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2005.7.8(금)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07-08 조회수 2131
<P>1. 농산물 <BR><BR>가격지수 : 127.01 전일대비 +2.19 <BR>동 향 : 농산물은 전일에 이어 양상추, 신선초, 치커리등 서양채소류가 큰폭 상승을 보였고, 전일 비교적 큰폭의 하락을 보였던 고추류는 청양고추를 제외하고는 가격 안정을 보였으며, 비교적 많이 내린 종목으로는 쑥갓이 전일 오른폭 만큼이나 하락하였으며, 장마의 영향으로 상추의 가격 상승이 대체 수요 작물인 서양채소류와 비름까지도 가파른 상승을 가져와 이들 품목은 당분간 상승세가 이어질 전망으로 보임. <BR><BR>◈ 고구마 감자류 <BR>가격지수 : 79.02 전일대비 -4.88 <BR>동 향 : <BR><BR>◈ 잎채소류 <BR>가격지수 : 185.04 전일대비 +4.01 <BR>동 향 : 배추는 금일 반입량은 623톤으로 전일대비 5% 증가하였슴. 봄배추(5톤 트럭 기준) 출하지역은 평창 50%, 횡성 20%, 정선 15%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6%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8%하락한 214만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평창군 110~267만원, 강원 횡성군80~27만원, 강원 정선군 60~263만원이었슴. 1.전체동향-금일 물량은 산지에 비가 내려 작업이 부진하였으나 반입량은 전일보다 소폭 증가하였으며, 소비가 활발하여 시세는 소폭 상승세에 거래되었슴. 2.산지동향-출하지역은 강원도 평창, 횡성 등을 중심으로 출하량이 계속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경북 봉화, 청송 등지에서 소량 반입되고 있으며 앞으로 계속 출하량이 늘 것으로 예상됨. 3.소비지동향-외부 반출량은 전일보다 다소 감소하였으며 장마로 인해 꿀통 및 짓무름등 하품 반입이 증가하고 있어 상하급품간 가격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음.<BR><BR>- 양배추 : 양배추는 금일 반입량은 227톤으로 전일대비 5%감소함. 금일 총출하물량중 출하지역별 반입비율은 서산 72%, 무안 9%, 평창 6%, 기타 19%였고, 전체 평균가격은 상품기준 전일대비 19%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9%상승한 2,800원이었슴. 출하지역별로는 충남 서산시 700~3300원, 전남 무안군 1150~2300원, 강원 평창군 650~2500원이었슴. 1.전체 동향-금일 반입량은 전일보다 감소하였고 상품성이 양호하여 시세는 상승세에 거래되었슴. 2.산지 동향-강원도 대화와 방림에서 1대씩 출하되었으며 다음주부터는 청송과 강원산 물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3. 소비지 동향-시장내 반입량 중 상품성이 떨어지는 물건은 거래가 부진한 반면 상품성이 양호한 물건은 거래가 활발한 편임.<BR><BR>◈ 열매채소류 <BR>가격지수 : 146.19 전일대비 +8.22 <BR>동 향 : 오이는 전체적으로 356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15%증가하였고, *백다다기 100개기준 출하지역은 춘천 18%, 제천 14%, 연천 11%, 기타 57%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보합,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57%상승한 31,00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춘천시 1000~40000원, 충북 제천시 3000~20000원, 경기 연천군 1000~9200원이었슴. *취청 20kg상자 출하지역은 화천 39%, 춘천 26%, 횡성 16%, 기타 19%였고, 상품 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22%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34% 상승한 31,00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화천군 3500~23000원, 강원 춘천시2000~36000원, 강원횡성군 3000~21500원이었슴.