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2005.7.12(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07-12 조회수 2188
<P>1. 농산물 </P><P>가격지수 : 120.56 전일대비 -9.73<BR>동 향 : 농산물은 주초 강세로 인한 가격부담과 우천으로 인한 매기 약화로 인해 하락세로 거래되었음. 계속된 장마로 인한 일조량 부족과 상품의 물기로 인해 상품성 훼손 속도가 빨라지면서 상품성이 저하되었고, 고가격으로 인한 매기둔화로 인해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였으나, 반입량이 적은 서양채소류와 버섯류를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이기도 하였음. 특히 상추는 고가격으로 인한 부담감과 우천임에도 불구하고 반입량이 줄지 않으면서 큰폭의 하락세를 보였고, 호박류도 하락세를 보였음.</P><P>&nbsp;</P><P>◈ 고구마 감자류 <BR>가격지수 : 74.24 전일대비 0.00<BR>동 향 : 감자는 전일 산지 비가 많이 내려 금일 반입량은 148톤으로 큰폭으로 감소하였으며 상품기준 25%오름세 거래됨. 전일 중도매인 재고가 많아 오름세가 적었음. 지역별 출하비율은 홍천 23%, 평창 12%, 당진 11%, 강릉 10%이고 지역별 최고 경락가는 제천 33,000원, 여주, 나주 32,000원 경기광주, 당진 31,000원, 평창, 홍천 30,000원임.</P><P>&nbsp;</P><P>◈ 잎채소류 <BR>가격지수 : 147.06 전일대비 -35.70<BR>동 향 : 배추는 금일 반입량은 561톤으로 전일대비 3% 감소하였슴. 봄배추(5톤 트럭 기준) 출하지역은 정선 45%, 평창 35%, 인제 10%, 기타 10%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10%하락,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보합세인 276만5천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정선군 90~394만원, 강원 평창군100~340만원, 강원 인제군 177~253만원이었슴. 1.전체동향-금일 물량은 전일보다 소폭 감소하였으나, 계속되는 장마비로 인하여 상품성이 하락한 물량이 많아지면서 시세는 하락세에 거래되었슴. 2.산지동향-출하지역은 횡성, 평창 지역 등 저지대 물건이 작황이 크게 나빠지면서 시장 출하가 어렵게 되어 출하량이 현저히 줄어든 반면, 정선, 임계 지역 상품성 양호한 물건이 다수 반입되었음. 3.소비지동향-금일 중도매인의 구매력은 전일보다 다소 부진하였고 현재 출하 물량은 감소하고 있으나, 상품성에 따라서 가격편차는 크게 나타나고 있슴<BR><BR>- 양배추 :&nbsp;금일 반입량은 230톤으로 전일대비 19%감소함. 금일 총출하물량중 출하지역별 반입비율은 서산 64%, 청송 10%, 평창 8%, 기타 26%였고, 전체 평균가격은 상품기준 전일대비 13%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14%상승한 3,550원이었슴. 출하지역별로는 충남 서산시 950~4100원, 경북 청송군 2050~4300원, 강원 평창군 1200~3200원이었슴. 1.전체 동향-금일 반입량은 전일보다 감소하였으나, 장마비로 인해 상품성이 하락하면서, 시세는 상승세에 거래되었슴. 2.산지 동향-청송산 상품이 우수하여 중도매인의 구매의욕이 활발하고, 서산지역은 마무리 작업으로 이번주를 기점으로 출하량이 많이 감소 할 것으로 예상됨. 3. 소비지 동향-금일 시장내 소비 상황은 대체로 원활한 편이나, 산지에서 비작업으로 인해 상품성이 하락한 물량이 다수 반입되어 하품은 다소 부진한 소비를 보이고 있음</P><P>&nbsp;</P><P>◈ 열매채소류 <BR>가격지수 : 135.58 전일대비 -30.23<BR>동 향 : 오이는 전체적으로 372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29%감소하였고, *백다다기 100개기준 출하지역은 춘천 19%, 제천 16%, 연천 15%, 기타 50%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17%하락,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9%하락한 21,50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춘천시 