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주간새농사정보(제24호-6.12 ~ 6.18)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06-10 조회수 2213
<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한컴바탕’; FONT-FAMILY: 16pt; LINE-HEIGHT: #000000; COLOR: 10pt;><A name=#773114c5></A></SPAN><P justify TEXT-ALIGN: 0pt; ’한컴바탕’;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160%; TEXT-INDENT: MARGIN:><TABLE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height=158 cellSpacing=0 cellPadding=1 width=457 border=1 collapse BORDER-COLLAPSE: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TBODY><TR><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457 height=158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solid 0.425pt #000000 solid;><P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160%; TEXT-INDENT: MARGIN: center 1.9pt; ’바탕체’; -28.08pt; #333333; 28.08pt; 0pt><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16pt; LINE-HEIGHT: COLOR: 10pt; center 1.9pt; ’바탕체’; #333333; FONT-SIZE: bold;></SPAN><FONT face=바탕><FONT size=1><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16pt; LINE-HEIGHT: COLOR: 10pt; 1.9pt; FONT-SIZE: bold; underline TEXT-DECORATION: center; ’HY견고딕’; #008000;>6</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16pt; LINE-HEIGHT: COLOR: 10pt; underline TEXT-DECORATION: center; ’HY견고딕’; #008000; 2.5pt;>월의 주요 실천 농작업</SPAN> </FONT></FONT><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TEXT-INDENT: MARGIN: ’바탕체’; -28.08pt; #333333; 28.08pt; 0pt left 130%;><FONT face=바탕><FONT size=1><SPAN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바탕체’; #333333; FONT-SIZE: bold; left 13pt;>&nbsp;&nbsp;&nbsp;◈ </SPAN><SPAN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바탕체’; FONT-SIZE: bold; left 13pt;>적기 모내기 실천&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SPAN></FONT></FONT><P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TEXT-INDENT: MARGIN: ’바탕체’; -28.08pt; #333333; 28.08pt; 0pt left 130%;><FONT face=바탕><FONT size=1><SPAN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바탕체’; #333333; FONT-SIZE: bold; left 13pt;>&nbsp;&nbsp;&nbsp;◈</SPAN><SPAN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바탕체’; FONT-SIZE: bold; left 13pt;> </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바탕체’; FONT-SIZE: bold; left 13pt; -2.4pt;>벼 물바구미. </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바탕체’; FONT-SIZE: bold; left 13pt; -0.1pt;>잎도열병</SPAN><SPAN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바탕체’; FONT-SIZE: bold; left 13pt; -0.8pt;>중점방제</SPAN> </FONT></FONT><P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TEXT-INDENT: MARGIN: ’바탕체’; -28.08pt; 28.08pt; 0pt 130%;><FONT face=바탕><FONT size=1><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바탕체’; FONT-SIZE: bold; 13pt;>&nbsp;&nbsp; </SPAN><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바탕체’; #333333; FONT-SIZE: bold; 13pt;>◈ </SPAN><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바탕체’; FONT-SIZE: bold; 13pt;>콩, 고구마 등 </SPAN><SPAN justify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바탕체’; FONT-SIZE: bold; 13pt; -0.4pt;>서둘러 심기&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SPAN></FONT></FONT><P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TEXT-INDENT: MARGIN: ’바탕체’; -28.08pt; #333333; 