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주간농사정보(제25호)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06-20 조회수 2625
<P>6월의 주요 실천 농작업 <BR>◈ 적기 모내기 실천 ◈ 벼 물바구미. 잎도열병중점방제 <BR>◈ 콩, 고구마 등 서둘러 심기 ◈ 고추 받침대 설치 및 포장관리 <BR>◈ 적기보리 수확 ◈ 마늘, 양파 가뭄 포장 관수 <BR>◈ 과수 적기 열매솎기 ◈ 소 부루세라병과 결핵병 예방 <BR>◈ 느타리버섯 환경관리 ◈ 가축 여름철 일사병과 열사병 예방 <BR>◈ 이앙기 사용전.후 점검 정비</P><P>&nbsp;</P><P>☞ 이번 주간에 실천 할 농작업 <BR></P><P>1. 벼농사 <BR>가. 2모작 모내기 <BR>○ 보리, 양파 마늘 수박 등 채소 뒷그루 2모작에서는 모내는 시기가 쌀 수량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가급적 일찍 모내기를 마치도록 한다. <BR>○ 2모작 모를 낼 때는 3.3㎡(평)당 80~90포기 정도 심겨지도록 이앙기계 식부장치를 조정하여 충분한 유효줄기수가 빨리 확보되도록 한다. <BR>○ 물이 부족하여 모내기가 늦어지고 있는 못자리는 모가 빨리 노화되지 않도록 하고, 거름기가 모자라는 모판은 물 비료를 주도록 한다. <BR><BR>나. 본 논 관리 <BR>○ 새끼칠 거름을 많이 준 논은 웃자랄 우려가 있으므로 무성하게 자란 논이나 직파재배 논은 과감한 중간물떼기를 실시하여 헛새끼가 치는 것을 막아 주고, 벼뿌리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토록 한다. <BR>○ 직파재배 등 늦게까지 잡초 발생이 많은 논은 발생 정도에 따라 적용 잡초약을 선택하여 다시 한번 방제토록 한다. <BR>○ 장마철에 대비하여 하천 제방, 수로, 논두렁 등을 미리 점검하여 무너질 우려가 있을 때는 미리 보수하고, 수로의 잡초도 모두 베어주며, 물꼬를 넓게 만들어 집중 호우 때 물이 잘 빠지도록 해준다. <BR><BR>다. 거름주기 <BR>○ 새끼칠 거름은 모를 낸 후 12~14일경에 10a당 요소로 2㎏정도 주도록 하되, 새끼칠 거름을 너무 많이 주거나 늦게 주게 되면 벼가 웃자라 도열병 등 병해충 발생이 많아지고 쓰러지기 쉬우므로 알맞은 양만 제때에 주도록 한다. <BR>○ 2모작 논에서 앞작물의 거름기가 많이 남아 있는 점을 감안하여 거름주는 양을 줄여 주도록 하되, 특히 늦게 모를 내는 논은 밑거름 기준량에 새끼칠 거름까지 포함되어 있으므로 새끼칠 거름은 주지 말도록 한다. <BR><BR>라. 병해충 방제 <BR>○ 현재 벼물바구미는 알에서 부화된 유충이 벼 뿌리를 갉아먹기 시작하는 단계이므로 아직까지 방제를 하지 못한 논은 서둘러 적용 약제로 방제토록 한다. <BR>○ 장마철을 대비하여 남부 지방에서 벼 도열병에 약한 동안벼 대산벼 일미벼 남평벼 등을 재배하는 농가나 장마 이전에 약효 지속 기간이 긴 침투이행성 약제로 방제토록 한다. <BR><BR>2. 밭작물 <BR>○ 보리 2모작으로 심는 콩·참깨 등 밭작물은 보리 수확 즉시 서둘러 파종을 마치도록 해야 하는데, 파종량과 거름의 양을 1모작보다 20~30%정도 더 주도록 한다. <BR>○ 참깨는 병이 발생되기 전에 예방 위주로 방제를 해야 하는데, 장마에 대비하여 1모작 참깨는 돌림병, 시들음병, 잎마름병 위주로 방제가 되도록 하고, 동시에 방제할 수 있는 적용 약제를 선택하여 10일 간격으로 3~4회 정도 뿌려 주도록 한다. <BR>○ 콩은 잎이 2~3개 되었을 때 김매기를 겸하여 떡잎 부분까지 북을 주도록 하고, 잡초가 많은 포장에서는 생육 중에 사용할 수 있는 잡초약을 뿌려 김매는 노력을 줄이도록 한다. <BR></P><P>3. 채 소 <BR>가. 고추 및 수박포장 관리 <BR>○ 고추밭 웃거름은 한달 간격으로 제때에 주되 너무 많이 주면 병해충 발생이 늘어나게 되므로 생육상태에 따라 양을 조절해 준다. <BR>○ 수박은 세력이 너무 강하여 웃자라면 열매가 잘 달리지 않으므로 웃거름은 초세를 보아 가며 1~2회에 나누어 알맞은 양을 주도록 한다. <BR><BR>나. 고랭지 무·배추 <BR>○ 지역별 적정면적 재배와 안정생산이 될 수 있도록 나누어서 파종토록 하고 무는 높은이랑 재배, 배추는 육묘 이식재배로 습해 등 재해를 예방하도록 한다. <BR>○ 지난해 무사마귀병이 발생했던 포장은 정식 전에 적용약제로 침지처리나 토양혼화처리하고 돌려짓기, 높은이랑 재배, 석회시용, 농기계소독 등을 실시하여 피해를 줄이도록 한다. <BR><BR>다. 시설재배 <BR>○ 하우스 내의 습도가 높고 통풍이 불량하면 포자 발생이 증가하여 방제를 소홀히 할 경우 피해가 우려되므로 발병초기에 약액이 작물에 충분히 묻도록 방제한다. <BR>○ 하우스의 통풍과 환기, 온습도관리 등 환경관리를 철저히 한다. <BR><BR>4. 과 수 <BR>○ 사과 점무늬낙엽병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홍로 등 감수성 품종을 재배하는 농가와 일부 농가에서는 점무늬낙엽병의 진전에 따른 잎의 황화와 낙엽이 발생하고 있으니 방제에 유의하도록 한다. <BR>○ 장마철이 다가옴에 따라 겹무늬썩음병 및 갈색무늬병(사과), 노균병 및 갈색무늬병(포도), 세균성구멍병 및 잿빛곰팡이병(복숭아) 등 예찰 및 방제에 유의하도록 한다. <BR>○ 무성하게 웃자란 가지는 나무 내부에 그늘을 만들고, 통풍을 불량하게 하여 꽃눈의 발달을 나쁘게 하며 병해충의 발생을 조장하게 되므로 웃자란 가지 등은 알맞게 솎아준다 <BR>○ 우박피해가 발생한 과원에서는 피해 정도에 따라 열매솎기를 해주어야하는데 피해가 심한 경우에는 모두 적과하고 중정도는 30~50%, 피해가 경미한 경우에는 정상 관리하도록 하고, 과실이나 잎 등으로 제2차 병원균 감염 방지를 위하여 종합 살균제를 살포하도록 한다. <BR>○ 과원에 무성하게 자라는 풀을 방치하면 광합성과 통풍을 저해하므로 30~40㎝ 정도 자라면 깎아주고, 배수로 등을 정비하여 준다. <BR><BR><BR>5. 화 훼 <BR>○ 국화, 카네이션, 안개초 등 숙근 화훼류는 그물망 치기, 순지르기 등의 작업을 해 주도록 한다. <BR>○ 9월에 출하할 국화는 고온으로 인한 피해가 생기지 않도록 관리한다. <BR>○ 아이리스, 글라디올러스 등 구근 화훼류는 잎이 노랗게 변하는 시기에 수확하여 선별한 다음 저온저장 한다. <BR>○ 수출용 백합은 칼슘제를 처리하여 줄기의 강도를 높이도록 하고, 노지에 재배 중인 화훼류는 진딧물, 응애류 등 병해충 방제를 철저히 해 주도록 한다. <BR><BR>6. 특용작물 <BR>가. 