2000~32000원, 충북 제천시 3000~15500원, 경기 연천군 1000~7800원이었슴. *취청 20kg상자 출하지역은 화천 38%, 춘천 23%, 횡성 16%, 기타 23%였고, 상품 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8%하락,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7% 상승한 27,50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화천군 3000~23000원, 강원 춘천시4000~32000원, 강원도 횡성군 3000~24000원이었슴<BR><BR>- 호박 : 전체적으로 284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25% 감소하였슴. *애호박 20개기준 출하지역은 화천 47%, 춘천 30%, 평택 6%, 기타 17%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19%하락,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3%상승한 7,50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화천군 1500~11000원, 강원 춘천시1500~17000원, 경기 평택시 1000~7000원이었슴. *츄키니 10kg상자 출하지역은 홍천 46%, 여주 12%, 봉화 10%, 기타 32%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36%하락, 표준가격(5개년평균)대비 25%상승한 10,25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홍천군 1000~23000원, 경기 여주군 500~32000원, 경북 봉화군 1000~24000원이었슴<BR><BR>◈ 뿌리채소류 <BR>가격지수 : 103.45 전일대비 -7.24<BR>동 향 : 무는 금일 반입량은 384톤으로 전일 대비 17%감소하였슴. *봄무(5ton트럭) 출하지역은 태안 16%, 당진 16%, 무안 14%, 기타 55%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3%하락, 표준가격(5개년평균)대비 3%상승한 324만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충남 태안군 173~326만원, 충남 당진군250~478만원, 전남 무안군 258~428만원이었슴. 1.전체동향 - 금일 반입물량은 산지 우천으로 인해 전일에 비해 봄무가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나, 시세는 특품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소폭 하락하였으며, 제주산 저장무도 물량이 증가하면서 시세는 하락세를 형성하였으며, 중도매인 구매력은 부진한 상황임. 2. 산지동향-비를 맞지 않은 무안산이 최고 시세를 기록하였고, 일부 비 맞은 차량은 하품 시세를 기록하였으며, 특히 강원지역 무우는 금일도 무안, 태안지역보다는 상품성이 떨어져 시세는 중*하품으로 경락되었음. 3. 소비지 동향-금일 산지에서 비 맞고 어려운 작업을 했지만, 전일 작업 물량을 포함해서 재고량이 많고, 상품성은 떨어져 소비는 부진한 상황이었음</P><P>&nbsp;</P><P>◈ 양념 채소류 <BR>가격지수 : 141.81 전일대비 -0.62<BR>동 향 : 양파는 주초인 전일대비 큰폭으로 감소한 500톤 반입되었으나 상품성 하락으로 특품가는 오름세를 보였으나 상품, 중품은 하락세 거래됨. 대파는 비로 인해 작업량이 감소하여 금일 반입량은 161톤이며 상품기준 4%오름세 거래되었음. 풋고추는 65톤으로 반입량 증가하였으며 상품기준 14%하락하였고, 청양고추는 52톤 반입되었으며 약보합세 꽈리고추는 39톤으로 반입량 증가하였으나 그동안 적은 물량 반입으로 재고량 적어 오름세 거래됨.</P><P>&nbsp;</P><P>◈ 서양 채소류 <BR>가격지수 : 181.04 전일대비 +15.87<BR>동 향 : </P><P>&nbsp;</P><P>◈ 버섯류 <BR>가격지수 : 81.00 전일대비 +8.39<BR>동 향 :&nbsp;<BR></P><P>2. 수산물 </P><P>가격지수 : 114.34로 전일대비 +4.31 <BR>동 향 : 수산물은 소비시장 날씨가 호전됨에도 불구하고 산지 기상 악화로 전반적 반입량 감소하면서 오름세 거래. 생선류는 고등어, 갈치, 임연수어가 물량이 줄면서 소비수요 증가에 따른 재고소진이 겹쳐 시세 상승. 