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2005.6.20(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5-06-20 | 조회수 | 2154 |
<P>1. 농산물 </P><P>가격지수 : 101.54 전일대비 +4.59<BR>동 향 : 농산물은 주말의 따뜻한 기후 조건으로 작황이 호전되었고 이틀 작업등 주초 월요일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가격은 소폭 오름세 형성. 배추, 무 등은 매기가 활발하고 반입량 감소로 상승폭이 큰 품목으로 거래되었으며, 양상추, 애호박 등은 하락폭이 큰 품목으로 거래되었음. 풋옥수수는 상품 가격이 상승하였으며 찰옥수수 반입으로 중.하품은 하락세에 거래됨.</P><P>◈ 고구마 감자류 <BR>가격지수 : 109.27 전일대비 +3.11<BR>동 향 : </P><P>◈ 잎채소류 <BR>가격지수 : 89.19 전일대비 +6.65<BR>동 향 : 배추는 금일 반입량은 845톤으로 전일대비 33% 증가하였슴. 봄배추(5톤 트럭 기준) 출하지역은 영월 65%, 군위 10%, 청원 5%, 기타 20%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20%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32%하락한 154만5천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영월군 80~190만원, 경북 군위군 66~80만원, 충북 청원군 100~138만원이었슴. 1.전체동향-금일 물량은 월요일장에 비하면 소폭 증가하였으나 거래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시세는 주말장보다 상승세를 나타냈슴. 2.산지동향-중남부 지방 물건이 눈에 띄게 줄면서 강원도 준고랭지 배추가 출하량이 더욱 늘어 영월 배추가 65% 이상을 점유하였으며 익일부터는 횡성, 둔내, 안흥, 평창, 방림에서 출하가 시작되어 반입물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3.소비지동향-이번 주부터 장마가 예고되면서 김장김치 수요가 늘어 주문량이 증가함으로써 김치공장과 외부시장 반출이 14대가 되었으며 거래도 매우 활발하였음.<BR><BR>- 양배추 : 금일 반입량은 183톤으로 전일대비 20%감소함. 금일 총출하물량중 출하지역별 반입비율은 진도 45%, 서산 37%, 영광 8%, 기타 18%였고, 전체 평균가격은 상품기준 전일대비 139%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27%상승한 4,300원이었슴. 출하지역별로는 전남 진도군 1450~4600원, 충남 서산시 1900~4700원, 전남 영광군 1500~3800원이었슴. 1.전체 동향-전주말 활발한 소비로 시장내 잔품 정리되었고 반입량도 전주말보다 20%감소, 평상시 월요일 물량보다는 절반까지 급감하였으며, 금주 장마가 예고되면서 소비 수요가 증가하면서 금일 시세는 대폭(139%) 상승하였음. 2.산지 동향-김해와 진도산 그 외지역인 영광, 해남에서 마무리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서산산이 본격 출하됨. 3. 소비지 동향-현재 시장내 원활한 소비로 재고량이 감소하고 출하물량도현저히 감소하여 구매의욕이 활발함<BR><BR>- 기타 잎채소류중 상추는 금일 반입량이 94톤으로 전일 대비17% 가량 증가하여 반입되었음. 주초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시세는 하락세를 보였음. 주말 반입량이 평상시 주말물량에 비해서 적게 반입되면서 목요일 부터 형성된 상승세가 연장되면서 큰폭의 시세 상승을 보였으나, 주초 휴일작업량이 증가하면서 큰폭으로 하락하였음. 특히 물량이 많았던 적상추의 하락율이 가장 컸으며, 물량이 적은 청상추의 하락율은 적포기나 적상추에 비해 하락율이 적었음. 전주 일기 불순과 저단가로 인해 산지 작업량이 감소하면서 큰폭의 시세상승을 보였으나 기상여건이 양호해지고 최근의 시세가 평년가격을 회복하는등 출하여건이 양호해지면서 출하량은 증가할것으로 예상되며, 시세는 주중에 하락하였다가 주말경에는 상승하는 양상을 보일것으로 예상됨.깻잎은 반입량이 60톤으로 전일대비 9%가량 증가하여 반입되었음. 반입량은 증가하였으나 주말 물량공백으로 인한 주초 수요 증가로 인해 시세는 보합세를 보였고. 아직까지 충남 금산지역의 애벌물량이 출하되면서 고온에 약한 물량으로 인해 시세는 바닥권을 형성하고 있음. 시금치는 68톤이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7%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 주말 물량 증가로 인해 하락하였던 시금치는 주초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물량 공백으로 인한 주초 수요와 주초 급식업체 및 납품업체의 주문이 증가하면서 시세는 큰폭으로 상승하였음. 기온이 상승하면서 시금치 반입량은 점차 감소할것으로 예상되며, 시세는 물량 감소로 인해 상승세를 지속할것으로 예상됨.