느타리버섯과 약초 <BR>○ 여름철 느타리버섯은 환기 및 온·습도 관리가 나쁘면 기형버섯이 발생하여 상품성을 떨어지게 하므로 버섯의 균상이 마르지 않는 범위에서 80~85%의 공중습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품종별 특성에 알맞은 환경으로 관리하여 품질이 좋은 버섯을 생산하도록 한다. <BR>○ 또한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버섯배지의 손상이 빨리 오게 되므로 버섯발생 주기별 환경관리와 병해충 예방을 위한 관리를 철저히 한다. <BR>○ 인삼밭은 장마에 대비 배수로를 정비하여 물이 잘 빠지도록 해주고, 해가림시설을 점검 보수하여 집중누수가 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병해충을 방제 할 때는 반드시 적용약제를 선택하고 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한다. <BR><BR>나. 장마철 뽕밭관리 <BR>○ 장마기간에는 빗물에 의한 토양유실이 많이 되므로 경사지의 뽕밭은 짚이나 산야초, 비닐 등을 덮어 주고 여름비료 주기는 6월중에 마친다. <BR><BR>7. 축 산 <BR>가. 가축 사양관리 <BR>○ 점차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소는 식욕이 떨어지므로 가능한 양질의 조사료를 짧게 잘라 급여횟수를 늘리도록 하고 농후사료는 아침·저녁으로 선선할 때 급여하고 사료량을 늘려 주도록 한다. <BR>○ 우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젖소를 잘 관리하고 깨끗한 목장을 만들어 주어야 하는데, 젖소의 아랫배 부분이나 유방 주위의 긴 털은 수시로 제거하고 오물을 깨끗하게 씻어 주도록 한다. <BR>○ 번식용 수퇘지는 고온에 의한 피해가 크므로 기온이 높은 한낮에는 돈사에 안개 분무기나 팬 등을 작동시켜 주도록 하고, 교배는 아침 일찍이 나 저녁 늦게 실시하도록 한다. <BR><BR>나. 초지 사료작물관리 <BR>○ 초지는 남은 목초를 베어 주고 소똥은 주위에 고루 뿌려 주어 목초가 균일하게 자라도록 하며, 낮은 지대의 초지는 장마에 대비하여 배수구를 정비하도록 한다. <BR>○ 잎이 9~10개 정도 나온 옥수수는 2차 웃거름을 주도록 하되, 비료를 줄 때는 이슬이나 물기가 없을 때 옥수수 포기에서 10㎝ 정도 떨어진 곳에 주도록 한다. <BR>○ 초지나 옥수수 밭에 멸강나방이 발생하면 큰 피해를 주게 되므로 수시로 관찰을 하여 애벌레가 발견되면 서둘러 방제한다. <BR><BR>다. 가축 위생관리 <BR>○ 낮 기온상승에 따른 고온스트레스로 인한 열사병 예방을 위해서는 축사 벽·지붕의 단열재를 점검하여 보수하고 축사주위와 운동장에 그늘막을 설치하고 환풍기 등을 이용하여 시원한 바람을 불어준다. <BR>○ 장마기간에 축사는 충분한 통풍과 환기를 시키고 분뇨를 제거하여 알맞은 습도를 유지하고 유해가스를 줄여 주어야 한다. <BR>○ 여름철 축사를 소독할 때는 소독약의 효력 작용시간(10~30분)과 희석 가능여부 등을 고려하여 비 오기 전에 소독을 완료하되, 비가 올 때에는 축사내부를 중점적으로 소독하고 비가 그친 후에는 축사안팎과 분뇨처리장 주변소독을 실시한다. <BR>○ 구제역 및 돼지콜레라 재발방지를 위하여 수요일(6월 22일) 전국일제소독의 날에 맞추어 축사안팎을 철저히 소독하고, 평상시에도 외부인이 축사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통로를 차단하고 매일 가축을 관찰하여 질병이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즉시 방역당국(1588-4060)에 신고해야 한다. <BR>○ 소 부루세라병과 결핵병 및 광견병 예방을 위하여 쥐나 새 등 야생동물의 축사 출입을 차단하고 정기적으로 페놀, 가성소다 등 소독제로 축사 주위를 자주 소독하고 혈청검사를 받아 감염된 소가 발견될 경우에는 즉시 조치를 취해야 한다. <BR>○ 닭 뉴캣슬병과 가금티푸스 등 예방을 위하여 양계장 출입자와 차량 및 야생조수에 대해 차단방역을 하고 예방프로그램에 따라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 <BR>○ 가축분뇨 퇴비장은 적량의 수분조절재를 혼합하여 발효시키고 액비 저장탱크는 폭기와 교반을 잘하여 완전히 부숙시켜 악취와 유해성분이 제거된 액비를 작물에 이용하도록 한다.</P><P><!--StartFragment--></P><P style="FONT-SIZE: 10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컴바탕';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6pt; FONT-FAMILY: '한컴바탕';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A name=#77a9e5be></A></SPAN><TABLE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BORDER-TOP: medium none; BORDER-LEFT: medium none; BORDER-BOTTOM: medium none; BORDER-COLLAPSE: collapse" height=145 cellSpacing=0 cellPadding=1 width=474 border=1><TBODY><TR><TD style="BORDER-RIGHT: #000000 0.425pt solid; BORDER-TOP: #000000 0.425pt solid; BORDER-LEFT: #000000 0.425pt solid; BORDER-BOTTOM: #000000 0.425pt solid" vAlign=center width=474 colSpan=4 height=54><P style="FONT-SIZE: 10pt; MARGIN: 0pt 0pt 0pt 28.08pt; COLOR: #008000; TEXT-INDENT: -28.08pt; LINE-HEIGHT: 160%; FONT-FAMILY: 'HY견고딕'; LETTER-SPACING: 2.3pt; 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008000; LINE-HEIGHT: 16pt; FONT-FAMILY: 'HY견고딕'; LETTER-SPACING: 2.3pt; TEXT-ALIGN: center; TEXT-DECORATION: underline">5월말??6월의 기상 예보</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008000; LINE-HEIGHT: 16pt; FONT-FAMILY: 'HY견고딕'; LETTER-SPACING: -1pt; TEXT-ALIGN: center; TEXT-DECORATION: underline">(기상청 발표)</SPAN> <P