의 농업전업합작사는 1980년대 중반부터 생기기 시작하여 지금은 약 1,700社 정도의 규모까지 성장, 130여만호의 농가를 모아 시장개척을 하고 있다. 농민전업합작사는 대규모의 이점 및 농업과학기술의 성과를 활용하면서 농산물판매시장을 넓혀 농민수입을 늘리고 있다.</SPAN> </P><P justify TEXT-ALIGN: ?한양신명조?; FONT-FAMILY: 180%; LINE-HEIGHT: 0pt; TEXT-INDENT: #000000; COLOR: MARGIN: 13pt;> </P><P justify TEXT-ALIGN: ?한양신명조?; FONT-FAMILY: 180%; LINE-HEIGHT: 0pt; TEXT-INDENT: #000000; COLOR: MARGIN: 13pt;><SPAN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0pt; #000000; COLOR: 13pt; LETTER-SPACING: 한양신명조,한컴돋움; 23.4pt;><FONT size=3><STRONG>[중국 차(茶) 발전저해 2대 폐해개선]</STRONG></FONT> </SPAN></P><P justify TEXT-ALIGN: ?한양신명조?; FONT-FAMILY: 180%; LINE-HEIGHT: 0pt; TEXT-INDENT: #000000; COLOR: MARGIN: 13pt;><SPAN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0pt; #000000; COLOR: 13pt; LETTER-SPACING: 한양신명조,한컴돋움; 23.4pt;> 서남농업대학 차(茶)연구소 유근진(劉勤晋) 소장은「소부즉안(小富卽安)」과「계두사상(鷄頭思想)」이 중국의 차 발전을 방해하고 있다고 말한다. 이 2대 폐해를 조속히 없애지 않으면 중국은 수량 면에서만 차 생산대국일 뿐, 진정한 의미에서의「차 생산강국」이 될 수 없다고 지적한다. 유 소장에 따르면「소부즉안」사상이란 돈을 번 후에는 생산 확대 및 차의 품질향상 등에 투자하지 않고, 무턱대고 소비만 하는 상황을 말한다. 최근 수년 절강성의 차는 눈에 띄게 이익을 올리고 있지만, 일부 차 업자들은 이 같은「소부즉안」사상에 젖어 있다. </SPAN></P><P justify TEXT-ALIGN: ?한양신명조?; FONT-FAMILY: 180%; LINE-HEIGHT: 0pt; TEXT-INDENT: #000000; COLOR: MARGIN: 13pt;><SPAN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0pt; #000000; COLOR: 13pt; LETTER-SPACING: 한양신명조,한컴돋움; 23.4pt;></SPAN> </P><P justify TEXT-ALIGN: ?한양신명조?; FONT-FAMILY: 180%; LINE-HEIGHT: 0pt; TEXT-INDENT: #000000; COLOR: MARGIN: 13pt;><SPAN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0pt; #000000; COLOR: 13pt; LETTER-SPACING: 한양신명조,한컴돋움; 23.4pt;> 또한「계두사상」이란「닭대가리가 될지언정 소꼬리가 되지 말라」는 사상으로, 중서부지역에서 막 발전하기 시작한 다원(茶園)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즉 회사제나 연합제, 규모화경영 등에는 관심이 없고, 오로지 얼마 되지 않는 토지를 사수(死守)하면서, 스스로 공장장이나 사장, 회장 등을 맡으려 하고 있다. 중국의 2004년 차생산량은 80만톤을 돌파, 세계 제2위이다. 그러나 진정한 의미에서 수출량은 28만톤 미만이며, 수출액도 겨우 4억7,000만 달러에 그치고 있어, 인도나 스리랑카 등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SPAN> </P><P justify TEXT-ALIGN: ?한양신명조?; FONT-FAMILY: 180%; LINE-HEIGHT: 0pt; TEXT-INDENT: #000000; COLOR: MARGIN: 13pt;><SPAN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0pt; #000000; COLOR: 13pt; LETTER-SPACING: 한양신명조,한컴돋움; 23.4pt;><BR></SPAN></P><P justify TEXT-ALIGN: ?한양신명조?; FONT-FAMILY: 180%; LINE-HEIGHT: 0pt; TEXT-INDENT: #000000; COLOR: MARGIN: 13pt;><SPAN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0pt; #000000; COLOR: 13pt; LETTER-SPACING: 한양신명조,한컴돋움; 23.4pt;><STRONG><FONT size=3>[상해(上海)시, 농업지원 강화] </FONT></STRONG></SPAN></P><P justify TEXT-ALIGN: ?한양신명조?; FONT-FAMILY: 180%; LINE-HEIGHT: 0pt; TEXT-INDENT: #000000; COLOR: MARGIN: 13pt;><SPAN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0pt; #000000; COLOR: 13pt; LETTER-SPACING: 한양신명조,한컴돋움; 23.4pt;> 상해시는 금년 농업에 대한 지원을 한층 강화한다. 