<BR><BR>- 호박 : 호박은 전체적으로 222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10% 증가하였슴. *애호박 20개기준 출하지역은 화천 44%, 춘천 33%, 평택 7%, 기타 15%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4%하락,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79%상승한 13,50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화천군 3500~17000원, 강원 춘천시1000~13000원, 경기 평택시 2000~17500원이었슴. *츄키니 10kg상자 출하지역은 홍천 66%, 화천 14%, 이천 11%, 기타 10%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26%상승, 표준가격(5개년평균)대비 10463%상승한&nbsp; 10,75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홍천군 2000~23000원, 강원 화천군1000~23000원, 충북 충주시 3000~28000원이었슴. <BR><BR>상추는 금일 반입량이 39톤으로 전일 대비 15% 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주말장임에도 불구하고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작업량도 적어 출하량은 큰폭으로 감소하였음.4,5,6월 지속된 저단가로 생산포기 농가가 늘면서 생산량 자체가 감소하였고 일기 불순으로 인해 생육도 부진하면서 공급부족현상이 가중되고 있음. 공급량의 절대부족으로 시세는 연일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BR></P><P>- 시금치 : 반입량은 39톤으로 전일대비 13%가량 감소하였고, 상품시세는 약보합세를 보였으나, 중품이하는 소폭 오름세를 보였음. 주말장이어서 납품수요가 감소한 반면, 외부시장의 매기는 소폭 증가하면서 전반적으로 강세를 이어가는 모습을 보였음. 전년 장마기간 대비 21%가량 감소한 물량이 반입되고 있으며, 시세는 전년 대비 50%이상 상승세를 형성하고 있음.<BR></P><P>- 깻잎 : 반입량은 24톤으로 전일대비 10%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 주말을 대비한 주문이 많았으나 반입된 물량이 적어 시세는 큰폭으로 상승하여 거래되었음. 장마로 인해 출하량이 감소하면서 장마시작후 형성된 상승세를 꾸준히 이어가고 있음. 전년도 장마기간에 비해서 물량은 50%이상 감소하여 반입되고 있으며, 시세는 200%이상 상승한 가격을 보이고 있음.<BR><BR><BR>◈ 뿌리채소류 <BR>가격지수 : 98.17 전일대비 -13.33 <BR>동 향 : 무는 금일 반입량은 404톤으로 전일 대비 7%증가하였슴. *봄무(5ton트럭) 출하지역은 태안 29%, 당진 27%, 부안 13%, 기타 32%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11%하락, 표준가격(5개년평균)대비 5%상승한 283만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충남 태안군 50~366만원, 충남 당진군100~343만원, 전북 부안군 159~352만원이었슴. 1.전체동향 - 지속적인 시세 상승으로 인해 산지에서 작업량을 늘려 금일 물량은 전일보다 다소 증가하였으며, 시세는 반입물량 증가로 인해 특품을 제외한 상품이하는 큰 폭으로 하락세에 거래되었슴. 2. 산지동향-금일은 강원지역 무가 9대 정도 반입되었고 충청지역보다는 상품성이 떨어져 시세는 중*하품으로 경락되었음. 내일은 주말장으로 출하물량 감소가 예상됨. 3. 소비지 동향-금일은 전일 매장 재고 누적과 반입량 증가로 인하여 시세가 크게 하락했으며 또 상품성이 매우 떨어져 소비가 부진함.<BR><BR>◈ 양념 채소류 <BR>가격지수 : 103.98 전일대비 -0.41 <BR>동 향 : <BR><BR>◈ 서양 채소류 <BR>가격지수 : 211.88 전일대비 +48.33 <BR>동 향 : 피망은 40톤이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0%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 주말 대비 주문이 증가하고 물량이 감소하면서 시세는 상승세를 보였으나 판매부진으로 인한 재고증가로 상승폭은 소폭에 그쳤음. 