<BR></P><P>◈ 열매채소류 <BR>가격지수 : 84.88 전일대비 -2.60<BR>동 향 : 오이는 전체적으로 809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43%증가하였고, *백다다기 100개기준 출하지역은 춘천 29%, 천안 16%, 아산 13%, 기타 41%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3%하락,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19%하락한 14,00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춘천시 1000~17000원, 충남 천안시 2000~19000원, 충남 아산시 2000~9000원이었슴. *취청 20kg상자 출하지역은 구례 40%, 순천 26%, 강진 12%, 기타 22%였고, 상품 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1%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10% 상승한 19,75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전남 구례군 20001~6000원, 전남 순천시1500~27000원, 전남 강진군 2000~30000원이었슴. 홍천, 화천지역에서 새오이가 출하되기 시작하면서 물량이 증가하였고, 경기 침체가 심화되면서 소비가 부진하여 시세는 약보합세를 나타냈슴. 향후 주산지에서 성출하기로 접어들면서 물량이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여름방학, 휴가 등 소비 감소요인이 겹치면서 약보합세를 나타낼 전망이다.<BR><BR>- 호박 : 전체적으로 349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59% 증가하였슴. *애호박 20개기준 출하지역은 평택 17%, 청원 16%, 춘천 12%, 기타 55%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12%하락,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5%상승한 7,50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경기 평택시 1000~7000원, 충북 청원군1000~10000원, 강원 춘천시 1000~11500원이었슴. *츄키니 10kg상자 출하지역은 여주 29%, 이천 18%, 춘천 11%, 기타 41%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30%상승, 표준가격(5개년평균)대비 22%하락한 3,25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경기 여주군1000~16000원, 경기 이천시 500~27000원, 강원 춘천시 1000~30000원이었슴. 애호박은 충북,경기,강원 지역에서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물량이 증가하였으나, 애호박은 경기침체로 인해 소비가 부진하면서 하락세 형성, 츄키니는 요식업체 수요가 증가하면서 상승세를 형성함. 향후 여름방학, 휴가등 소비 감소요인이 있고, 물량은 주산지에서 증가할 것으로 보여 약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P><P>◈ 뿌리채소류 <BR>가격지수 : 120.76 전일대비 +34.20<BR>동 향 : 무는 금일 반입량은 311톤으로 전일 대비 20%감소하였슴. *봄무(5ton트럭) 출하지역은 태안 25%, 고창 19%, 무안 17%, 기타 39%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142%상승, 표준가격(5개년평균)대비 16%상승한 266만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충남 태안군 215~325만원, 전북 고창군143~207만원, 전남 무안군 157~310만원이었슴. *저장무(18kgPE대) 출하지역은 남제주 89%, 밀양 11%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88%상승, 표준가격(5개년평균) 대비 93%상승한 5,450원이고, 출하지역별로는 제주 남제주군 2700~6200원, 경남 밀양시 2200~3700원이었슴. 1.전체동향-금일 물량은 전주말 물량보다도 20%감소하였고, 평상시 월요일에 비해서는 절반으로 급감하였고, 금주에 장마가 예고되면서 소비 수요가 증가하였으며, 전주말 가격이 110만원으로 최저시세를 이어가면서 산지에서 출하기피 현상이 나타났으며, 제주 저장무 물량 완전 소진으로 인한 출하량 감소로 금일 시세는 142%에 가까운 폭등세를 나타냈슴. 금일 시세 상승은 물량 감소에 의한 일시적인 상승으로 보이지만 전주에 우천등으로 인한 웃자람 현상으로 상품성 하락한 물량이 다수 출하되어, 금주에는 산지 출하대기물량이 그리 많지 않은 것으로 전망되면서 150만원대 가격이 전망됨. 2. 산지동향-시세 하락으로 인해 산지 일부 작업 포기 및 출하 기피로 출하량이 크게 감소하고 시장 잔품은 소진되어 큰폭의 가격상승으로 이어졌음. 물량 감소에 의한 일시적인 시세 상승으로 산지 작업량 증가가 예상됨. 3. 소비지 동향-반입물량 대폭 감소로 인한 시장내 재고량 감소와 중도매인 구매력 매우 활발하여 현재 시장내 소비는 매우 활발한 상태임.</P><P>◈ 양념 채소류 <BR>가격지수 : 102.38 전일대비 +10.96<BR>동 향 : </P><P>◈ 서양 채소류 <BR>가격지수 : 91.04 전일대비 -6.34<BR>동 향 : 피망은 62톤이 반입되면서 전일 대비 10%가량 증가하여 반입되었음. 반입량이 증가하였지만, 주말 재고 물량이 소진되면서 시세는 상승세 거래되었고, 양상추는 47톤이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6%가량 증가하여 반입되면서 시세는 큰폭으로 하락하였음. 