28.08pt; 0pt 130%;><FONT face=바탕><FONT size=1><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바탕체’; #333333; FONT-SIZE: bold; 13pt;>&nbsp;&nbsp;&nbsp;◈ </SPAN><SPAN justify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바탕체’; FONT-SIZE: bold; 13pt; -0.8pt;>고추 </SPAN><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바탕체’; FONT-SIZE: bold; 13pt;>받침대 설치</SPAN><SPAN justify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바탕체’; FONT-SIZE: bold; 13pt; -0.8pt;> 및 포장관리</SPAN> </FONT></FONT><P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TEXT-INDENT: MARGIN: ’바탕체’; -28.08pt; 28.08pt; 0pt 130%;><FONT face=바탕><FONT size=1><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바탕체’; FONT-SIZE: bold; 13pt;>&nbsp;&nbsp; </SPAN><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바탕체’; #333333; FONT-SIZE: bold; 13pt;>◈ </SPAN><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바탕체’; FONT-SIZE: bold; 13pt;>적기보리 수확&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SPAN></FONT></FONT><P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TEXT-INDENT: MARGIN: ’바탕체’; -28.08pt; #333333; 28.08pt; 0pt 130%;><FONT face=바탕><FONT size=1><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바탕체’; #333333; FONT-SIZE: bold; 13pt;>&nbsp;&nbsp;&nbsp;◈</SPAN><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바탕체’; FONT-SIZE: bold; 13pt;> 마늘, 양파 가뭄 포장 관수</SPAN> </FONT></FONT><P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TEXT-INDENT: MARGIN: ’바탕체’; -28.08pt; 28.08pt; 0pt 130%;><FONT face=바탕><FONT size=1><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바탕체’; FONT-SIZE: bold; 13pt;>&nbsp;&nbsp; </SPAN><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바탕체’; #333333; FONT-SIZE: bold; 13pt;>◈</SPAN><SPAN justify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바탕체’; FONT-SIZE: bold; 13pt; -0.8pt;> </SPAN><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바탕체’; FONT-SIZE: bold; 13pt;>과수 적기 열매솎기&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nbsp; </SPAN><SPAN justify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바탕체’; #333333; FONT-SIZE: bold; 13pt; -1.2pt;></SPAN></FONT></FONT><P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TEXT-INDENT: MARGIN: ’바탕체’; -28.08pt; #333333; 28.08pt; 0pt 130%;><FONT face=바탕><FONT size=1><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바탕체’; #333333; FONT-SIZE: bold; 13pt;>&nbsp;&nbsp;&nbsp;◈</SPAN><SPAN justify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바탕체’; #333333; FONT-SIZE: bold; 13pt; -1.2pt;> </SPAN><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바탕체’; #333333; FONT-SIZE: bold; 13pt;>소 부루세라병과 결핵병 예방</SPAN> </FONT></FONT><P justify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TEXT-INDENT: MARGIN: ’바탕체’; -28.08pt; 28.08pt; 0pt 130%; -0.8pt;><FONT face=바탕><FONT size=1><SPAN justify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바탕체’; FONT-SIZE: bold; 13pt; -0.8pt;>&nbsp; </SPAN><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바탕체’; #333333; FONT-SIZE: bold; 13pt;>&nbsp;◈ 느타리버섯 환경관리&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SPAN></FONT></FONT><P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TEXT-INDENT: MARGIN: ’바탕체’; -28.08pt; #333333; 28.08pt; 0pt 130%;><FONT face=바탕><FONT