style="FONT-SIZE: 10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30%; FONT-FAMILY: '바탕';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3pt; FONT-FAMILY: '바탕';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SPAN><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3pt; FONT-FAMILY: '바탕';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 </SPAN><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06월 03일~06월 07일 기상전망 : </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기압골의 영향으로 흐리고 비가오겠으며, 그 밖의 날은 대체로 맑겠음. 기온은 평년(최저기온: 9~17도, 최고기온: 20~28도)과 비슷하거난 후반에는 조금 높겠음.강수량은 평년(10~26mm)보다 적겠음. </SPAN></P></TD></TR><TR><TD style="BORDER-RIGHT: #000000 1.417pt double; BORDER-TOP: #000000 1.417pt double; BORDER-LEFT: #000000 1.417pt double; BORDER-BOTTOM: #000000 1.417pt double" vAlign=center width=76 height=12><P style="FONT-SIZE: 10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30%; FONT-FAMILY: '굴림'; 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center">순별</SPAN><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3pt; FONT-FAMILY: '바탕'; LETTER-SPACING: 0pt; TEXT-ALIGN: center"></SPAN></P></TD><TD style="BORDER-RIGHT: #000000 0.425pt solid; BORDER-TOP: #000000 1.417pt double; BORDER-LEFT: #000000 1.417pt double; BORDER-BOTTOM: #000000 1.417pt double" vAlign=center width=127 height=12><P style="FONT-SIZE: 10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30%; FONT-FAMILY: '굴림'; 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center">날&nbsp;&nbsp;&nbsp;&nbsp; 씨</SPAN></P></TD><TD style="BORDER-RIGHT: #000000 0.425pt solid; BORDER-TOP: #000000 1.417pt double; BORDER-LEFT: #000000 0.425pt solid; BORDER-BOTTOM: #000000 1.417pt double" vAlign=center width=152 height=12><P style="FONT-SIZE: 10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30%; FONT-FAMILY: '굴림'; 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center">기&nbsp;&nbsp;&nbsp;&nbsp; 온</SPAN></P></TD><TD style="BORDER-RIGHT: #000000 1.417pt double; BORDER-TOP: #000000 1.417pt double; BORDER-LEFT: #000000 0.425pt solid; BORDER-BOTTOM: #000000 1.417pt double" vAlign=center width=118 height=12><P style="FONT-SIZE: 10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30%; FONT-FAMILY: '굴림'; 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center">강 수 량</SPAN></P></TD></TR><TR><TD style="BORDER-RIGHT: #000000 1.417pt double; BORDER-TOP: #000000 0.425pt solid; BORDER-LEFT: #000000 1.417pt double; BORDER-BOTTOM: #000000 0.425pt solid" vAlign=center width=76 height=25><P style="FONT-SIZE: 10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30%; FONT-FAMILY: '굴림'; 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center">6월상순</SPAN></P></TD><TD style="BORDER-RIGHT: #000000 0.425pt solid; BORDER-TOP: #000000 0.425pt solid; BORDER-LEFT: #000000 0.425pt solid; BORDER-BOTTOM: #000000 0.425pt solid" vAlign=center width=127 bgColor=#ffffff height=25><P style="FONT-SIZE: 10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20%; FONT-FAMILY: '굴림'; TEXT-ALIGN: left"><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2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left">맑은 날이 많겠음.