조개류는 홍합, 깐바지락, 새꼬막, 소라는 반입량이 줄었고 주초 판매호조로 오름세 거래. 연체류는 수입낙지, 물오징어, 미더덕, 오만둥이가 물량도 줄고 재고가 소진되면서 시세 상승.</P><P>&nbsp;</P><P>◈ 생선류 <BR>가격지수 : 95.76로 전일대비 +2.29 <BR>동 향 : 고등어는 부산산 생물 반입량 감소가 두드러지면서 체장이 큰 중대형품 위주로 재고가 소진되어 강세 형성. 수입생태는&nbsp; 전일과 비슷하게 반입되었으나 고단가 거래에 따른 판매부진으로 재고가 많아지면서 약보합세 거래. 갈치는 제주산 물량이 줄었고 선도 좋은 대형품 반입으로 판매가 활발하면서 강세로 거래. 삼치는 여수산 물량이 소폭 증가했으나 날씨가 좋아지면서 급식에 따른 납품업체 수요 증가로 보합세 거래. 임연수어는 속초산 물량이 증가하였으나 체장이 커지고 주초 재고 소진에 따른 매수세 증가가 늘면서 오름세 거래. 병어는 목포산 체장이 작아지고 선도가 떨어지는 중형품 위주로 반입량이 늘면서 약세 거래. 청어와 꽁치는 동해안산 반입량이 소폭 줄었으나 선도가 떨어져 판매가 부진하면서 약보합세 거래.</P><P>&nbsp;</P><P>◈ 조개류 <BR>가격지수 : 128.35로 전일대비 +14.64<BR>동 향 : 조개류는 전일 장마전선 영향에 따른 반입 물량 감소로 오름세. 충무산 굴은 물량이 감소하고 자연산 고흥굴 반입량도 줄어들어 상승세를 형성함. 국내산 바지락은 반입량이 비슷하였으나 하품씨알이 전일에 비해 크고 선도가 좋아 하품은 큰 폭에 오름세를 보였으며 상품은 보합세를 유지함. 고흥, 벌교산 새꼬막은 거래 물량이 감소하였으나 선도가 떨어지는 하품이 대거 입하되어 하품은 내림세를 상품은 보합세에 거래되었음. 여수, 통영산 홍합은 거래물량이 전일 우천으로 5톤 가량 감소하여 시세가 대폭 상승함. 깐홍합은 선도 불량으로 내림세를 깐바지락, 소라는 상품위주로 거래되면서 상승세를 형성함. </P><P>&nbsp;</P><P>◈ 연체류 <BR>가격지수 : 130.44로 전일대비 +11.26<BR>동 향 : 연체류는 반입량 감소로 강세에 거래됨. 중국산 수입낙지는 반입량이 전일에 이어 금일에도 1톤에 불과하여 요식업체 물량확보 매수세가 강세를 형성하며 큰 폭의 오름세에 거래됨. 삼척, 거진, 속초산 물어징어는 장마전선 영향으로 반입량이 줄어들었으나 체장이 작고 소비부진에 따른 매수세 둔화로 보합세를 유지. 마산, 진동산 미더덕은 입하량이 증가하였으나 씨알이 작고 선도가 좋은 상품이 대량 거래되면서 상승세를 형성함. 오만둥이는 물량 증가로 약보합세에 거래. </P><P>&nbsp;</P><P>◆ 채소과일류<BR>가격지수 : 116.79 &nbsp;+19.32P<BR>동 &nbsp; 향 : 채소과일류는 580톤 반입되어 전일 699톤 대비 13% 출하량 감소함. 품목별로는 토마토와 멜론의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전체 물량 감소하였음. 경락시세는 출하량이 감소한 반면 비가 그치면서 수요가 늘어나 수박, 참외, 토마토가 오름세에 거래되면서 전체지수 크게 상승하였음.<BR><BR>수박은 295톤 반입되어 전일 302톤에 비해 3% 감소함. 금일 수박은 산지 생산량 감소로 출하량 전일 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며, 비가 그치고 기온이 오르면서 수요가 증가해 6~7kg 중심 큰 폭의 오름세를 나타냈음. 수박은 중부권 음성, 진천, 영동지역의 출하주도가 계속이어질 전망이며, 고창과 산청 등지는 마무리 출하가 이어질 전망임. 금주는 초복이 주말장과 겹치면서 14~15일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시세 오름세가 전망됨. &nbsp;참외는 111톤 반입되어 전일 124톤 대비 11% 출하량 감소함. &nbsp;<BR><BR>참외는 성주지역 화방교체로 인해 출하량 전일에 이어 감소하였으며, 경락시세는 주초부터 출하량 감소하고 있고, 비가 그치면서 수요가 증가하면서 오름세에 거래됨. 경북 성주 95%, 김천 5% 가량 출하되고 있음. 금일 참외는 전반적으로 성주산이 오름세에 거래되었으며, 특품은 소량이긴 하지만 경북 김천지역 물량의 분포가 높았음. <BR><BR>토마토 일반종은 90톤 반입되어 전일 158톤 대비 43% 출하량 감소하였음. 일반종은 춘천지역을 출하량 소폭 감소하였고, 5kg 전남 고흥과 충북 옥천지역에서 출하량이 없어 전일 대비 물량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음. 