size=1><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바탕체’; #333333; FONT-SIZE: bold; 13pt;>&nbsp;&nbsp;&nbsp;◈ 가축 여름철 일사병과 열사병 예방</SPAN><SPAN justify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바탕체’; #333333; FONT-SIZE: bold; 13pt; -1.2pt;>&nbsp;&nbsp; </SPAN><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바탕체’; #333333; FONT-SIZE: bold; 13pt;></SPAN></FONT></FONT><P justify TEXT-ALIGN: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TEXT-INDENT: MARGIN: ’바탕체’; -28.08pt; #333333; 28.08pt; 0pt 130%;><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바탕체’; #333333; FONT-SIZE: bold; 13pt;><FONT face=바탕 size=1>&nbsp;&nbsp;&nbsp;◈ 이앙기 사용전.후 점검 정비</FONT></SPAN></P></TD></TR></TBODY></TABLE></P><P><SPAN><FONT face=바탕 size=1>☞ 이번 주간에 실천 할 농작업 </FONT></SPAN></P><SPAN><P><BR><FONT face=바탕 size=1>1. 벼 농 사 </FONT></P><P><FONT face=바탕 size=1></FONT>&nbsp;</P><P><FONT face=바탕 size=1>가. 적기 모내기 <BR>○ 남부지방의 어린모 기계이앙은 6월 15일까지 적기이므로 적기내에 이앙이 되도록 하기 바랍니다, <BR></P></FONT><P><FONT face=바탕 size=1>○ 보리, 양파, 마늘, 딸기 등의 수확이 끝난 논은 서둘러 모내기를 하되, 3.3㎡(평)당 80~90 정도 심겨지도록 이앙기의 포기수 조절장치를 확인한 후에 모를 내도록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맥류 또는 마늘·양파를 재배한 논에 벼농사를 위하여 거름을 줄때에는 앞작물에 주었던 거름기를 감안하여 질소질 거름을 20~30% 줄여 주도록 한다. 특히 금년에 풋보리를 갈아엎은 논에는 보리에 준 거름을 빼고 주어서 벼가 너무 웃자라지 않도록 한다. <BR><BR>나. 논 관리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모내기를 마친 농가는 자기의 논에 많이 나는 풀의 종류에 따라 알맞은 잡초약을 선택하여 농약 봉지의 표지 설명서를 잘 읽어 보고, 사용시기와 사용량을 반드시 지켜서 잡초 방제 효과를 높이도록 한다. <BR></P></FONT><P><FONT face=바탕 size=1>○ 특히 어린모를 이앙한 논은 반드시 어린모 적용 잡초약을 뿌려주어 약해를 받지 않도록 하고, 입제 농약을 뿌린 후 논의 물이 마르면 효과가 크게 떨어지게 되므로 5일이상 8일정도는 물의 깊이가 3~4cm 되도록 관리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모낸 후 12~14일 사이에 10a당 새끼칠 거름으로 보통논이나 미숙논에는 요소 2kg 정도를 모래논이나 고온에도 2kg 정도를 뿌려 주되, 일품벼 흑미벼 등 도열병에 약한 품종을 재배하는 포장이나 도열병 상습지역에서는 이 보다 다소 적은 양을 주도록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건답직파한 논은 파종 후 초기에 토양 또는 풀잎에 잡초약을 뿌렸어도, 피 등 잡초가 많을 때는 벼 잎이 2~3개 나왔을 때 논물을 대고 어린모 적용 입제 잡초약을 다시 한번 뿌려 주도록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담수직파한 논은 파종 후 10~15일경에 적용 잡초약을 뿌렸어도 피나 잡초의 발생이 많을 때에는 피의 잎이 3~4잎까지도 죽일 수 있는 적용 잡초약을 한번 더 뿌려 주도록 한다. <BR><BR>다. 병해충 방제 <BR>○ 벼물바구미 발생이 우리되는 지역에서는 모내는 날 상자에 농약을 뿌리지 못한 논에는 6월 20일경까지는 본 논에 적용 농약을 뿌려 주도록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벼애잎굴파리가 많거나 이화명나방의 발생이 많았던 지역에서는 벼물바구미 농약 중에서 동시 방제가 가능한 약제를 선택하여 뿌려주도록 한다. <BR><BR>2. 밭 농 사 </FONT></P><P><FONT face=바탕 size=1></FONT>&nbsp;</P><P><FONT face=바탕 size=1>가. 보리 수확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보리는 서둘러 수확을 마치도록 하고, 탈곡을 끝낸 보리는 빨리 건조시켜 변질이 되지 않도록 한다. 비가 올 경우에는 수확한 보리가 비에 젖지 않도록 비닐 등을 덮어 관리한다. <BR></P></FONT><P><FONT face=바탕 size=1>○ 올 가을 종자로 사용할 보리는 다른 품종의 보리나 병해충 발생이 없었던 포장에서 생산된 것을 잘 말려 준비하도록 한다. <BR><BR>나. 밭작물 관리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밭작물의 솎음 작업은 물을 준 후나 비가 내린 후에 참깨는 본 잎이 2~4개 나왔을 때, 콩은 뿌리가 엉키기 전에 솎음 작업을 해주어 튼튼하게 자라도록 한다. <BR></P></FONT><P><FONT face=바탕 size=1>○ 옥수는 잎이 7~8개 나왔을 때 웃거름으로 10a당 10kg 정도를 주어 생육을 촉진시키도록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봄에 심은 밭작물은 강우가 적어 가뭄피해가 우려되므로 제초작업을 겸하여 겉흙을 살짝 긁어 주고 규모가 작은 밭포장은 헛골에 거친 퇴비나 나뭇잎 등을 덮어 주어 수분 증발을 막아 주도록 한다. 또한 가뭄이 심한 지역에서는 스프링클러 등을 이용하여 물을 뿌려 주도록 한다. <BR><BR>3. 채 소 <BR><BR>가. 