</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2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left"></SPAN></P></TD><TD style="BORDER-RIGHT: #000000 0.425pt solid; BORDER-TOP: #000000 0.425pt solid; BORDER-LEFT: #000000 0.425pt solid; BORDER-BOTTOM: #000000 0.425pt solid" vAlign=center width=152 bgColor=#ffffff height=25><P style="FONT-SIZE: 10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20%; FONT-FAMILY: '굴림'; TEXT-ALIGN: left"><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2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left">평년(평균기온 15~22℃)보다 높겠음.</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2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left"></SPAN></P></TD><TD style="BORDER-RIGHT: #000000 0.425pt solid; BORDER-TOP: #000000 0.425pt solid; BORDER-LEFT: #000000 0.425pt solid; BORDER-BOTTOM: #000000 0.425pt solid" vAlign=center width=118 bgColor=#ffffff height=25><P style="FONT-SIZE: 10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30%; FONT-FAMILY: '굴림'; TEXT-ALIGN: left"><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left">평년(28~83㎜)과 비슷하겠음.</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3pt; FONT-FAMILY: '바탕'; LETTER-SPACING: 0pt; TEXT-ALIGN: left"></SPAN></P></TD></TR><TR><TD style="BORDER-RIGHT: #000000 1.417pt double; BORDER-TOP: #000000 0.425pt solid; BORDER-LEFT: #000000 1.417pt double; BORDER-BOTTOM: #000000 0.425pt solid" vAlign=center width=76 height=25><P style="FONT-SIZE: 10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20%; FONT-FAMILY: '굴림'; 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2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center">6월중순</SPAN></P></TD><TD style="BORDER-RIGHT: #000000 0.425pt solid; BORDER-TOP: #000000 0.425pt solid; BORDER-LEFT: #000000 0.425pt solid; BORDER-BOTTOM: #000000 0.425pt solid" vAlign=center width=127 bgColor=#ffffff height=25><P style="FONT-SIZE: 10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20%; FONT-FAMILY: '굴림'; TEXT-ALIGN: left"><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2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left">맑은 날이 많겠음.</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2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left"></SPAN></P></TD><TD style="BORDER-RIGHT: #000000 0.425pt solid; BORDER-TOP: #000000 0.425pt solid; BORDER-LEFT: #000000 0.425pt solid; BORDER-BOTTOM: #000000 0.425pt solid" vAlign=center width=152 bgColor=#ffffff height=25><P style="FONT-SIZE: 10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20%; FONT-FAMILY: '굴림'; TEXT-ALIGN: left"><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2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left">평년(평균기온 16~23℃)과 비슷하겠음.</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2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left"></SPAN></P></TD><TD style="BORDER-RIGHT: #000000 0.425pt solid; BORDER-TOP: #000000 0.425pt solid; BORDER-LEFT: #000000 0.425pt solid; BORDER-BOTTOM: #000000 0.425pt solid" vAlign=center width=118 bgColor=#ffffff height=25><P style="FONT-SIZE: 10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30%; FONT-FAMILY: '굴림'; TEXT-ALIGN: left"><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left">평년(26~76㎜)과 비슷하겠음.