농업예산은 작년에 비해 10% 많은 약 12억 위안(1위안=130원)이다. 그 중 3억 위안은 논 및 채소시설정비 등에 사용된다. 특히 2헥타르 이상의 논 재배에는 농기계작업 및 병충해방지보조금을 서비스권 형태로 발급한다.</SPAN> </P><P justify TEXT-ALIGN: ?한양신명조?; FONT-FAMILY: 180%; LINE-HEIGHT: 0pt; TEXT-INDENT: #000000; COLOR: MARGIN: 13pt;><SPAN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0pt; #000000; COLOR: 13pt; LETTER-SPACING: 한양신명조,한컴돋움; 23.4pt;><BR></SPAN></P><P justify TEXT-ALIGN: ?한양신명조?; FONT-FAMILY: 180%; LINE-HEIGHT: 0pt; TEXT-INDENT: #000000; COLOR: MARGIN: 13pt;><SPAN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0pt; #000000; COLOR: 13pt; LETTER-SPACING: 한양신명조,한컴돋움; 23.4pt;><STRONG><FONT size=3>[산동성(山東省), 감비(減肥)운동 전개]</FONT></STRONG></SPAN> </P><P justify TEXT-ALIGN: ?한양신명조?; FONT-FAMILY: 180%; LINE-HEIGHT: 0pt; TEXT-INDENT: #000000; COLOR: MARGIN: 13pt;><SPAN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0pt; #000000; COLOR: 13pt; LETTER-SPACING: 한양신명조,한컴돋움; 23.4pt;> 산동성은 금년부터 비료를 줄이는「감비운동」을 추진한다. 앞으로 3년 안에 벼 및 채소에 대한 시비량을 30% 가까이 줄인다는 계획이다. 특히 질소를 대폭 줄일 방침이다. 산동성의 2002년 1헥타르 당 평균 시비량은 629킬로그램으로 전국 평균 311킬로그램보다 2배나 많았다.</SPAN> </P><P justify TEXT-ALIGN: ?한양신명조?; FONT-FAMILY: 180%; LINE-HEIGHT: 0pt; TEXT-INDENT: #000000; COLOR: MARGIN: 13pt;><SPAN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0pt; #000000; COLOR: 13pt; LETTER-SPACING: 한양신명조,한컴돋움; 23.4pt;><BR></SPAN></P><P justify TEXT-ALIGN: ?한양신명조?; FONT-FAMILY: 180%; LINE-HEIGHT: 0pt; TEXT-INDENT: #000000; COLOR: MARGIN: 13pt;><SPAN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0pt; #000000; COLOR: 13pt; LETTER-SPACING: 한양신명조,한컴돋움; 23.4pt;><STRONG><FONT size=3>[절강(浙江)성, 관광농업에 주력]</FONT></STRONG></SPAN> </P><P justify TEXT-ALIGN: ?한양신명조?; FONT-FAMILY: 180%; LINE-HEIGHT: 0pt; TEXT-INDENT: #000000; COLOR: MARGIN: 13pt;><SPAN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0pt; #000000; COLOR: 13pt; LETTER-SPACING: 한양신명조,한컴돋움; 23.4pt;>절강성 여요시(余姚市)는 중산간지역의 특성을 살려 관광농업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관광객은 스스로 차(茶)를 따서 가공하고 마시며 즐길 수 있다. 또한 농가에 숙박하면서 농촌생활도 체험할 수 있다. 연휴 때에는 여요시를 방문하는 관광객의 10%에 해당하는 3만명이 관광농업을 즐기고 있다.</SPAN> </P><P justify TEXT-ALIGN: ?한양신명조?; FONT-FAMILY: 180%; LINE-HEIGHT: 0pt; TEXT-INDENT: #000000; COLOR: MARGIN: 13pt;> </P><P align=right justify TEXT-ALIGN: ?한양신명조?; FONT-FAMILY: 180%; LINE-HEIGHT: 0pt; TEXT-INDENT: #000000; COLOR: MARGIN: 13pt;> - 2005. 6. 1. 농촌진흥청 - </P><BR>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1189 | 2,545 | ||
1188 | 3,320 | ||
1187 | 2,302 | ||
1186 | 3,676 | ||
1185 | 2,192 | ||
1184 | 2,344 | ||
1183 | 2,610 | ||
1182 | 3,490 | ||
1181 | 2,409 | ||
1180 | 2,5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