고 추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고추는 비가 자주 내리면 역병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지난해 역병이 많았던 포장은 적용약제로 관주처리를 하는 등 사전방제를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웃거름은 25~30일 간격으로 포기사이에 주는데 생육상태에 따라 너무 많이 주지 않도록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점적관수 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밭은 800~1,200배의 물 비료를 주도록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장마에 대비하여 물 뺄 도랑을 미리 정비해 주고 받침대를 설치하거나 보강하여 쓰러지는 것을 예방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우박 등재해를 받은 지역에서는 엽면시비로 생육을 촉진키고, 살균제를 살포하여 병원균의 침입을 방지 한다 <BR><BR>나. 시설채소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고온장해 예방을 위해 하우스 안의 온도가 30℃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환기를 철저히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하우스의 오이·수박·참외 등 열매채소는 자주 살펴보아 병해충이 발견되면 적용약제를 뿌려 방제하되 농약 안전사용기준을 반드시 지켜 안전농산물을 생산하도록 한다. <BR><BR>다. 노지채소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난지형마늘과 양파는 적기에 수확하고, 수확한 마늘·양파는 밭에서 2~3일간 햇볕에 건조하여 출하하거나 저장하되, 마늘은 줄기를 자른 다음에 망에 담아 출하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수확기에는 홍수 출하가 우려되므로 농가에서 간단하게 저장했다가 가격이 안정될 때 분산하여 출하하는 것이 유리하며 수확 후에는 비가 맞지 않도록 관리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마늘·양파 출하시에는 줄기를 절단한 후 출하토록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마늘 주아는 병해충이 발생된 곳에서는 채취하지 않도록 하고 주아재배를 하는 포장은 후기관리를 잘하여 우량종구를 생산토록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수박은 세력이 너무 강하여 무성하게 자라면 열매가 잘 달리지 않게 되므로 웃거름은 세력을 보아 가며 1~2회 나누어주되 알맞은 양을 주도록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오이, 수박, 참외 등 열매채소는 덩굴마름병, 탄저병, 역병 등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예방위주로 적용약제를 뿌려 방제하고, 장마에 대비하여 배수로 정비 등 포장관리를 잘 하도록 한다. <BR><BR>4. 과 수 </FONT></P><P><FONT face=바탕 size=1></FONT>&nbsp;</P><P><FONT face=바탕 size=1>○ 우박피해가 발생한 과원에서는 피해 정도에 따라 열매솎기를 해주어야하는데 피해가 심한 경우에는 모두 적과하고 중정도는 30~50%, 피해가 경미한 경우에는 정상 관리하도록 하고, 과실이나 잎 등으로 제2차 병원균 감염 방지를 위하여 종합 살균제를 살포하도록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과원의 수관 내부를 잘 살펴보아 진딧물, 응애류가 2~3마리가 발견되면 방제하도록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검은별무늬병, 붉은별무늬병, 사과점무늬낙엽병, 포도흑두병은 5~6월 비가 자주올 때 발생이 많으므로 시비관리를 잘하고, 보호용 치료제로 방제하다가 봉지 씌우기 전에는 치료용 살균제로 방제토록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과원에 무성하게 자라는 풀을 방치하면 광합성과 통풍을 저해하므로 30~40㎝ 정도 자라면 깎아주고, 웃자란 가지나 밀생지 등은 적절히 솎아 내거나 유인해 주는 등 여름전정을 해 준다. <BR><BR>5. 화 훼 </FONT></P><P><FONT face=바탕 size=1></FONT>&nbsp;</P><P><FONT face=바탕 size=1>○ 장미, 국화 등 절화를 재배하는 하우스에서는 환기 관리를 철저히 하여 고온장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수출용 백합은 칼슘제를 처리하여 줄기의 강도를 높이도록 하고, 노지에 재배 중인 화훼류는 진딧물, 응애류 등 병해충 방제를 철저히 해 주도록 한다. <BR>○ 억제재배 글라디올러스는 본 밭에 아주 심은 다음 물을 충분히 주어 자람을 촉진시키도록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노지 조경용 초화류는 포장상태가 건조하지 않도록 오전 중에 물을 주도록 한다. <BR><BR><BR>6. 버섯, 잠업 </FONT></P><P><FONT face=바탕 size=1>가. 느타리버섯 재배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여름철 느타리버섯은 균 기르기 작업이 끝나고 나면 발이작업을 하여야 하는데 이때는 품종별 특성에 맞는 생육온도로 조절하여 주고 재배사 실내는 90% 내외 습도를 유지하여 주면서 실내의 탄산가스 농도를 높여주어야 한다. 버섯이 자라는 동안에는 습도를 낮추어 80~85%를 유지 하도록 하여준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균상에 버섯이 발생되지 않은 시기에는 잔유물을 깨끗이 정리하고, 살균과 항균력이 있는 적용약제를 뿌려 주도록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고온이 지속되면 버섯파리 발생량이 많아지게 되므로 재배사 밖에는 살충제를 주기적으로 뿌려주고, 환기창에는 방충망을 설치하여 버섯파리 침입을 최대한 막아 주도록 한다. <BR><BR>나. 