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2005년 8월 과일월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07-12 조회수 2126
<TABLE width=600 border=0><TBODY><TR><TD width=1101><P><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B>■ 올해 과일 생산량 4% 감소할 듯</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올해 과일 생산량은 성목면적 감소와 사과, 배의 저온 및 서리피해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보다 4% 감소할 전망. 7~8월에 출하될 포도는 품질이 좋으나 공급량이 증가하여 지난해보다 가격이 다소 낮고, 하우스 온주감귤은 품질향상과 공급량 감소로 가격이 다소 높아질 전망. </FONT></SPAN></P><P><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B>■ 사과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 감소한 35만톤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사과 성목단수는 지난해보다 증가하지만 성목면적의 감소로 올해 사과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 정도 줄어든 35만톤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 7월 중순 이후부터 출하 가능한 조생종 사과의 품질은 대체로 지난해와 평년보다 좋을 것으로 예상.</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B>■ 배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2% 감소한 40만톤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배 생육상황은 대체로 좋지만 호남 지역, 충청과 경북 일부지역의 저온 및 서리 피해로 성목단수는 지난해보다 감소할 것으로 예상. 성목면적도 줄어들어 올해 배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2% 정도 줄어든 40만톤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 </FONT></SPAN></P><P><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B>■ 노지온주감귤 생산량은 49~52만톤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노지온주감귤 성목면적이 지난해보다 3% 감소하고 성목단수도 약간 감소하여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2~8% 감소한 49~52만톤 수준이 될 전망. 7월 하우스온주 공급량은 지난해 동기보다 11%, 8월에는 4%, 9월 이후에도 2% 감소할 전망임.</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B>■ 단감 생산량은 20~22만톤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단감 성목면적이 지난해보다 6% 감소하지만 성목단수가 9~21%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어 올해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3~14% 증가한 20~22만톤 수준이 될 전망. 단감의 10a당 열매 수는 지난해 동기보다 17% 증가한 것으로 조사됨.</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 </FONT></SPAN></P><P><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B>■ 포도 7~8월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6% 증가할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노지포도 생육상황은 지난해보다 좋은 편임. 포도 성목면적은 7% 감소하나 단수가 3% 증가하여 포도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5% 감소한 35만톤 수준 전망. 7월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9%, 8월에는 6% 증가할 전망. 7~8월 출하될 포도 품질은 지난해보다 좋을 듯. </FONT></SPAN></P><P><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B>■ 복숭아&nbsp; 7~8월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1% 증가할 전망</B></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FONT face=굴림><B> </B></FONT></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저온 및 서리피해를 입은 조생종 단수는 지난해보다 2% 감소한 반면, 중</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7px"><FONT face=굴림>·</FONT></SPAN><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21px"><FONT face=굴림>만생종은 1% 정도 증가하여 복숭아 단수는 지난해와 비슷할 전망. 복숭아 생산량은 지난해와 비슷한 20만톤 수준 전망. 7월 출하량은 지난해와 비슷하고, 8월 출하량은 1% 증가할 전망. </FONT></SPAN></P></TD></TR></TBODY></TABLE><P><!--내용 끝 ----------------------------------------------><BR></P><P align=right>&nbsp;-2005. 7. 12. 농업관측정보 - </P>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1329

『고랭지배추』주산지 출하 속보

2,132
1328

2005년 8월과채월보

2,105
1327

2005년 8월과채월보

1,939
1326

2005년 8월 과일월보

2,126
1325

6월 가축통계조사 결과 발표첨부파일 있음

2,145
1324

2005.7.12(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2,188
1323

집중호우 대비 농작물관리요령 발표

2,041
1322

2005.7.11(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2,479
1321

무청·배추잎 삭혀 버섯 키운다

2,263
1320

주간예보(07월 11일 ~ 07월 15일)

1,958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