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가축분뇨로 연료전지 발전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5-06-01 | 조회수 | 2698 |
<FONT face=한컴돋움>새로운 에너지를 개발 중인 일본의 한 기업이 가축분뇨의 바이오가스에서 추출한 수소를 이용하여, 연료전지에 의한 발전을 일으키는 실증실험을 하고 있다. 실용화까지는 앞으로 수년정도 걸릴 전망이지만, 관계자들은「발전효율이 좋고 친환경적인 획기적인 기술」이라고 말한다. 연료전지는 바이오가스에서 추출한 수소와 공기 중의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와 물을 얻는 구조이다. 엔진보다 발전효율이 높을 뿐 아니라 소음도 거의 없다. </FONT><P style="FONT-SIZE: 13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8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3pt; COLOR: #000000; LINE-HEIGHT: 23.4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SPAN> </P><P style="FONT-SIZE: 13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8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3pt; COLOR: #000000; LINE-HEIGHT: 23.4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 이산화탄소의 발생도 적어 지구온난화 방지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마에바시(前橋)시에 있는 양돈농가의 축사에 작년 3월 시설을 만들어 2007년 3월까지 실험을 계속한다. 동(同)양돈농장에는 어미돼지 60~70두, 돼지새끼가 약 300두 있어, 하루평균 2.6톤의 분뇨가 발생된다. 이것을 분리기에서 고체와 액체로 나눠 액체는 메탄발효조에 넣음으로써 바이오가스(발효메탄가스)를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고체분뇨는 바이오가스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나오는 산화(酸化)액과 함께 지붕이 달린 시설(발효조)에서 약 1개월간에 걸쳐 퇴비화된다. </SPAN></P><P style="FONT-SIZE: 13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8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3pt; COLOR: #000000; LINE-HEIGHT: 23.4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SPAN> </P><P style="FONT-SIZE: 13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8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3pt; COLOR: #000000; LINE-HEIGHT: 23.4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 바이오가스는 연료전지, 가스엔진발전기 등에 이용된다. 발생된 전기는 전등 및 히터, 팬 등 양돈장 내에서 이용된다. 또한 발전 시에 생기는 열로 물을 끓여 메탄발효조를 데우기도 한다. 문제는 시설비용이다. 현재는 퇴비화시설을 포함하여 약 7,000만엔 정도 든다. 반면 기계설비의 수명은 약 15년이다. 이 때문에 향후 실증시험을 계속하면서 저가격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SPAN></P><P style="FONT-SIZE: 13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8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3pt; COLOR: #000000; LINE-HEIGHT: 23.4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SPAN> </P><P style="FONT-SIZE: 13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8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 align=right><SPAN style="FONT-SIZE: 13pt; COLOR: #000000; LINE-HEIGHT: 23.4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 - 2005. 6. 1. 농촌진흥청 - </SPAN></P>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1199 | 2,075 | ||
1198 | 2,594 | ||
1197 | 3,376 | ||
1196 | 2,383 | ||
1195 | 4,209 | ||
1194 | 2,786 | ||
1193 | 2,336 | ||
1192 | 4,137 | ||
1191 | 2,491 | ||
1190 | 2,69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