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2005.6.23(목)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5-06-23 | 조회수 | 2452 |
<P>1. 농산물 </P><P>가격지수 : 93.54 전일대비 -1.32<BR>동 향 : 농산물은 주중 소비부진으로 잎채소류를 제외한 대부분의 품목이 내림세를 형성하여 지수 소폭 하락함. 특히 반입물량이 증가한 취청오이, 애호박 등 열매채소류의 내림세가 커 지수하락을 주도하였고, 알타리 무, 근대 등 뿌리채소류와 산지 출하가 활발한 양파, 대파, 청양고추 등 양념채소류가 하락세 거래되었음. 반면 상품성이 우수한 백찰품종이 반입된 풋옥수수와 소비량이 많은 쌈추, 파세리, 청경채 등은 오름세를 형성함.</P><P>◈ 고구마 감자류 <BR>가격지수 : 86.88 전일대비 +0.21<BR>동 향 : </P><P>◈ 잎채소류 <BR>가격지수 : 80.65 전일대비 +2.69<BR>동 향 : 배추는 금일 반입량은 803톤으로 전일대비 6% 증가하였슴. 봄배추(5톤 트럭 기준) 출하지역은 영월 45%, 횡성 25%, 연천 10%, 기타 20%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5%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23%하락한 185만5천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영월군 130~218만원, 강원 횡성군 138~236만원, 경기 연천군 90~178만원이었슴. 1.전체동향-금일 물량은 전일보다 소폭 증가하였으나 물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전일 매기가 매우 활발하여 중도매인 잔품이 완전히 소진되어 시세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음. 2.산지동향-영월, 횡성, 안흥, 둔내와 평창, 방림 등의 강원 준고랭지 배추가 장세를 주도하였으며 그 외 영남권 영양 배추가 상품성 우수하고 막바지 출하를 서두르고 있는 충청권 미원 지역은 중, 저가대 가격을 형성함. 3.소비지동향-금일 새벽장은 시장 판매 대수가 전일보다 대폭 증가하여 거래가 소폭 부진한 편이며 김치공장과 외부시장 주문량도 전일보다 다소 감소하였음.<BR><BR>- 양배추 : 금일 반입량은 255톤으로 전일대비 17%증가함. 금일 총출하물량중 출하지역별 반입비율은 서산 45%, 진도 26%, 해남 8%, 기타 29%였고, 전체 평균가격은 상품기준 전일대비 10%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3%상승한 2,850원이었슴. 출하지역별로는 충남 서산시 1150~3200원, 전남 진도군 1100~2900원, 전남 해남군 1200~2800원이었슴. 1.전체 동향-금일 물량은 전일보다 증가하였으나, 전일 원활한 소비로 인해 시장내 재고량 감소로 중도매인 구매의욕 활발하여 시세는 상승세 형성하였슴. 2.산지 동향-현재 출하되는 물건은 서산산과 진도 지역 물량이며 이번주를 깃점으로 진도산은 거의 마무리 출하될 예정이고 서산산이 주종을 이루겠음. 3. 소비지 동향-금일 시세 상승으로 소비는 다소 둔화되어 내일은 재고량이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현재 서산산 위주로 소비가 이루어지고 서산외 지역의 물량은 마무리 작업으로 시세가 다소 떨어짐.<BR><BR>기타 잎채소류중 상추는 금일 반입량이 68톤으로 전일 대비14% 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반입량이 비교적 큰폭으로 감소하였으나 주중 재고 누적과 매기 부진으로 상승폭은 제한적인 모습을 보였음. 주중에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추가 하락은 없었으나, 반입대기물량은 풍부하여 주중 출하를 연기한 생산자들의 출하가 주말에 몰릴경우에는 주말 상승도 어려울것으로 예상되어짐. 다음주부터는 장마가 시작될것이라는 예보가 있어 장마로 인해 출하량이 영향을 미칠경우 급등하면서 상승세 거래될것으로 예상됨. 품종별로는 물량이 증가한 적상추의 하락율이 가장컸으며 청상추는 물량 감소로 표준가격대비 8%가량 하락한 시세를 보이고 있음.<BR>- 깻잎 : 반입량은 41톤으로 전일대비 8%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 반입량이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주중 소비 부진으로 인해 시세는 하락세를 보였음. 고온이 지속되면서 재고 누적에 대한 기피로 적극적인 매기 형성이 부진하여 하락세 거래되고 있으며, 충남 금산산 깻잎의 하락율보다 밀양산 깻잎의 하락율이 컸음.<BR>- 시금치 : 69톤이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4%가량 증가하여 반입되었음. 전일에 이은 반입량 감소로 시장내 재고가 소진되면서 반입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시세는 소폭 오름세에 거래되었음.