</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3pt; FONT-FAMILY: '바탕'; LETTER-SPACING: 0pt; TEXT-ALIGN: left"></SPAN></P></TD></TR><TR><TD style="BORDER-RIGHT: #000000 1.417pt double; BORDER-TOP: #000000 0.425pt solid; BORDER-LEFT: #000000 1.417pt double; BORDER-BOTTOM: #000000 1.417pt double" vAlign=center width=76 height=25><P style="FONT-SIZE: 10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20%; FONT-FAMILY: '굴림'; 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2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center">6월하순</SPAN></P></TD><TD style="BORDER-RIGHT: #000000 0.425pt solid; BORDER-TOP: #000000 0.425pt solid; BORDER-LEFT: #000000 0.425pt solid; BORDER-BOTTOM: #000000 0.425pt solid" vAlign=center width=127 bgColor=#ffffff height=25><P style="FONT-SIZE: 10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20%; FONT-FAMILY: '굴림'; TEXT-ALIGN: left"><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2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left">구름끼는 날이 많겠음.</SPAN></P></TD><TD style="BORDER-RIGHT: #000000 0.425pt solid; BORDER-TOP: #000000 0.425pt solid; BORDER-LEFT: #000000 0.425pt solid; BORDER-BOTTOM: #000000 0.425pt solid" vAlign=center width=152 bgColor=#ffffff height=25><P style="FONT-SIZE: 10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20%; FONT-FAMILY: '굴림'; TEXT-ALIGN: left"><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2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left">평년(평균기온 17~23℃)과 비슷하겠음.</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2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left"></SPAN></P></TD><TD style="BORDER-RIGHT: #000000 0.425pt solid; BORDER-TOP: #000000 0.425pt solid; BORDER-LEFT: #000000 0.425pt solid; BORDER-BOTTOM: #000000 0.425pt solid" vAlign=center width=118 bgColor=#ffffff height=25><P style="FONT-SIZE: 10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30%; FONT-FAMILY: '굴림'; TEXT-ALIGN: left"><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3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left">평년(48~138㎜)과 비슷하겠음</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3pt; FONT-FAMILY: '바탕'; LETTER-SPACING: 0pt; TEXT-ALIGN: left"></SPAN></P></TD></TR></TBODY></TABLE><SPAN></SPAN></P><P>■ 6~7월 과채류 가격은 출하량 증가로 작년보다 낮을 전망 <BR>6~7월 과채류 출하량은 전반적으로 지난해보다 늘어날 전망. 특히 일반토마토와 애호박의 6~7월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각각 27%, 23% 내외로 증가할 전망. 6~7월 과채류 가격은 출하량 증가로 인해 지난해보다 하락할 것이 예상되나, 수박은 품질이 좋아 6월 가격이 지난해보다 소폭 상승할 전망. <BR>■ 6~7월 수박 출하량은 작년보다 많을 전망 <BR>6~7월 수박 출하면적은 지난해보다 4~5% 많을 전망. 6월 수박 출하량이 지난해보다 4% 많지만 품질이 좋을 것으로 보여 6월 수박 가격은 지난해보다 조금 높을 듯. 7월 수박 가격은 지난해보다 낮을 전망. 6~7월 시설수박 정식면적은 지난해보다 1% 많고, 노지수박 정식면적은 지난해보다 감소할 전망. <BR>■ 6월 참외 가격은 작년보다 낮고, 7월은 높을 전망 <BR>6~7월 참외 출하면적은 지난해보다 조금 감소할 전망. 6월 참외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8% 많을 전망. 7월 출하량은 작황이 매우 좋았던 지난해보다 18% 적을 전망. 6월 참외가격은 지난해보다 낮고, 7월은 높을 듯. 연장재배면적은 지난해보다 감소할 전망. <BR>■ 6월 이후 토마토 가격은 작년보다 낮을 전망 <BR>일반토마토는 출하면적과 단수가 증가하여 6~7월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27%내외 많을 전망. 대체과일의 물량이 지난해보다 많고, 토마토 출하량이 크게 늘어 6~7월 가격은 지난해보다 낮겠음. <BR>6~7월 방울토마토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9%정도 많을 전망. 6~7월 방울토마토 가격은 출하량이 지난해보다 많고, 대체과일 물량도 늘어 지난해보다 낮겠음. <BR>■ 금년 딸기 연평균가격은 작년보다 20% 상승 <BR>금년 딸기 재배면적은 지난해와 비슷하지만 단수가 감소하여 딸기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적었던 것으로 추정됨. 금년 딸기의 도매시장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5%, 평년보다 6% 적었음. 딸기 연평균가격은 지난해보다 20%, 평년보다 34% 높았음. <BR>■ 6~7월 오이 가격은 작년보다 낮을 듯 <BR>6월 오이 출하면적은 유가상승의 영향과 토마토와의 생산 대체로 지난해보다 7% 줄고, 7~8월은 지난해 출하기 가격이 좋아 4%정도 늘 전망. 6월 오이 출하량은 출하면적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단수가 크게 증가하여 지난해보다 5% 많겠고, 7월은 8%정도 많을 것으로 전망. 6~7월 오이 도매가격은 출하량 증가가 예상되어 지난해보다 낮겠음. <BR>■ 6~7월 애호박 출하량은 작년보다 18~29% 많을 듯 <BR>애호박은 지난해 출하기 가격이 높아 6월 출하면적이 지난해보다 4% 증가하고, 7~8월은 11% 늘 전망. 6~7월 애호박 출하량은 저온, 집중호우 피해를 입었던 지난해보다 단수가 크게 늘어 각각 18%, 29% 많겠으며, 이는 평년보다도 조금 많은 양이 될 듯. 6~7월 애호박 가격은 지난해와 평년보다 낮을 전망. 1~5월 쥬키니 출하량은 작년보다 10% 적었음.