경락시세는 장마로 인해 지난주 이후 출하량이 전체적으로 감소하면서 금일 시세 오름세에 거래되었음. <BR><BR>금일 방울토마토 출하량은 춘천 26.9%, 예산 15.9%, 충주 11.5%로 춘천지역 물량이 계속해서 증가추세임. 전일에 비해선 춘천지역이 10%가량 감소한 반면 충주지역이 20%, 보령지역이 10% 가량 물량 증가세를 나타냈음. 금일 경락시세는 홍성,춘천,보령 등지에서 특품이 춘천,보령,예산 등지에서 상품 거래비중이 높았으며, 충주지역은 중하품 거래비중이 높았음. &nbsp;<BR><BR>◈ 나무과일류<BR>가격지수 : 110.04p 주말대비 +4.13p<BR>동 &nbsp; &nbsp;향 : 나무과일류는 360톤 반입되어 주초로 2일 물량이 반입되었던 전일(584톤)에 비해 38% 가량 감소하였음. 유통업체, 식자재납품 등 수요가 많았던 전일에 비해 구매력이 떨어지지만 맑은 날씨와 복날을 며칠 앞두고 수박을 중심으로 과일 거래가 비교적 활발하였음. <BR><BR>사과는 저장 후지의 출하가 거의 마무리되면서 반입량이 미미한 수준이며, 햇사과 아오리가 점차 출하량이 증가하고 있음. 현재는 반입량이 많지 않아 주로 10kg상자에 출하되고 있으나, 반입량이 늘어나면서 15kg 상자를 위주로 거래가 형성될 것으로 보임. 봄철 저온으로 결실이 늦춰져 과의 크기가 작어 특*상품과의 비율이 예년보다 낮은 편이며, 이로 인해 시세도 특*상품은 평년에 비해 낮고 중*하품은 비슷한 수준에서 거래됨.<BR><BR>배는 금일 반입량이 급감하여 전일보다 59% 가량 감소하였으며, 산지 저장량이 적은데다 품질이 우수한 물량의 반입이 적어 특*상품 시세는 내림세를 형성한 반면, 출하량 감소로 중*하품은 강보합세에 거래됨.<BR><BR>복숭아는 유모계 사자와 월봉의 출하가 급격히 줄면서 창방을 위주로 거래되고 서서히 유명, 호기도 등 중생종의 출하가 늘어가고 있음. 시세는 창방이 소폭 상승하였으나 월봉과 사자는 약보합세에 거래되었고, 무모계 선프레는 맑은 날씨로 소비가 회복되면서 강한 반등세를 형성하였고, 일부지역에서 천홍도 소량 출하되었음.<BR><BR>감귤은 전일보다 29% 가량 감소하였으나 최근 하우스 물량이 점차 늘어나면서 일 반입량이 10톤을 넘어섰음.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그동안 반입이 적었던 10kg상자의 출하비중이 늘어나고 상대적으로 3kg상자는 감소하는 추세임. 시세는 품질이 좋은 물량은 평년보다 높은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나 중*하품은 낮은 수준에서 형성되고 있음. <BR><BR>포도는 금일 40톤이 반입되어 전일보다 19% 가량 감소하였음. 최근 장마 영향을 많이 받았던 중부권 거봉 주산지는 비 피해로 열과, 무름과 등 상품성이 떨어지는 물량이 증가하여 약보합세를 형성한 반면, 거래를 주도하는 켐벨얼리와 델라웨어는 맑은 날씨와 공급감소로 강보합세를 형성하였음. 품종별 출하비중은 켐벨얼리가 76%, 거봉이 19%, 델라웨어 3% 순으로 반입되고 있음.<BR><BR>자두는 전일보다 33% 감소한 81톤이 반입되었으며, 의성 지역을 중심으로 출하되는 대석조생의 반입량이 급격히 줄어 16.6%로 점유율이 줄어든 반면, 김천 지역을 중심으로 후무사의 반입이 크게 늘어나면서 53% 정도를 점유하고 시세도 후무자를 위주로 형성되고 있음. 금일 거래는 후무사와 홍자두가 강보합세를 형성한 반면, 대석조생은 약보합세에 거래됨.<BR><BR><BR></P><P><BR>&nbsp;</P><P align=right>- 2005. 7. 12.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P><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1329

『고랭지배추』주산지 출하 속보

2,132
1328

2005년 8월과채월보

2,105
1327

2005년 8월과채월보

1,938
1326

2005년 8월 과일월보

2,125
1325

6월 가축통계조사 결과 발표첨부파일 있음

2,145
1324

2005.7.12(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2,188
1323

집중호우 대비 농작물관리요령 발표

2,041
1322

2005.7.11(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2,479
1321

무청·배추잎 삭혀 버섯 키운다

2,263
1320

주간예보(07월 11일 ~ 07월 15일)

1,957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