양상추는 28톤이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6%가량 감소한 물량이 반입되었고. 최근 2~3일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시장내 재고량이 감소하였고, 주말수요가 증가하면서 시세는 큰폭의 상승세를 보였음. 기타 서양채소류는 주말 납품수요 감소등의 영향으로 인해 대부분 보합세를 보였으나 치커리와 비타민은 물량이 적어 최근의 강세를 이어가는 모습을 보였음.<BR><BR>◈ 버섯류 <BR>가격지수 : 86.75 전일대비 -0.45 <BR>동 향 : 금일 버섯류는 팽이버섯 반입량이 큰폭의 감소세를 보이며 전일보다 7%감소한 152톤 반입. 느타리버섯은 전일과 같은 28톤이 반입되었으며 시세는 전일과 보합세 형성. 주말대비 수요가 꾸준해 2kg 상품이 11,250원에 거래됨. 양송이는 16톤이 반입되었으나 반입량 대비 주말 수요가 부진해 약세 장세를 형성. 새송이는 특상품은 약보합, 중품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으며 반입량은 전일과 비슷한 42톤 반입. 생표고는 반입량에 따른 가격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주말 식자재업체 등의 요가 증가하면서 오름세에 거래. 팽이 반입량은 전일보다 20% 감소한 49톤이 반입되었으나 여전히 많은 수치임. 주말 판매호조를 보이며 소폭의 상승세 형성.<BR><BR>2. 수산물 </P><P>가격지수 : 109.42로 전일대비 -0.29 <BR>동 향 : 수산물은 생선류와 연체류 반입량이 감소하여 오름세를 보인반면, 조개류는 반입량 증가와 전일 판매부진에 따른 재고누적으로 하락세를 보이면서 지수하락 주도. 생선류는 고등어, 임연수어, 삼치가 반입량 증가와 거래부진에 따른 재고누적으로 시세 하락. 조개류는 바지락, 깐바지락, 깐홍합이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판매가 부진하여 하락세 거래. 연체류는 수입낙지, 오만둥이, 문어가 물량이 줄면서 주말 앞두고 재고확보 매수세가 늘어 상승세 거래. </P><P>&nbsp;</P><P>◈ 생선류 <BR>가격지수 : 92.16로 전일대비 -0.51 <BR>동 향 : 부산산 생물고등어는 반입량이 줄었으나 전일 판매부진으로 재고가 많아 금일 영향을 미치면서 하락세 거래. 수입생태는 일본산 반입량이 줄고 주말 앞두고 판매호조를 보여 오름세 형성. 갈치는 산지 기상상태가 좋아지면서 조업이 활발하여 제주산 반입량이 소폭 증가하였고 시세는 하락세를 보임. 삼치는 여수산 반입량 증가와 체장이 작은 소형품 물량이 늘어나 거래가 부진하여 하락세 거래. 임연수어는 속초산 반입량 증가와 선도저하로 재고가 누적되면서 시세 하락. 가자미는 대천산 대형품 위주로 고단가를 형성하면서 강보합세를 형성하였고 중소형품은 판매부진으로 약보합세 거래. </P><P>◈ 조개류 <BR>가격지수 : 107.51로 전일대비 -6.67<BR>동 향 : 조개류는 거래물량 증가로 내림세를 형성. 충무산 양식굴은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였음에도 선도가 떨어지고 자연산 고흥굴 반입량이 증가하여 내림세에 거래됨. 국내산 바지락은 전일에 비해 반입량이 3톤이상 증가하여 주말 매수세 강세에도 불구 하락세를 형성.&nbsp; 고흥, 벌교산 새꼬막은 반입량이 전일과 비슷하였으나 하품이 다량 입하되어 상품은 보합세를 하품은 내림세를 보였음. 여수, 통영산 홍합 거래물량은 비슷하나 선도가 좋고 주말 식자재업체 매수가 호조를 보여 강보합세에 거래됨.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는 깐바지락은 금일 입하량 증가로 약보합세에 거래.</P><P>&nbsp;</P><P>◈ 연체류 <BR>가격지수 : 123.42로 전일대비 +3.11<BR>동 향 : 연체류는 반입량 감소로 강세에 거래됨. 중국산 수입낙지는 반입량이 감소하고 주말대비 물량확보를 위한 요식업체의 매수세가 강세를 보여 오름세에 거래됨. 삼척, 거진, 속초산 물어징어는 조업부진과 대형할인마트 반입량이 늘어나 가락시장 입하량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전일 입하량 증가에 따른 재고 누적으로 보합세를 유지. 