</P><P>☞ 이달의 농작물 병해충 중점방제기술&nbsp;</P><P style="FONT-SIZE: 10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컴바탕'; TEXT-ALIGN: justify"><TABLE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BORDER-TOP: medium none; BORDER-LEFT: medium none; BORDER-BOTTOM: medium none; BORDER-COLLAPSE: collapse" height=120 cellSpacing=0 cellPadding=1 width=474 border=1><TBODY><TR><TD style="BORDER-RIGHT: #000000 0.425pt solid; BORDER-TOP: #000000 0.425pt solid; BORDER-LEFT: #000000 0.425pt solid; BORDER-BOTTOM: #000000 0.425pt solid" vAlign=center width=474 height=120><P style="FONT-SIZE: 9pt; MARGIN: 2.84pt 10pt 0pt 19.44pt; COLOR: #008000; TEXT-INDENT: -19.44pt; LINE-HEIGHT: 100%; FONT-FAMILY: 'HY견고딕';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9pt; COLOR: #008000; LINE-HEIGHT: 9pt; FONT-FAMILY: 'HY견고딕';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 TEXT-DECORATION: underline">농작물 병해충 발생정보</SPAN><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9pt; COLOR: #008000; LINE-HEIGHT: 9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 TEXT-DECORATION: underline">(제7호:2005.6.16~6.30)</SPAN> <P style="FONT-SIZE: 9pt; MARGIN: 5pt 10pt 0pt 19.44pt; COLOR: #000000; TEXT-INDENT: -19.44pt; LINE-HEIGHT: 100%; FONT-FAMILY: '한양그래픽';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9pt; COLOR: #000000; LINE-HEIGHT: 9pt; FONT-FAMILY: 한양그래픽,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1. 고추 역병 </SPAN><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9pt; COLOR: #000000; LINE-HEIGHT: 9pt; FONT-FAMILY: 한양그래픽,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SPAN><P style="FONT-SIZE: 9pt; MARGIN: 2.84pt 10pt 0pt 19.44pt; COLOR: #000000; TEXT-INDENT: -19.44pt; LINE-HEIGHT: 100%; FONT-FAMILY: '굴림';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9pt; COLOR: #000000; LINE-HEIGHT: 9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nbsp;&nbsp; </SPAN><SPAN style="FONT-SIZE: 9pt; COLOR: #000000; LINE-HEIGHT: 9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09pt; TEXT-ALIGN: justify">고추 역병은 병원균이 물을 통하여 전염되는 병으로 장마기간에 급격히</SPAN><SPAN style="FONT-SIZE: 9pt; COLOR: #000000; LINE-HEIGHT: 9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 발생할 우려가 있습니다. 병이 발생된 후에는 방제가 어렵기 때문에 </SPAN><SPAN style="FONT-SIZE: 9pt; COLOR: #000000; LINE-HEIGHT: 9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09pt; TEXT-ALIGN: justify">물 빠짐이 좋도록 배수로를 정비하고 적용농약으로 방제하기 바랍니다.</SPAN> <P style="FONT-SIZE: 9pt; MARGIN: 7pt 10pt 0pt 23.96pt; COLOR: #000000; TEXT-INDENT: -23.96pt; LINE-HEIGHT: 100%; FONT-FAMILY: '한양그래픽';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9pt; COLOR: #000000; LINE-HEIGHT: 9pt; FONT-FAMILY: 한양그래픽,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2. 벼물바구미 등 본논 초기 해충</SPAN><SPAN style="FONT-SIZE: 9pt; COLOR: #000000; LINE-HEIGHT: 9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SPAN> <P style="FONT-SIZE: 9pt; MARGIN: 0pt 10pt 0pt 19.44pt; COLOR: #000000; TEXT-INDENT: -19.44pt; LINE-HEIGHT: 100%; FONT-FAMILY: '굴림';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9pt; COLOR: #000000; LINE-HEIGHT: 9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nbsp;&nbsp;&nbsp;방제를 하지 못한 논을 중심으로 벼물바구미, 벼잎벌레 등 해충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적용농약으로 방제하기 바랍니다.