</P><P>◈ 열매채소류 <BR>가격지수 : 64.94 전일대비 -5.51<BR>동 향 : 오이는 전체적으로 595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9%감소하였고, *백다다기 100개기준 출하지역은 아산 18%, 천안 17%, 춘천 16%, 기타 49%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2%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22%하락한 14,50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충남 아산시 2000~9000원, 충남 천안시3000~18000원, 강원 춘천시 500~14000원이었슴. *취청 20kg상자 출하지역은 구례 29%, 화천 16%, 안성 9%, 기타 46%였고, 상품 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43%하락,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51% 하락한 9,75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전남 구례군 1000~9000원, 강원 화천군 1000~12000원, 경기 안성시 500~11000원이었슴. 백다다기는 물량은 감소로 강보합세, 취청은 물량 증가와 상품성 저하로 하락세 형성.<BR><BR>- 호박 : 호박은 전체적으로 301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11% 증가하였슴. *애호박 20개기준 출하지역은 춘천 19%, 평택 15%, 청원 14%, 기타 52%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17%하락,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38%하락한 4,75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춘천시 500~6000원, 경기 평택시1000~5500원, 충북 청원군 1000~7500원이었슴. *츄키니 10kg상자 출하지역은 여주 39%, 홍천 16%, 이천 16%, 기타 29%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7%하락, 표준가격(5개년평균)대비 48%하락한 3,00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경기 여주군 1000~9000원, 강원 홍천군 1000~12000원,경기 이천시 500~11000원이었슴. 애호박은 물량 증가와 소비 부진으로 인한 재고량 증가와 상품성 하락 등으로 하락세를 나타냄. * 쥬키니는 물량 감소하였으나 소비부진으로 보합세 형성.</P><P>◈ 뿌리채소류 <BR>가격지수 : 91.70 전일대비 -3.10<BR>동 향 : 무는 금일 반입량은 500톤으로 전일 대비 6%감소하였슴. *봄무(5ton트럭) 출하지역은 무안 19%, 고창 17%, 태안 15%, 기타 49%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18%상승, 표준가격(5개년평균)대비 10%상승한 268만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전남 무안군 175~332만원, 전북 고창군170~289만원, 충남 태안군 225~300만원이었슴. *저장무(18kgPE대) 출하지역은 남제주 79%, 북제주 7%, 기타 14%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7%상승한 4,550원이고, 출하지역별로는 제주 남제주군 1000~5500원, 제주 북제주군 1600원이었슴. 1.전체동향-물량감소로 갑자기 시세가 대폭 상승한 이후, 시장내로 물량이 몰리면서 전일은 시세가 많이 하락하였으나, 금일은 적정선으로 반입이 이루어져 시세는 전일에 비해 상승세를 형성하였음. 2. 산지동향-봄무는 산지 물량이 많지 않는 것으로 파악이 되며 당분간은 출하량 감소로 인해 가격이 다소 상승할것으로 예상되며 제주저장무는 아직도 저장량이 많이 남아있어 7월초까지 출하가 예상됨. 3. 소비지 동향-금일 반입물량 감소하면서 중도매인 구매력 활발하였고 시장내 재고량 감소로 소비도 전일보다 원활한 상태임.</P><P>◈ 양념 채소류 <BR>가격지수 : 106.96 전일대비 -2.52<BR>동 향 : </P><P>◈ 서양 채소류 <BR>가격지수 : 74.33 전일대비 -1.05<BR>동 향 :피망은 54톤이 반입되면서 전일 대비 15%가량 증가하여 반입되었음. 물량이 증가하면서 시세는 약보합세를 보였음. 기온 상승으로 인해 물량 증가는 제한적이고 시세 또한 큰 변동율 없이 형성되고 있음. 양상추는 50톤이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8%가량 증하여 반입되었으나 시세는 보합세를 보였음. 물량 증가는 제한적이지만, 무더위로 인한 상품의 부패속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경기 부진으로 판매 감소와 소비심리 위축으로 매기형성이 부진하여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기타 서양 채소류도 대부분 고온으로 인한 소비부진의 영향으로 보합세 거래되거나 하락세에 거래되었음.<BR></P><P>◈ 버섯류 <BR>가격지수 : 88.38 전일대비 -3.95<BR>동 향 : 버섯류는 주말대비 수요 증가에 대한 기대로 전일대비 5%가량 증가한 148톤이 반입되었으나 구매력이 감소하면서 지수하락세 형성. 