뽕밭 관리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맑은 날을 택하여 뽕나무 그루를 다듬어 주고 아직까지 여름비료를 주지 못한 뽕밭에는 10a당 요소 26㎏, 용성인비 또는 용과린 26㎏, 염화칼리 12㎏을 섞어 고루 뿌려 주고 로터리 작업을 해 주도록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뽕나무 애바구미와 순혹파리 방제를 위하여 여름베기 직후에 적용약제를 뽕나무 그루 주위와 뽕밭 전면에 뿌려 방제하도록 <BR></P></FONT><P><FONT face=바탕 size=1>7. 축 산 <BR><BR>가. 가축 사양관리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날씨가 더워지면서 물먹는 양이 늘어나므로 항상 시원하고 깨끗한 물을 먹을 수 있도록 급수 관리에 주의하고, 소의 침 등으로 물이나 사료가 쉽게 더러워지고 변패되므로 급수기와 사료통을 자주 청소해 주도록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온도 변화에 양질의 원유생산은 수익과 직접 관련이 있으므로 냉각에 주의를 하고 체세포수와 세균수 그리고 항생물질 관리를 철저히 하여 고품질 우유가 생산되도록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돼지에게 물을 공급할 때에는 1분당 2ℓ 이상은 나와야 돼지가 섭취하는데 지장이 없으므로 수시로 물 배관과 니플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도록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사료의 수분함량이 14% 이상이고 상대습도가 75% 이상 되면 곰팡이 발생이 증가하여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료는 항상 서늘한 곳에서 건조하게 보관하도록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나. 초지 사료작물 관리 <BR></P></FONT><P><FONT face=바탕 size=1>○ 건초를 만들기에 적합한 때이므로 장마가 시작되기 전에 수확하여 건초를 만들어 보관하도록 하고 장마기 이전에 2번초를 수확하도록 하되, 풀의 키가 작은 상태에서 장마에 들어가도록 수확시기를 조절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사료용 옥수수의 잎이 7~8매 정도 자란 포장은 알맞은 양의 웃거름을 주어 생육을 촉진시킨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멸강나방과 조명나방이 발생하여 초지 및 옥수수 포장에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관찰을 잘하고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적용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하도록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수수류 사료작물은 키가 150㎝ 이상 자란 후에 베어 먹이도록 하고 장마철에는 그루터기를 15㎝ 이상 남겨 재생에 지장이 없도록 하며, 수확한 다음에는 웃거름을 주어 다음 번 수량을 높이도록 한다. <BR><BR>다. 가축 위생관리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기온상승에 따른 스트레스로 인한 가축의 열사병 예방을 위하여 축사 벽·지붕에 단열재를 점검하고 보수하며, 축사주위와 운동장에는 그늘막을 설치하고 환풍기 등을 이용하여 시원한 바람을 불어준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구제역 및 돼지콜레라 재발방지를 위하여 외부인이 축사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통로를 차단하고, 수요일(6월 15일)에는 축사안팎을 철저히 소독하며 매일 가축을 자세히 관찰하여 질병이 발견될 경우 방역당국에 즉시 신고해야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인수공통전염병인 소 부루세라병, 결핵병 및 광견병 예방을 위해 야생동물의 축사 출입을 차단하고 정기적으로 가성소다 등을 이용하여 축사주위를 소독하며, 혈청검사를 받아 감염되었을 때는 즉시 조치를 취해야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닭 뉴캣슬병과 가금티푸스 등의 예방을 위해서는 양계장 출입자와 차량 및 야생조수에 대해 철저한 차단방역을 실시하고, 주요 질병의 예방프로그램에 따라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 <BR></FONT></P><P><FONT face=바탕 size=1>○ 가축분뇨 퇴비장에는 적량의 수분 조절재를 혼합하여 발효시키고 액비 저장탱크는 폭기와 교반을 잘하여 완전히 부숙시켜 악취와 유해성분이 제거된 액비를 이용하도록 한다.</FONT></SPAN></P><P><SPAN><!--StartFragment--><FONT face=바탕 size=1>&nbsp;</FONT></SPAN></P><P><SPAN><SPAN><FONT face=바탕 size=1>■ 감자를 제외한 주요 고랭지 채소의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감소 전망</FONT></SPAN></P><P><SPAN><FONT face=바탕 size=1>☞ 6월의 채소관측(농촌경제연구원)</FONT></SPAN></P><P><SPAN><FONT face=바탕 size=1>배추, 무, 대파를 제외한 채소류의 6월 가격은 출하량 증가로 작년보다 낮을 전망. 금년 고추 재배(의향)면적은 작년보다 1% 감소. 금년 마늘 생산량은 작년보다 4%, 양파는 9%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감자를 제외한 주요 고랭지 채소인 배추, 무, 당근, 양배추의 재배(의향)면적은 작년보다 감소 전망. <BR><BR>■ 고랭지배추ㆍ무 재배의향면적은 6~7% 감소 <BR>6월 배추 출하량은 작년보다 9% 적으나 김치 수입량이 작년보다 많아, 가격은 작년과 비슷하거나 다소 높을 전망. 무 출하량은 작년보다 10% 적어 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다소 높을 전망. 