마산, 진동산 미더덕은 반입량이 미미하였으나 씨알이 커 주말 성수기임에도 불구 약세에 거래됨. 오만둥이는 전일과 비슷한 반입량과 선도로 보합세를 보였음. <BR></P><P>&nbsp;</P><P>◆ 채소과일류<BR>가격지수 : 91.47 &nbsp;+7.13P<BR>동 &nbsp; 향 : 채소과일류는 820톤 반입되어 전일 882톤 대비 7% 출하량 감소함. 품목별로는 토마토와 메론의 출하량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수박과 참외가 주말을 앞둔 거래일임에도 출하량 감소하였음. 경락시세는 주말수요가 다소 늘어난 반면 주말출하량이 줄어 전반적으로 오름세에 거래된 품목이 많았고, 특히 토마토와 수박이 오름세에 거래되면서 지수상승을 견인했음. 금주 수박 주 출하지역은 중부권 음성, 진천 등 중부권이었으며, 전라권 고창과 경남권 산청 등지 물량도 소량 출하되고 있음. 중부권 음성,진천,영동지역의 출하주도가 계속이어질 전망이며, 고창과 산청 등지는 마무리 출하가 이어질 전망임. 장마가 끝나고 하순에 접어들면서 노지수박이 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 <BR><BR>◈ 나무과일류<BR>가격지수 : 117.07p 전일대비 -2.22p<BR>동 &nbsp; &nbsp;향 : 나무과일류는 448톤 반입되어 전일 537톤에 비해 17% 감소. 주말을 앞두고 유통업체의 수요증가에 대한 기대감으로 사과, 배, 북숭아, 포도 등 주요 품목의 출하량이 증가하였지만, 감귤과 출하품종 전환기에 접어든 자두는 감소하였음. 사과는 산지 저장물량이 급격히 감소하여 2~3일에 1회정도 출하되면서 반입량 변화가 크게 나타나고 시세는 고품질 물량 출하가 줄면서 특품은 소폭 상승하였지만 중*하품을 중심으로 하락폭이 크게 나타남. 경북 의성과 김천지역에서 햇사과 아오리가 출하되었으나 크기가 잘아 시세는 낮게형성되었으며 이달 하순부터 본격적인 출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됨. <BR>저장배 역시 산지 물량이 꾸준히 감소하는 가운데 금주 지속적인 출하 증가로 시장잔유량이 크게 늘어나 시세는 대체로 내림세를 형성하였음. <BR>복숭아는 무모계 암킹의 출하가 막바지에 접어든 가운데 선프레로 품종이 대체되고 있으나 시세는 내림세를 형성하였고, 유모계는 월봉, 사자, 창방 등 조생종 털복숭아의 판촉행사와 학교 급식 수요 등으로 활발하게 거래되면서 상승세를 형성함. <BR>하우스 포도 역시 최근 판촉행사가 많아지면서 수요가 크게 늘어나 강세를 형성하였고, 특히 출하량이 급격히 감소한 델라웨어의 상승폭이 크게 나타남. <BR>자두는 대석조생의 수확이 마무리단계로 접어들면서 출하량이 감소하였고, 홍자두, 피자두, 후무사 등으로 출하품종이 대체되고 있으나 상품성이 아직 정상 수준에 미치지 못해 대석종으로 수요가 집중되어 대석조생의 시세가 강세를 보였음.<BR><BR></P><P align=right>&nbsp;</P><P align=right>&nbsp;</P><P align=right>- 2005. 7. 8.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P><BR><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1319

농사짓기보다 힘든 ‘야생동물과의 전쟁’

2,199
1318

2005.7.8(금)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2,131
1317

北농업관계자 "조류독감 완전 퇴치"

2,080
1316

축산물검역실적(2005년6월하순) 자료입니다첨부파일 있음

2,082
1315

2005.7.7(목)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2,185
1314

[지방이 경쟁력이다] 양송이 최대 단지 보령시

2,846
1313

[과일] FTA기금 과수지원사업 15개 선정

2,342
1312

대미 수출업체 목재 포장재 소독 의무화 해야첨부파일 있음

2,129
1311

2005.7.6(수)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2,109
1310

7월 채소관측월보

2,204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