주말 반입물량이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소비부진으로 인해 매기 형성이 더디고 고온으로 인해 상품의 부패속도가 빨라지면서 품질 저하로 인해 시세 상승이 어려워 지고 있음. 브로콜리와 칼리플라워도 물량 증가로 인해 소폭 하락세 거래되었고, 치커리도 물량 증가와 재고 누적으로 하락세 거래되었음. 서양채소류중 상승한 품목은 파세리와 비타민이었고 케일, 셀러리, 비트등은 보합세에 거래되었음.<BR></P><P>◈ 버섯류 <BR>가격지수 : 86.60 전일대비 -0.98<BR>동 향 : </P><P>2. 수산물 </P><P>가격지수 : 106.84로 전일대비 -1.14<BR>동 향 : 수산물은 조개류와 연체류 물량이 증가하면서 주초 거래부진으로 하락세 형성. 생선류는 수입생태, 임연수어, 가자미, 고등어가 반입량 증가로 하락세 거래. 조개류는 바지락, 홍합 물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판매부진에 따른 재고누적으로 시세 하락. 연체류는 물오징어는 반입량 증가로 하락세인 반면, 미더덕, 오만둥이, 쭈꾸미, 멍게는 판매호조로 상승세 거래. </P><P>◈ 생선류 <BR>가격지수 : 87.39로 전일대비 -1.04<BR>동 향 : 고등어는 부산산 생물반입량이 소폭 증가하였고 지난주말 재고가 많아 매수세가 약화되면서 약세 형성. 수입생태는 일본산 물량이 크게 늘었고 체장이 작은 소형품 위주로 판매되면서 하락세 거래. 갈치는 제주산 물량이 늘면서 중품 위주로 하락세를 보인 반면, 일본산 수입갈치는 물량이 늘었으나 선도가 좋아 판매가 활발하면서 보합세 거래. 꽁치는 속초, 동해산 출하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선도가 떨어져 하락세 거래. 속초산 임연수어는 체장이 작아 판매가 부진하면서 하락세로 거래되었고 여수산 삼치는 물량이 늘면서 약세 형성. 병어는 목포산 물량이 줄었고 여수산이 소량 반입되면서 오름세 거래. 활어류는 참숭어, 자연산 광어, 농어 반입량 감소로 상승세를 보였고 양식 광어, 감숭어는 판매부진으로 시세 하락. </P><P>◈ 조개류 <BR>가격지수 : 120.36로 전일대비 -6.13<BR>동 향 : 지난주 토요일 상승세를 보였던 조개류는 금일 입하량 증가로 내림세에 거래됨. 충무산 굴 반입량은 소폭 상승하고 씨알이 굵은 물량이 거래되면서 약보합세를 보임. 국내산 바지락은 북한산 바지락 입하량 증가와 사리철이 다가오면서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에 거래되었음. 고흥, 벌교산 새꼬막은 반입량이 비슷하였으나 씨알이 커 강보합세를 보임. 삼천포,남해안산 깐바지락은 문어바지락 조업부진에 따라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고 매수세가 강세를 보여 시세는 큰 폭으로 상승함. 깐홍합은 주말 재고 소진과 입하량 감소로 오름세에 거래됨. 소라(피뿔고동)는 주초 매수세 활발로 강보합세에 거래됨. </P><P>◈ 연체류 <BR>가격지수 : 108.63로 전일대비 -0.45<BR>동 향 : 연체류 입하량 증가로 약보합세에 거래됨. 중국산 수입낙지 입하량은 토요일대비 소폭 증가하여 약보합세를 보임. 삼척, 거진, 속초산 물어징어는 동해안 수온이 꾸준히 16℃~17℃를 분포하고 있어 어획량이 증가되면서 가락시장 반입량이 소폭 증가하고, 중?소형품위주로 반입되면서 시세는 다소 내림세를 보임. 포항산 멍게는 지난주 토요일 씨알이 작고, 선도가 떨어지는 물량이 대거 반입되어 내림세를 보였으나 금일에는 상품위주로 거래되면서 큰 폭의 오름세를 보임. 미더덕은 입하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주말 재고소진과 크기가 작은 상품위주로 입하되면서 매수세가 강세를 보이며 시세는 오름세를 보임. </P><P> </P><P>◆ 채소과일류<BR>가격지수 : 88.68 -6.01P<BR>동 향 : 채소과일류는 1,502톤 반입되어 전일 1,255톤 대비 20% 출하량 증가함. 품목별로는 수박과 참외 토마토 등 전품목이 주초를 맞아 출하량이 증가하였음. 도매시세는 수박, 토마토, 메론이 출하량 증가한 반면 주초 수요가 평소에 미치치 못하면서 내림세에 거래됨. <BR>토마토는 가격하락에 따른 매스컴 보도로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나, 전주말 대부분 유통업체에서 할인행사가 끝나면서 주초장은 약세로 출발함. 금주 강원 춘천지역의 한물출하가 예상됨. 참외는 산지 생산량 감소추세로 금일 출하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보합세를 유지함. 메론은 8kg 상자 출하량이 증가추세에 있으며 담양과 곡성 및 진주지역 물량 증가세임.<BR><BR></P><P align=right>- 2005. 6. 20.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P><BR><BR>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1259 | 2,625 | ||
1258 | 2,096 | ||
1257 | 2,154 | ||
1256 | 2,405 | ||
1255 | 4,148 | ||
1254 | 2,286 | ||
1253 | 2,067 | ||
1252 | 2,157 | ||
1251 | 2,191 | ||
1250 | 2,0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