고랭지배추ㆍ무 재배의향면적은 작년보다 각각 7%, 6% 감소. <BR></FONT></SPAN></P><P><SPAN><FONT face=바탕 size=1></FONT></SPAN>&nbsp;</P><P><SPAN><FONT face=바탕 size=1>■ 금년 고추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1% 감소 <BR>5월말 현재 고추 재고량은 작년보다 13% 많고, 건고추의 민간 수입은 감소하나 냉동고추 등 고추관련품목의 수입 증가로 전체 공급량이 작년보다 많아 6~7월 가격은 약보합세 전망. 금년 고추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1% 감소. <BR></P></FONT></SPAN><P><SPAN><FONT face=바탕 size=1>■ 마늘, 양파 생산량은 작년보다 많을 전망 <BR>금년 마늘 생산량은 작년보다 4% 많은 37만 3,000톤 내외 전망. 국내가격이 작년보다 낮아 민간수입량은 작년 동기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되나, 생산량이 많아 수확기인 6~7월의 가격은 작년보다 낮을 전망. <BR>금년 양파 생산량은 작년보다 9% 많은 103만톤 내외 전망. 수확기인 6월 가격은 작년 동기(441원)보다 낮은 상품 kg당 350원 내외 전망. <BR></FONT></SPAN></P><P><SPAN><FONT face=바탕 size=1></FONT></SPAN>&nbsp;</P><P><SPAN><FONT face=바탕 size=1>■ 6월 대파 출하량은 작년보다 적고, 쪽파는 많아 <BR>6월 대파 출하량은 작년보다 12% 적어 도매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높은 상품 kg당 900원 내외 전망. 남부지방 겨울대파 정식(의향)면적은 작년보다 6% 감소하여 작황이 평년 수준일 경우 가격은 전년보다 높겠으나 평년 가격(850원)보다는 낮을 전망. <BR>6월 쪽파 출하량은 작년보다 2% 많아 도매가격은 작년과 비슷하거나 다소 낮을 전망. 여름ㆍ가을쪽파 출하예상면적은 작년과 비슷하거나 다소 감소. <BR></P></FONT></SPAN><P><SPAN><FONT face=바탕 size=1>■ 6월 수미 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낮을 듯 <BR>6월 수미 출하량은 작년 동기보다 7% 많아 도매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낮은 상품 20kg당 16,000원 내외 전망. 금년 고랭지감자 파종면적은 작년보다 7% 증가. <BR></FONT></SPAN></P><P><SPAN><FONT face=바탕 size=1></FONT></SPAN>&nbsp;</P><P><SPAN><FONT face=바탕 size=1>■ 당근 가격은 작년과 비슷, 양배추는 낮을 전망 <BR>6월의 당근 국내 출하량은 작년보다 12% 적으나 수입량이 증가할 것으로 보여 가격은 작년과 비슷할 전망. 6월 양배추 출하량은 작년보다 10% 많아 상품 8kg당 가격은 4,200원 내외 전망. 고랭지당근ㆍ양배추의 파종 및 정식(의향)면적은 각각 16%, 3% 감소. <BR></P></FONT></SPAN><P><SPAN><FONT face=바탕 size=1>☞ 이달의 농작물 병해충 중점방제기술</FONT></SPAN><SPAN><!--StartFragment--></P><P justify TEXT-ALIGN: 0pt; ’한컴바탕’;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160%; TEXT-INDENT: MARGIN:><TABLE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height=108 cellSpacing=0 cellPadding=1 width=474 border=1 collapse BORDER-COLLAPSE: none; medium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TBODY><TR><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474 height=108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TOP: solid 0.425pt #000000 solid;><P TEXT-ALIGN: 0pt;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TEXT-INDENT: MARGIN: center ’HY견고딕’; #008000; 180%;><FONT face=바탕><FONT size=1><SPAN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underline TEXT-DECORATION: center; ’HY견고딕’; #008000; 18pt;>농작물 병해충 발생정보</SPAN><SPAN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FONT-SIZE: bold; underline TEXT-DECORATION: center; #008000; 18pt; ’굴림’;>(제6호:2005.6.1~6.15)</SPAN> </FONT></FONT><P justify TEXT-ALIGN: 0pt;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TEXT-INDENT: MARGIN: #333333; 130%; ’굴림’;><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333333; FONT-SIZE: bold; 13pt; ’굴림’; italic; FONT-STYLE:></SPAN><FONT face=바탕><FONT size=1><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333333; FONT-SIZE: bold; 13pt; ’바탕’;>1. </SPAN><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FONT-SIZE: bold; 13pt; ’바탕’;>벼물바구미, 애멸구 등 본논 초기 발생 병해충:</SPAN><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13pt; ’바탕’;>모내는 날 상자처리를 못한 경우에는 모낸 후 10~15일경에 벼물바구</SPAN><SPAN justify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13pt; -0.1pt; ’바탕’;>미를 중심으로 줄무늬잎마름병을 옮기는 애멸구, 벼잎벌레?