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2005.6.30(목)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06-30 조회수 2203
<P><FONT color=#8080ff size=3>1. 농산물 <BR></FONT><BR>가격지수 : 95.34 전일대비 -1.53 <BR>동 향 : 농산물은 장마로 인해 전반적 수요가 감소하고 비작업으로 상품성이 떨어져 하락세에 거래된 품목이 많았고, 특히 양파 등 양념채소류와 배추 등 엽채소류가 하락세를 주도했음. 마늘은 서산 등지 난지형 접마늘이 출하종료되었고, 고구마는 전북 김제지역 햇품의 출하로 전반적 내림세장 형성. 김제지역은 7월 보름까지 출하완료될 것으로 보이며, 해남,여주산 출하가 이어질 전망임. 예년보다 높은 시세를 유지하고 있는 얼갈이는 금년 산지 재배면적 감소로 열무보다 높은 시세를 형성하고 있음. <BR><BR>◈ 고구마 감자류 <BR>가격지수 : 94.12 전일대비 +8.15 <BR>동 향 : 감자는 207톤 반입되어 큰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품기준 18%상승하였으며 20kg상자에 평균 11,500원에 경락되었음. 출하지역은 당진 32%, 서산 11%, 구미 10%, 김제,괴산,보령6%임. 고구마는 판매부진과 햇품출하로 가격은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형성함.<BR><BR>◈ 잎채소류 <BR>가격지수 : 101.68 전일대비 -4.90 <BR>동 향 : 배추는 금일 반입량은 746톤으로 전일대비 24% 감소하였슴. 봄배추(5톤 트럭 기준) 출하지역은 영월 55%, 횡성 15%, 평창 10%, 기타 20%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10%하락,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8%하락한 220만5천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영월군 59~256만원, 강원 횡성군 90~353만원, 강원 평창군 55~333만원이었슴. 1.전체동향-금일은 산지에 비가 다시 내려 작업이 어려웠고 전일 시장 재고량이 너무 많아 시세 하락을 우려하여 산지에서 작업량을 줄여 반입량은 감소하였음. 그러나 물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중도매인 매잔품이 너무 많아 시세는 하락세를 형성하였음.&nbsp; 2.산지동향-강원도 영월, 횡성과&nbsp; 평창 지역에서 출하량이 증가하였으며 그 외 지역은 물량이 많지 않아 점유율이 현저히 떨어졌음. 계속되는 폭우와 장마비로 산지 배추가 상품성이 급격히 나빠지고 있는 상황임. 3.소비지동향-시장내 재고량 증가와 우천중 작업으로 인해 상품성 하락하여 거래는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고 김치공장과 외부시장으로의 반출은 소폭 활발하였음.<BR><BR>- 양배추 :&nbsp;금일 반입량은 229톤으로 전일대비 4%감소함. 금일 총출하물량중 출하지역별 반입비율은 서산 81%, 괴산 5%, 진도 5%, 기타 14%였고, 전체 평균가격은 상품기준 전일대비 4%하락,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13%하락한 2,400원이었슴. 출하지역별로는 충남 서산시 750~2600원, 충북 괴산군 900~2200원, 전남 진도군 750~1700원이었슴. 1.전체 동향-금일 반입물량은 전일과 비슷하게 반입되었으나 전일 다소 부진한 소비로 중도매인의 구매의욕이 떨어져 시세는 약보합세로 형성되었음. 2.산지 동향-진도지역은 거의 마무리되었고 서산산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상품성은 양호하나 소비부진이 이어지면서 시세는 지속적으로 약보합세를 이어가고 있음. 3. 소비지 동향-계속된 소비 부진으로 인해 시장내 재고량 누적되고 있으며 금일 전반적인 시장내 소비도 소폭 부진한 모습을 보임<BR><BR>상추는 금일 반입량이 50톤으로 전일 대비22% 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 장마로 인해 생육이 부진하고, 주중 정체된 가격으로 인해 산지 작업량이 감소하면서 시세는 급등세를 보였음. 모든 품종에 걸쳐 큰폭의 오름세를 보였고, 특히 주초에 비해 하락폭이 컸던 청상추가 큰폭의 상승세를 보였음. 반입량이 적어 물량 소화 속도도 빨라졌고, 재고량이 적어 시세 상승의 원인이 되었음.</P><P>- 깻잎 : 반입량은 33톤으로 전일대비 17%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 밀양 지역의 출하량이 감소하면서 전체 반입량도 감소추세에 있음. 