최근 소폭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느타리는 33톤이 반입되어 전일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며 전일 경락가 상승으로 인한 중도매인 구매력 부담으로 하락세를 형성하였음. 양송이는 학교 급식 등 납품 수요가 증가하면서 오름세를 형성. 충청 청라 마산 지역을 중심으로 반입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음. 생표고는 반입량이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매기는 크게 살아나고 있지 않음. 팽이는 주말 수요 증가 기대로 전일대비 14% 증가한 42톤이 반입되었으며 매기가 주춤해 약보합세에 거래됨. <BR></P><P>2.수산물</P><P>가격지수 : 105.09로 전일대비 +0.66<BR>동 향 : 수산물은 생선류, 연체류 반입량 감소 영향으로 오름세를 보인반면, 조개류는 무더운 날씨탓에 거래가 부진하면서 시세 하락. 생선류는 고등어, 삼치, 가자미가 물량이 줄었고 주중 재고소진으로 시세 상승. 조개류는 홍합 반입량 증가와 깐바지락, 깐홍합, 새꼬막의 거래부진으로 재고가 누적되면서 하락세 거래. 연체류는 쭈꾸미, 미더덕, 오만둥이, 수입낙지가 반입량이 줄었고 주중 재고소진으로 강세 거래. </P><P>◈ 생선류 <BR>가격지수 : 91.23로 전일대비 +0.29<BR>동 향 : 고등어는 보름달 영향으로 조업이 부진하면서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여 중대형품 위주로 강세 거래. 수입생태는 일본산이 소폭 물량이 줄었으나 주초부터 계속된 거래부진으로 약보합세 형성. 갈치는 제주산이 체장이 작고 선도가 떨어져 하락세를 보였고 일본산 수입갈치는 재고가 많아 거래가 부진하면서 약세 형성. 꽁치는 속초, 거진산 반입량이 크게 늘면서 판매부진으로 하락세 거래. 삼치는 여수산이 물량이 줄었고 체장 큰 대형품 위주로 판매호조를 보여 오름세 거래. 가자미는 대천산이 체장이 크고 선도가 좋아지면서 판매호조를 보여 오름세 거래. 활어류중 양식 우럭과 농어는 선도가 떨어지면서 판매가 부진하여 약세 거래. 자연산 노래미와 넙치는 물량 감소와 체장 큰 대형품 위주로 소폭 상승세 거래.</P><P>◈ 조개류 <BR>가격지수 : 90.60로 전일대비 -1.39<BR>동 향 : 전일 급락하였던 조개류는 재고 누적으로 금일에도 약보합세에 거래됨. 충무산 굴 반입량은 전일과 동일하나 전일 하락세로 매수세가 다소 살아나면서 시세는 강보합세를 보임. 전일 큰 폭의 내림세로 국내산 바지락 반입량이 소폭 감소하고 씨알이 굵은 상품이 다소 반입되어 시세는 강보합세를 보임. 고흥, 벌교산 새꼬막은 반입량은 1톤 가량 감소하였으나 주중 재고누적에 따른 매기 부진으로 약보합세를 보임.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는 삼천포, 남해산 깐 바지락은 금일 입하량 증가로 내림세로 돌아섬. 홍합은 입하량 증가와 기온상승에 따른 매수세 부진으로 내림세를 보임. </P><P>◈ 연체류 <BR>가격지수 : 110.50로 전일대비 +3.99<BR>동 향 : 연체류는 반입량이 소비수요에 미치지 못하여 오름세로 거래됨. 중국산 수입낙지는 전일과 비슷한 입하량을 나타냈으나 재고가 소진되고 국내입하량이 소비수요를 따라잡지 못하여 오름세를 보임. 삼척, 거진, 속초산 물어징어는 월명기임에도 불구하고 동해안 야간 아열대현상으로 인하여 오징어 조업이 호조를 띠어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체장이 커 강보합세에 거래됨. 포항산 멍게는 선도가 떨어지는 저장품목이 대거 반입되어 전일대비 23.2%의 내림세를 보임. 미더덕은 입하량이 크게 감소하여 오름세를 보였고, 오만둥이는 상품위주로 거래되어 상승세에 거래됨. </P><P> </P><P>◈ 나무과일류<BR><BR>가격지수 : 121.49p 전일대비 +1.88p<BR>동 향 : 금일 반입량은 302톤으로 전일 249톤에 비해 21% 증가. 수입과일의 출하량은 크게 증가하였으나, 국내과일은 전일보다 10% 감소한 171톤이 반입되었고, 출하물량 감소로 인해 가격지수가 소폭 상승하였음. 사과와 매실이 전일에 비해 출하량이 76%, 49% 등 큰 폭으로 줄어 상승세를 보였으나, 출하량이 늘어난 배, 감귤, 포도 등이 하락하였고, 자두는 소비량이 증가하면서 보합세를 유지하였음. 다음 주초부터 전국이 장마의 영향권에 들면서 소비량이 급격히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주말을 앞두고 내일 출하량이 대체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BR><BR></P><P align=right> </P><P align=right>- 2005. 6. 23.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P><BR>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1279 | 2,790 | ||
1278 | 2,168 | ||
1277 | 2,188 | ||
1276 | 2,205 | ||
1275 | 3,025 | ||
1274 | 2,137 | ||
1273 | 1,992 | ||
1272 | 2,452 | ||
1271 | 2,175 | ||
1270 | 2,1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