</SPAN> <P style="FONT-SIZE: 9pt; MARGIN: 7pt 10pt 0pt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00%; FONT-FAMILY: '한양그래픽'; LETTER-SPACING: -0.54pt;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9pt; COLOR: #000000; LINE-HEIGHT: 9pt; FONT-FAMILY: 한양그래픽,한컴돋움; LETTER-SPACING: -0.54pt; TEXT-ALIGN: justify">3. 사과 점무늬낙엽병 등 병해</SPAN><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9pt; COLOR: #000000; LINE-HEIGHT: 9pt; FONT-FAMILY: 한양그래픽,한컴돋움; LETTER-SPACING: -0.72pt; TEXT-ALIGN: justify"> </SPAN><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9pt; COLOR: #000000; LINE-HEIGHT: 9pt; FONT-FAMILY: 한양그래픽,한컴돋움; LETTER-SPACING: -0.72pt; TEXT-ALIGN: justify"></SPAN><P style="FONT-SIZE: 9pt; MARGIN: 2.84pt 10pt 0pt 19.44pt; COLOR: #000000; TEXT-INDENT: -19.44pt; LINE-HEIGHT: 100%; FONT-FAMILY: '굴림';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9pt; COLOR: #000000; LINE-HEIGHT: 9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SPAN><SPAN style="FONT-SIZE: 9pt; COLOR: #000000; LINE-HEIGHT: 9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nbsp;&nbsp;장마기에</SPAN><SPAN style="FONT-SIZE: 9pt; COLOR: #000000; LINE-HEIGHT: 9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09pt; TEXT-ALIGN: justify"> 기온이 높고 비가 자주와 습도가 높을 때는 사과 점무늬낙엽병, 겹무늬썩음병, 갈색무늬병, 포도 노균병, 갈색무늬병, 복숭아세균성구멍병, 잿빛곰팡이병 등이 발생하게 됩니다</SPAN><SPAN style="FONT-SIZE: 9pt; COLOR: #000000; LINE-HEIGHT: 9pt;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09pt; TEXT-ALIGN: justify">.</SPAN><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9pt; COLOR: #333333; LINE-HEIGHT: 9pt; FONT-STYLE: italic; FONT-FAMILY: '굴림';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 </SPAN></P></TD></TR></TBODY></TABLE><SPAN></SPAN></P><P>◈ 식량작물 병해충(예보) <BR>1. 잎도열병 <BR>○ 잎도열병은 모내는 시기가 조금 늦어지고, 질소비료 줄여주기 운동 등으로 큰 흐름에서의 대발생 우려는 적으나 웃거름을 많이 주었거나 병에 잘 걸리는 품종을 재배하는 논을 중심으로 장마가 시작되면 병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BR>○ 장마기를 앞두고 잎색이 짙고 아침 이슬에 벼 잎이 아래로 처져 병 발생이 우려되는 논은 침투이행성 입제나 수화제로 예방하고, 논을 자주 살펴보아 병무늬가 나타나고 있는 논은 초기에 방제하되 비가 개인 틈을 이용하여 방제하기 바랍니다.&nbsp;<!--StartFragment--> </P><P style="FONT-SIZE: 10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컴바탕';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000000; LINE-HEIGHT: 16pt; FONT-FAMILY: '한컴바탕';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A name=#64c14f1c></A><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중고딕'; TEXT-ALIGN: center"><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0000; LINE-HEIGHT: 19.2pt; FONT-FAMILY: 한양중고딕,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center"></SPAN></P></SPAN><P></P><P>2. 벼 줄무늬잎마름병, 벼물바구미 등 본논초기 해충 <BR>○ 줄무늬잎마름병은 애멸구 보독충률이 높았던 경기, 전남북 등 서해안 지역, 경남북 내륙의 병 발생 상습지역에서 발생이 예상되고, <BR>○ 벼물바구미는 발생과 피해는 적을 것으로 예상되나 방제가 소홀한 일부 야산과 인접한 논에서는 알에서 부화된 유충이 벼 뿌리를 갉아먹는 피해가 우려됩니다. <BR>○ 벼잎벌레·굴파리는 중부 및 남부 산간지역을 중심으로 발생되어 벼잎이나 줄기속을 갉아먹는 피해를 주고 있으며, <BR>○ 먹노린재는 충청도지역에서 발생이 많고 벼줄기를 빨아먹는 피해를 주고 있습니다. <BR>○ 방제를 하지 못한 논을 중심으로 지역에서 발생하는 병해충을 동시방제 하되, 가지치기가 끝난 논에서는 논바닥이 실금이 갈 정도로 말리면 벼물바구미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BR>&lt;번데기 및 애벌레&gt;3. 멸강나방 <BR>○ 멸강나방은 중국에서 날아와 발생하는 돌발해충으로 광범위한 발생은 없을 것으로 예상되나, 6월 5일과 10일경에 충남 성환지방에 비래한 해충은 마른 풀잎에 알을 낳고 알에서 부화된 애벌레가 6월 20일경부터는 방제적기에 도달한 크기로 관찰될 것으로 보입니다. <BR>○ 유충 발생초기에는 방제가 잘되나 후기에는 약제에 대한 내성이 생겨 방제효율이 떨어지므로 옥수수밭, 목초지 등을 살펴보아 애벌레 발생 초기에 적용농약으로 방제하기 바랍니다. </P><P><BR>◈ 원예작물 병해충(예보) <IMG height=214 alt="" src="http://www.rda.go.kr/js/wisywig/filemanager/browse/images/25-1.JPG" width=171 align=right border=0><BR><BR>1. 