반입량은 감소추세에 있으나 외부시장의 수요 감소로 시세는 정체를 보이고 있음. 금일은 재고 감소와 반입량 감소로 소폭 오름세를 보였음</P><P>- 시금치 : 58톤이 반입되면서 전일과 비슷한 물량이 반입되었음. 전주말과 금주초 큰폭의 시세 상승으로 인해 가격이 부담되면서 매기가 감소하면서 하락세를 보였으나 절대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시세는 소폭 오름세를 보였음.<BR><BR><BR>◈ 열매채소류 <BR>가격지수 : 68.49 전일대비 +4.19 <BR>동 향 : 오이는 전체적으로 368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22%감소하였고, *백다다기 100개기준 출하지역은 춘천 20%, 아산 15%, 천안 11%, 기타 53%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23%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7%상승한 19,75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춘천시 2000~23000원, 충남 아산시 1000~7500원, 충남 천안시 1000~24000원이었슴. *취청 20kg상자 출하지역은 화천 33%,구례 16%, 횡성 15%, 기타 51%였고, 상품 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19%하락,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45% 하락한 11,00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화천군 1000~8500원, 전남 구례군1000~13000원, 강원횡성군 1000~11000원이었슴. <BR><BR>- 호박 : 전체적으로 264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11% 증가하였슴. *애호박 20개기준 출하지역은 화천 37%, 춘천 18%, 평택 12%, 기타 33%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4%하락,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28%하락한 5,50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화천군 1000~7500원, 강원 춘천시1000~10000원, 경기 평택시 1000~6500원이었슴. *츄키니 10kg상자 출하지역은 홍천 25%, 횡성 20%, 화천 11%, 기타 44%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57%상승, 표준가격(5개년평균)대비 55%상승한 9,00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홍천군 2000~8500원, 강원 횡성군 2000~13000원, 강원 화천군 3000~11000원이었슴<BR><BR>◈ 뿌리채소류 <BR>가격지수 : 105.16 전일대비 +2.58 <BR>동 향 : 무는 금일 반입량은 379톤으로 전일 대비 22%감소하였슴. *봄무(5ton트럭) 출하지역은 태안 25%, 고창 14%, 평택 13%, 기타 48%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4%상승, 표준가격(5개년평균)대비 40%상승한 340만5천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충남 태안군 222~341만원, 전북 고창군212~470만원, 경기 평택시 188~315만원이었슴. *저장무(18kgPE대) 출하지역은 남제주 100%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23%상승한 5,100원이었슴. 1.전체동향-금일 반입물량은 봄무 5톤은 다소 증가하였고, 제주 저장무는 대폭 감소하였으며, 시세는 봄무가 전일 재고량이 증가하면서 특*상품은 강보합세, 중*하품은 하락세를 보였고, 제주산은 반입물량 감소로 상승세에 거래되었슴. 2. 산지동향-지역에 따라서 우천지역과 아닌 지역에 상품성 차이가 많아 가격 편차가 매우 크고 중도매인 선호도 차이가 많으며 당분간은 물량이 적을것으로 보여 시세는 현시세를 유지할것으로 예상됨.&nbsp; 3. 소비지 동향-잦은 비로 인해 나이먹은 무 등 상품성 저하된 물량들이 반입되었고 전일 부진한 소비로 인해 재고량 누적되어 다소 부진한 소비를 보이고 있음.<BR><BR>◈ 양념 채소류 <BR>가격지수 : 104.63 전일대비 -11.08 <BR>동 향 : 양파는 612톤으로 전일대비 10%증가하였으며 상품기준 7%하락세 거래됨, 대파는 203톤으로 반입량 증가하였으며 물량감소로 인한 강세에서 하락세 거래됨. 