굴파리, 물</SPAN><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13pt; ’바탕’;>가파리 등을 방제하기 바람</SPAN> </FONT></FONT><P justify TEXT-ALIGN: 0pt;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TEXT-INDENT: MARGIN: 130%; ’바탕’;><FONT face=바탕><FONT size=1><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FONT-SIZE: bold; 13pt; ’바탕’;>&nbsp;2. </SPAN><SPAN justify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FONT-SIZE: bold; 13pt; ’바탕’; 0.1pt;>배 검은별무늬병, 사과겹무늬썩음병:</SPAN><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13pt; ’바탕’;> 배 검은별무늬병은 봉지씌우기 전에 기타 병은 기상상황에 따라 강우 전후에 방제하기 바람</SPAN> </FONT></FONT><P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TEXT-INDENT: MARGIN: 130%; ’바탕’; -0.6pt;><FONT face=바탕><FONT size=1><SPAN justify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FONT-SIZE: bold; 13pt; ’바탕’; -0.6pt;>&nbsp;3. 사과 복숭아순나방, </SPAN><SPAN justify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FONT-SIZE: bold; 13pt; -0.8pt; ’바탕’;>응애, 진딧물류 등 과수 해충:</SPAN><SPAN justify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13pt; ’바탕’; 0.1pt;>금년 봄철 기온이 높게 경과하여 해충 발생이 </SPAN></FONT></FONT><P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TEXT-INDENT: MARGIN: 130%; ’바탕’; 0.1pt;><FONT face=바탕><FONT size=1><SPAN justify TEXT-ALIGN: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13pt; ’바탕’; 0.1pt;>많을 우려가 있으므로</SPAN><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000000; COLOR: 10pt; 13pt; ’바탕’;>&nbsp; 발생초기인 어린 유충기에 방제하기 바람</SPAN><SPAN justify TEXT-ALIGN: 0pt; LETTER-SPACING: FONT-FAMILY: LINE-HEIGHT: COLOR: 10pt; FONT-SIZE: bold; 13pt; italic; FONT-STYLE: ’바탕’; #ff0000;> </SPAN></FONT></FONT></P></TD></TR></TBODY></TABLE><SPAN></SPAN></P></SPAN><P><SPAN><FONT face=바탕 size=1>◈ 식량작물 병해충(예보) </FONT></SPAN></P><P><SPAN><FONT face=바탕 size=1>1. 벼 줄무늬잎마름병, 벼물바구미 등 본논초기 해충 <BR>○ 줄무늬잎마름병은 애멸구가 옮기는 바이러스병으로 병독을 지닌 애멸구 비율은 지난 2002년보다는 낮아졌지만 지난해 보다는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BR><IMG height=139 alt=src=http://www.rda.go.kr/js/wisywig/filemanager/browse/images/aaa1.jpg width=201 align=right border=0>- 경기, 충남의 서해안 지역과 전남, 경남의 남부지역 경북 동해안의 병독을 지닌 애멸구 비율이 높은 지역과 발생 상습지역에서는 벼물바구미와 동시방제 해야 합니다. <BR>○ 벼물바구미 성충은 벼 잎을 갉아먹고 유충은 벼 뿌리를 갉아먹으며, 깔다구와 물가파리는 간척지에 주로 유충이 볍씨의 눈이나 유묘의 <BR>뿌리와 잎을 자르며, 벼잎벌레·굴파리는 벼잎 이나 줄기속을 갉아먹는 피해를 줍니다. <BR></FONT></SPAN></P><P><SPAN><FONT face=바탕 size=1></FONT></SPAN>&nbsp;</P><P><SPAN><FONT face=바탕 size=1>&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FONT></SPAN></P><P><SPAN></SPAN><SPAN><FONT face=바탕 size=1><IMG height=189 alt=src=http://www.rda.go.kr/js/wisywig/filemanager/browse/images/bbb1.jpg width=170 align=right border=0>- 벼물바구미는 야산과 인접한 논을 중심으로 산간계곡지역에서 발생밀도가 높아 방제 소홀시 피해가 우려되며, 일부지역에서는 굴파리 등 저온성 해충 발생도 우려가 됩니다. <BR>- 애멸구, 벼잎벌레·굴파리류, 깔다구, 물가파리 등을 중심 <BR>으로 방제약제를 모내는 날 상자에 뿌려 모내기하거나, <BR>이때 방제를 못한 경우에는 포장에서의 발생정도에 따라 <BR>모낸 후 10~15일 사이에 적용농약으로 방제하기 바랍니다. <BR></FONT></SPAN><SPAN><FONT face=바탕 size=1>※ 입제농약을 뿌린 후 최소한 5일 이상 8일 정도는 논물이 흘러넘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합니다.(붙임 참조) <BR></FONT></P></SPAN><P><SPAN><FONT face=바탕 size=1></FONT></SPAN>&nbsp;</P><P><SPAN><FONT face=바탕 size=1>◈ 원예작물 병해충(예보) </FONT></SPAN></P><P><SPAN><FONT face=바탕 size=1>1. 