고추 역병, 고추 진딧물, 참깨 역병, 시들음병 <BR>○ 고추와 참깨의 역병은 병원균이 물을 통하여 전염되는데다 병이 발생된 후에는 치료가 어렵습니다. <BR>○ 특히 고추 역병은 매년 이어짓기를 하는 밭과 물 빠짐이 나쁜 밭은 일찍부터 역병이 발생하여 잠재하다가 장마기간에 급격히 늘어나 포기채 말라죽게 됩니다. <BR>○ 지난해 역병 발생이 많았던 지역을 중심으로 장마 이전에 배수로를 정비하여 물 빠짐이 좋도록 하고, 장마기에는 표면의 흙이 식물체에 튀지 않도록 멀칭을 하는 방법도 좋은 경종적인 방제법이 됩니다. <BR>○ 진딧물은 낮 기온이 높고 건조하면 고추의 새순이나 어린잎에 발생하여 바이러스병을 일으키게 됩니다. <BR><BR>○ 참깨의 순과 잎끝부터 시들면서 포기전체가 시들음 증상을 나타내는&nbsp; 참깨 시들음병은 6월 하순에서 7월 상순에 발생이 많습니다. <BR>○ 역병과 시들음병은 비 오기 전후에 예방 위주로 진딧물은 발생초기에 적용농약으로 방제하기 바랍니다. </P><P>&nbsp;</P><P>2. 수박 덩굴마름병, 탄저병, 역병, 균핵병, 장미 흰가루병 등 <BR>&lt;수박 덩굴마름병&gt; ○ 덩굴마름병과 탄저병, 균핵병이 주산지역을 중심으로 발생되고 있어 앞으로 비온 후 기온이 올라가면 역병과 함께 발생하여 피해를 줄 우려가 있습니다. <BR>○ 장마에 대비하여 배수로를 잘 정비하고 비 오기 전에 예방 위주로 적용농약을 뿌려 방제하기 바랍니다. <BR>○ 장미 흰가루병 등 화훼 병해도 그간 가뭄으로 발생이 많으니 적용농약으로 방제하기 바랍니다. <IMG height=386 alt="" src="http://www.rda.go.kr/js/wisywig/filemanager/browse/images/25_2.JPG" width=213 align=right border=0><BR>&lt;배추무사마귀병&gt;3. 고랭지 무·배추 무사마귀병 <BR>○ 뿌리에 크고 작은 혹이 생기면서 지상부가 말라죽게 되는 병으로 준고랭지(표고 400m)의 일찍 심은 배추밭에서 병이 발생되어 점차 높은 지대로 확산되어 많은 면적에 피해가 나타날 우려가 있으니 병든 포기는 뽑아 없애기 바랍니다. <BR>○ 병원균이 물이나 흙을 통하여 옮겨가므로 물 빠짐이 좋도록 하고 병이 발생된 뒤에는 치료가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아직 정식하지 않은 상습지에서는 후론사이드, 혹안나, 후론설파이드 분제를 정식 전 토양 혼화처리 하거나, 정식 전에 트레이묘(플러그묘)를 미리카트(400배액), 탐실(500배액) 액상수화제 희석액이 충분이 흡수되도록 침지 처리하여 정식하거나 미리카트(1,000배액)으로 관주처리 하기 바랍니다. <BR><BR>4. 온실가루이, 담배가루이, 총채벌레 등 해충 <BR>○ 토마토, 파프리카, 고추 등의 과채류에 온실가루이, 담배가루이, 꽃노랑총채벌레 등 해충이 발생되고 있습니다. <BR>○ 이들 해충은 같은 약제를 계속 사용하면 약제저항성이 생겨 방제효과가 낮아지니 농약을 바꾸어 가며 방제하기 바랍니다. <BR></P><P>5. 사과 점무늬낙엽병, 겹무늬썩음병, 갈색무늬병, 탄저병, 포도 노균병, 갈색무늬병, 복숭아 세균성구멍병, 잿빛곰팡이병, 단감 둥근무늬낙엽병, 탄저병 등 과수 병해 <BR>○ 고온 건조한 날씨로 경과되어 모든 과원에서의 병 발생은 전반적으로 적은 경향입니다. <BR>&lt;점무늬낙엽병에 의한 황화&gt; ○ 앞으로 장마철을 맞으면 사과 점무늬낙엽병, 겹무늬썩음병, 갈색무늬병, 탄저병, 포도 노균병, 갈색무늬병, 복숭아 세균성구멍병, 잿빛곰팡이병 발생이 우려되므로 장마 전에 예방 위주로 방제하기 바랍니다. <BR><BR>○ 특히 과원의 적정한 토양 수분을 유지하여 나무가 수분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하면 수세가 좋아져 병 발생도 적게 됩니다. <BR>○ 단감 둥근무늬낙엽병과 탄저병이 최근 강우로 포자가 번져 침입하여 8월 하순경에 병무늬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감꽃이 진후 방제를 못한 과원에서는 비가 온 전후로 방제하기 바랍니다. <BR></P><P>6. 과수 응애·진딧물, 사과굴나방, 복숭아심식나방, 잎말이나방, 감나무 감관총채벌레 등 과수 해충 <BR>○ 사과응애, 점박이응애, 은무늬굴나방, 복숭아순나방 발생은 많은 경향을 보이고, 조팝나무진딧물은 발생과원 비율은 높지만 밀도는 낮은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BR>○ 응애류는 정기적으로 관찰하여 발생초기에 적용농약으로 방제하고, 복숭아순나방은 1세대 피해가 많았거나 지난해 피해가 많았던 과원을 중심으로 적용농약으로 방제하고, 적과나 봉지씌우기 작업시 피해를 받은 신초나 어린과일은 없애주기 바랍니다. <BR>○ 지난 2000년에 경남 창원에서 첫 발생했던 감나무 감관총채벌레가 최근 경북지역(청도, 포항, 구미, 문경)에서도 발생되고 있으니 감꼭지나방과 동시방제 하기 바랍니다. <BR>○ 장마기에 대비하여 수관내부까지 바람과 햇볕 쪼임이 좋도록 도장지 정리와 배수로 정비를 잘 해 주고 방제시에는 잎 뒷면까지 고루 묻을 수 있도록 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BR>○ 초생재배 과원에서 풍뎅이류 피해가 우려될 경우에는 6월하순경 전면 경운을 하여 주거나 토양살충제를 살포하여 주는 것이 좋습니다. </P><P>&nbsp;</P><P align=right>- 2005. 6. 20. 농촌진흥청 - <BR></P>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1259

주간농사정보(제25호)

2,625
1258

수입축산물검역실적(2005년6월상순)첨부파일 있음

2,095
1257

2005.6.20(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2,153
1256

인삼류 수분함량 기준 15%로 완화

2,404
1255

[시금치]재배법 - 여름시금치 재배

4,148
1254

[과채] 오이 뒷그루 쌈채소 연작피해 확 준다

2,285
1253

주간예보(06월 20일 ~ 06월 24일)

2,066
1252

2005년 4월 도축검사실적첨부파일 있음

2,157
1251

2005.6.17(금)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190
1250

2005.6.16(목)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2,039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