상품기준 1단에 전일 평균 1430원에서 금일 1235원으로 14%하락함. <BR><BR>◈ 서양 채소류 <BR>가격지수 : 86.44 전일대비 -8.71 <BR>동 향 : 피망은 주초 시세상승으로 인해 산지 작업량이 증가하면서 61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9%가량 증가하였음.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주초 형성된 이상 고가 현상이 해소되는 모습을 보였음. 양상추는 39톤이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30%가량 감소하여 반입되면서 큰폭의 상승세를 보였음. 기타 서양채소류는 대부분 물량이 감소하면서 상승세를 보였음. 특히 비타민과 파세리의 상승율이 컸으며, 물량이 증가한 치커리와 셀러리는 큰폭의 하락세를 보였음.</P><P>&nbsp;</P><P>◈ 버섯류 <BR>가격지수 : 85.15 전일대비 +4.10 <BR>동 향 : 버섯류 반입량은 전일보다 10%감소한 133톤 반입. 장마와 소비가 감소해 판매 부진을 보이며 전반적으로 물량 감소 추세 보임. 느타리는 전일보다 2톤 증가한 34톤이 반입되었으며 시세는 중품은 보합세, 중하품은 약보합세 형성. 상품은 가정용 및 식자재업체의 납품수요가 어느정도 형성되어 보합세를 보였으나 중하품은 전일 재고 누적 등으로 하락세에 거래됨. 양송이는 시장 반입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해 금일 9톤이 반입되어 강세 장세 형성. 새송이는 37톤으로 전일대비 93%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소폭의 상승세를 보이며 지난주 평균가와 비슷한 수준에서 거래됨. 생표고는 전일대비 반입량이 큰폭으로 감소하면서 상승세 형성. 팽이는 등급별로 차이를 보이며 특품은 상승세, 상품은 보합세, 보통은 약보합세를 보이며 등급별 경락가 차이가 벌어지는 모습을 보임. </P><P>&nbsp;</P><P><FONT color=#8080ff size=3>2. 수산물 </FONT></P><P>가격지수 : 106.44로 전일대비 -4.03<BR>동 향 : 수산물은 장마철 날씨가 소강상태를 보이면서 조개류 반입량 증가로 전반적 하락세 형성. 생선류는 수입생태, 임연수어, 고등어가 재고가 소진되면서 주중 수요 증가에 따른 약보합세 거래. 조개류는 바지락, 소라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거래부진에 따른 시세 하락. 연체류는 물오징어, 수입낙지, 미더덕 물량이 늘어나고 장마철 날씨 영향으로 판매가 부진하면서 하락세 거래.</P><P>◈ 생선류 <BR>가격지수 : 87.04로 전일대비 -0.32<BR>동 향 : 고등어는 부산산 생물 반입량이 줄면서 재고량 마저 감소해 소폭 오름세 거래. 수입생태는 일본산 반입량이 증가했으나 주초 재고가 부족하여 매수세 증가로 시세 상승. 갈치는 제주산 소형 갈치 반입량 증가로 판매가 부진하면서 시세 하락. 삼치는 여수산이 선도가 떨어지고 체장이 작아져 거래가 부진하면서 약세 형성. 임연수어는 속초산 물량이 줄고 재고가 없어 체장 큰 상품 중심으로 오름세 형성. 병어는 여수산 물량이 줄고 목포산마저 반입량이 줄면서 오름세 거래. 가자미는 대천산이 선도가 떨어져 판매가 부진하면서 재고가 늘면서 약세 형성. </P><P>&nbsp;</P><P>◈ 조개류 <BR>가격지수 : 95.44로 전일대비 -12.06<BR>동향 : </P><P>&nbsp;</P><P>◈ 연체류 <BR>가격지수 : 121.48로 전일대비 -12.78<BR>동향 :&nbsp; <BR><BR></P><P>&nbsp;</P><P align=right>- 2005. 6. 30.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BR></P><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1299

스위스 ‘인삼 제품’ 관심상승

2,374
1298

'05. 6월 가축통계조사결과첨부파일 있음

2,169
1297

'05년 5월 식물류 해외 병해충 128종 595건 발견첨부파일 있음

2,145
1296

양정제도 개편 본격시행

2,035
1295

2005.6.30(목)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203
1294

[인경채류]상갱- 생강밭 잡초방제

3,010
1293

쇠고기 등급표시 내년 7월 전국으로 확대

1,998
1292

2005.6.29(수)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977
1291

축산물검역실적(2005년 6월중순)자료첨부파일 있음

2,059
1290

2005년 7월 축산관측월보

2,003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