오이 노균병, 고추 역병, 수박 덩굴마름병, 장미 흰가루병 등&nbsp;<BR></FONT></SPAN><SPAN><FONT face=바탕 size=1><IMG height=140 alt=src=http://www.rda.go.kr/js/wisywig/filemanager/browse/images/ccc2.jpg width=201 align=right border=0>&nbsp;○ 오이 노균병은 가장 흔하게 발생되는 병으로 잎이 젖어 있던가 습도가 높은 경우에 발생이 많고, 초기부터 방제하지 않으면 큰 피해를 가져오므로 세력이 약해지지 않도록 관리하고 발생초기부터 방제하기 바랍니다. <BR>○ 고추 역병은 비가 잦을 때 빗물에 의해 넓은 지역으로 병원균이 번져 피해를 주므로 병 발생이 많았던 고추밭에서는 두둑을 높여 준 후 강우를 대비하여 배수로 잘 정비하고 병든 포기는 뽑아 전염원을 없애주고 적용농약으로 방제하기 바랍니다. <BR>○ 수박 덩굴마름병은 생육후기 초세가 쇄약해질 무렵부터 집중적으로 잎이나 땅가 줄기가 말라 죽는다. 이 병은 약제 살포만으로는 효과적인 방제가 어려우므로 과습을 방지하고 초세를 강화하는 방안도 함께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BR>○ 고랭지 배추 뿌리혹병은 방제가 매우 어려운 토양전염성 병해로 배추 정식 10일전에 석회질소 비료를 시용하면 병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붙임 참조) <BR>○ 최근 토마토 풋마름병의 발병이 증가하고 있으나 토양전염성 세균병으로 방제가 어려운데 저항성대목과 우분(牛糞)을 이용하면 발생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붙임 참조) <BR>○ 장미 흰가루병은 잎, 꽃, 꽃봉오리, 꽃자루 등에 흰가루를 뿌린 듯한 병으로 포자는 공기를 통하여 전염을 하며 밤에 습도가 높고 낮에 낮을 경우 발생한다. 병에 걸린 잎과 가지는 태워서 전염원을 없애주고 적용농약으로 방제하기 바랍니다. <BR>2. 온실가루이, 담배가루이, 진딧물 등 채소 해충 <BR>○ 토마토, 파프리카, 고추 등에 온실가루이, 담배가루이, 진딧물 등 해충 발생이 많습니다. <BR>○ 특히 담배가루이는 과거 시설장미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나 경남지역에서 파프리카, 토마토 등에서도 발생되고, 진딧물에 의한 바이러스병 발생도 증가하고 있으니 발생초기에 방제하기 바랍니다. <BR>3. 배 검은별무늬병, 사과 겹무늬썩음병, 점무늬낙엽병, 포도 새눈무늬병, 복숭아 잎오갈병, 세균성구멍병 <BR>○ 배 검은별무늬병은 잎, 가지, 과실에 발생하는 병으로 현재까지 금년 발생은 적은 경향입니다. 5~6월 비가 자주 올 때 발생이 많으므로 비배관리를 잘하고, 보호용 살균제로 방제하다가 봉지씌우기 전에는 치료용 살균제로 방제하기 바랍니다. <BR>○ 사과겹무늬썩음병, 점늬낙엽병, 갈색무늬병은 과원에서의 병 발생은 적으나 포자가 많이 날아다니고 있어 포장상태에 따라 비 오기 전후에 적용 농약으로 방제하기 바랍니다. <BR>○ 복숭아잎오갈병은 주로 하엽에 처음에는 붉은색을 띄며 혹을 형성하여 시간이 지나면 흰가루가 묻을 것 같은 병징을 보이고, 세균성구멍병은 잎에 수침상의 반점이 확대되어 갈색으로 구멍이 뚫리는 피해를 주니 적용 농약으로 방제하기 바랍니다. <BR>○ 포도 새눈무늬병은 대립계 품종에서 심하며 잎이 오그라들거나 갈라지기도 하므로 봉지씌우기 전에 적용농약으로 방제하기 바랍니다. <BR>○ 단감 둥근무늬낙엽병은 5월 하순부터 6월 상순에 주로 감염되어 8월 하순경부터 잎이 떨어지므로 비료주기와 배수를 잘하여 나무 자람을 좋게 하고, 감꽃이 떨어진 다음 10일 간격으로 2~3회 적용농약으로 방제하되 특히 비가 온 후에는 잎 뒷면까지 충분히 묻도록 뿌려주기 바랍니다. <BR>4. 과수 응애, 진딧물, 사과굴나방, 복숭아순나방, 잎말이나방류 <BR>○ 지난 겨울철이 따뜻하게 경과하고 봄철에도 비교적 온도가 높게 경과하여 복숭아순나방, 사과잎말이나방, 애모무늬잎말이나방 등 나방류 밀도가 높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BR><IMG height=134 alt=src=http://www.rda.go.kr/js/wisywig/filemanager/browse/images/ddd1.jpg width=337 align=right border=0>○ 경북지역 조사결과에 의하면 사과굴나방과 복숭아순나방, 사과둥근나무좀은 전년보다 많고, 은무늬굴나방, 오리나무좀과 생강나무좀은 적은 경향입니다. <BR>○ 응애와 진딧물도 잘 관찰하여 발생이 많은 경우에는 적용농약으로 방제하고, 적과나 봉지씌우기 작업시 복숭아순나방 발생이 피해를 받은 신초나 어린과실은 발견 되는대로 제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BR></FONT></SPAN></P><P><SPAN><FONT face=바탕 size=1></FONT></SPAN>&nbsp;</P><P align=right><SPAN><FONT face=바탕 size=1>- 2005. 6. 10. 농촌진흥청 - </FONT></P></SPAN></SPAN><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1229

2005.6.13(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2,057
1228

활어수입 28% 감소

2,483
1227

주간새농사정보(제24호-6.12 ~ 6.18)

2,213
1226

中 신장서도 조류독감 발생

2,052
1225

WTO/DDA 농업협상 회의 결과첨부파일 있음

2,099
1224

2005.6.10(금)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98
1223

중국 상해-超高생산량의 갱도(粳稻:메벼)육종 실현

2,043
1222

농작물의 냉해를 줄일 수 있는 유전자 개발

2,286
1221

여름철 장마, 태풍 등에 대비한 예방위주의 농업재해대책 추진

2,065
1220

2005.6.9(목)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116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