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2005년 7월 과일관측월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06-13 조회수 2061
<P><SPAN justify TEXT-ALIGN: 21px; LINE-HEIGHT: black; COLOR: 10pt; FONT-SIZE: bold;><FONT face=굴림><B>■ 올해 사과, 배 작황이 좋지 않은 편</B></FONT></SPAN><SPAN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justify TEXT-ALIGN: 21px; LINE-HEIGHT: black; COLOR: 10pt;><FONT face=굴림>사과 생산량은 지난해보다는 1~4% 증가하나 배는 13~17% 감소할 전망으로 지역별 냉해 및 저온 영향이 크게 나타남. 대체로 상품성도 좋지 않을 것으로 보여 품질관리를 위한 노력이 요구됨.&nbsp; </FONT></SPAN></P><P><SPAN justify TEXT-ALIGN: 21px; LINE-HEIGHT: black; COLOR: 10pt;></SPAN>&nbsp;</P><P><SPAN justify TEXT-ALIGN: 21px; LINE-HEIGHT: black; COLOR: 10pt; FONT-SIZE: bold;><FONT face=굴림><B>■ 사과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4% 증가할 전망</B></FONT></SPAN><SPAN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justify TEXT-ALIGN: 21px; LINE-HEIGHT: black; COLOR: 10pt;><FONT face=굴림>사과 착과 상황은 지난해보다 좋은 것으로 조사됨. 성목면적이 감소하지만 개화기 저온과 여름철 고온으로 작황이 부진했던 지난해보다 성목단수가 증가하여 올해 사과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4% 늘어난 36~37만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 </FONT></SPAN></P><P><SPAN justify TEXT-ALIGN: 21px; LINE-HEIGHT: black; COLOR: 10pt;></SPAN>&nbsp;</P><P><SPAN justify TEXT-ALIGN: 21px; LINE-HEIGHT: black; COLOR: 10pt; FONT-SIZE: bold;><FONT face=굴림><B>■ 배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3~17% 감소할 전망</B></FONT></SPAN><SPAN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justify TEXT-ALIGN: 21px; LINE-HEIGHT: black; COLOR: 10pt;><FONT face=굴림>배 착과 상황은 4월 중순 저온 및 서리 피해로 지난해 및 평년보다 좋지 않은 것으로 조사됨. 성목면적이 감소한데다 저온 및 서리 피해로 성목단수가 감소하여 배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3~17% 감소한 38~39만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 </FONT></SPAN></P><P><SPAN justify TEXT-ALIGN: 21px; LINE-HEIGHT: black; COLOR: 10pt;></SPAN>&nbsp;</P><P><SPAN justify TEXT-ALIGN: 21px; LINE-HEIGHT: black; COLOR: 10pt; FONT-SIZE: bold;><FONT face=굴림><B>■ 6~7월 하우스온주 공급량 9~17% 감소 전망</B></FONT></SPAN><SPAN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justify TEXT-ALIGN: 21px; LINE-HEIGHT: black; COLOR: 10pt;><FONT face=굴림>6~7월 하우스온주 공급량은 지난해 동기보다 9~17% 감소하여 가격은 4~7% 높은 상품 5kg당 2만 6천원~7천원 수준이 될 전망. 노지온주의 꽃수는 지난해 및 평년보다 많고, 개화시기는 지난해보다 6일, 평년보다 2~3일 늦은 것으로 나타남.</FONT></SPAN><SPAN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10pt></SPAN>&nbsp;</P><P><SPAN justify TEXT-ALIGN: 21px; LINE-HEIGHT: black; COLOR: 10pt; FONT-SIZE: bold;><FONT face=굴림><B>■ 단감 개화상태 양호</B></FONT></SPAN><SPAN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justify TEXT-ALIGN: 21px; LINE-HEIGHT: black; COLOR: 10pt;><FONT face=굴림>단감의 전반적인 개화상황은 지난해 및 평년보다 좋은 것으로 나타남. 꽃수가 지난해보다 많고, 꽃눈도 수체저장양분 축적이 잘되어 충실한 것으로 나타남. 개화시기는 지난해보다 2~3일 정도 늦은 것으로 나타남.</FONT></SPAN><SPAN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10pt></SPAN>&nbsp;</P><P><SPAN justify TEXT-ALIGN: 21px; LINE-HEIGHT: black; COLOR: 10pt; FONT-SIZE: bold;><FONT face=굴림><B>■ 포도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4% 감소할 전망</B></FONT></SPAN><SPAN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justify TEXT-ALIGN: 21px; LINE-HEIGHT: black; COLOR: 10pt;><FONT face=굴림>포도 성목면적은 지난해보다 6% 감소하고 단수는&nbsp; 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생산량은 4% 감소한 35만톤 수준 전망. 6월 포도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4% 감소하지만 7월 포도 출하량은 6% 증가할 전망. 6~7월에 출하될 하우스포도 품질은 양호할 듯.</FONT></SPAN><SPAN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10pt></SPAN>&nbsp;</P><P><SPAN justify TEXT-ALIGN: 21px; LINE-HEIGHT: black; COLOR: 10pt; FONT-SIZE: bold;><FONT face=굴림><B>■ 복숭아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2% 증가할 전망</B></FONT></SPAN><SPAN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justify TEXT-ALIGN: 21px; LINE-HEIGHT: black; COLOR: 10pt;><FONT face=굴림>복숭아 성목면적은 지난해와 비슷하지만 단수는 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생산량은 2% 증가한 20만톤 수준 전망. 개화시기가 늦어지면서 조생종 복숭아 출하시기도 늦어져 6월 출하량은 14% 감소하는 반면, 7월 출하량은 2% 증가할 전망. </FONT></SPAN></P><P><SPAN justify TEXT-ALIGN: 21px; LINE-HEIGHT: black; COLOR: 10pt;></SPAN>&nbsp;</P><P><SPAN justify TEXT-ALIGN: 21px; LINE-HEIGHT: black; COLOR: 10pt;></SPAN>&nbsp;</P><P align=right><SPAN justify TEXT-ALIGN: 21px; LINE-HEIGHT: black; COLOR: 10pt;>- 2005. 6. 13. 농업관측정보센터 - </SPAN></P><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1239

제3차 한·미 BSE 전문가 회의결과첨부파일 있음

2,250
1238

조류 독감 하루에 검사할 수 있는 방법 개발

2,314
1237

2005.6.14(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2,244
1236

北 전지역 모내기 완료

2,135
1235

"단감·포도 껍질째 먹으면 항암효과 극대화 돼"

2,563
1234

[감자혁명의 의미] 우리 농업에 쏟아진 ‘단비’

2,252
1233

2005년 7월 과일관측월보

2,061
1232

2005년 7월 과채관측월보

2,110
1231

‘유기농 계란’ 시대 열렸다

2,171
1230

과수원 표층 시비체계를 환경친화적인 관비체계로 전환

2,340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