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2005.7.13(수)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07-13 조회수 2417
<P>1. 농산물 <BR><BR>가격지수 : 116.87 전일대비 -6.32 <BR>동 향 :장마가 소강상태를 보이며 우천으로 인한 농산물의 추가 피해는 다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지만, 반입량 증가와 고온다습한 날씨로 판매가 부진하여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인 양상추를 중심으로 한 서양채소류와 오이와 호박 등 열매채소류의 하락폭이 확대되면서 채소류 전체의 가격지수를 하락시킨 원인이 되었음. 고추류도 주중 매기부진으로 풋고추를 제외한 대부분이 내림세에 거래되었고, 잎채소류는 품질이 하락하여 청상추가 약세를 보인 반면, 적포기는 출하량 감소로 강보합세에 거래되었음. 복날을 앞두고 부재료로 이용도가 높은 깻잎이 당분간 오름세를 탈 것으로 전망됨. <BR><BR>◈ 고구마 감자류 <BR>가격지수 : 76.17 전일대비 3.92 <BR>동 향 : 감자는 당진, 홍천, 춘천, 서산, 홍성 등 지역에서 주로 출하되었으며 장마 영향으로 산지 작업 부진하여 금일 반입량은 전일에 비해서는 증가했으나 정상 반입량에는 크게 못미쳐 전일에 이어 오름세 거래되었음. 금주들어 반입량이 적어 지속적인 오름세 형성함.<BR><BR>◈ 잎채소류 <BR>가격지수 : 141.37 전일대비 -5.82 <BR>동 향 : 배추는 금일 반입량은 603톤으로 전일대비 7% 증가하였슴. 봄배추(5톤 트럭 기준) 출하지역은 정선 40%, 평창 35%, 인제 10%, 기타 15%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3%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3%상승세인 284만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정선군 130~372만원, 강원 평창군130~357만원, 강원 인제군 115~257만원이었슴. 1.전체동향 - 금일은 산지에 비가 그쳐서 작업조건이 호전되어 전일보다 물량이 소폭 증가하였고, 시세는 강보합세를 형성하였슴. 2.산지동향 - 출하지역은 평창, 정선, 임계, 태백 등 고지대로 산지가 확대되고 있으며, 인제에서 출하가 된 물건은 대부분 김치공장 등으로 납품이 이루어지고 있음. 3.소비지동향 - 금일 반입량 중 저가품은 대부분 김치공장과 외부시장으로 반출되어 많은 양이 빠져나갔으며, 시장내에서의 실질적인 판매 물량은 전일보다 감소하여 거래는 비교적 활발한 편임<BR><BR>- 양배추 : 양배추는 금일 반입량은 300톤으로 전일대비 30%증가함. 금일 총출하물량중 출하지역별 반입비율은 서산 48%, 평창 17%, 청송 14%, 기타 35%였고, 전체 평균가격은 상품기준 전일대비 10%하락,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3%상승한 3,200원이었슴. 출하지역별로는 충남 서산시 650~3700원, 강원 평창군 1150~2700원, 경북 청송군 1650~4000원이었슴. 1.전체 동향 - 금일 반입량은 전일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반입량 증가로 전체적인 시세는 하락세에 거래되었으며, 특*상품은 약보합세, 중*하급품은 하락세에 거래되었슴. 2.산지 동향 - 서산산 물량은 반입량이 전일과 비슷하였고, 강원지역에서 물량이 증가하였으며, 청송지역 물건의 질이 좋아 시세를 주도하고 있음. 3. 소비지 동향 - 산지에서 비작업으로 인해 대체로 상품성이 좋지 않아 상*하품 가격 편차는 큰 폭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하품은 거래가 부진한 상황임<BR><BR>상추는 금일 반입량이 40톤으로 전일 대비 26% 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 주초 우천에도 불구하고 예상외로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큰폭으로 하락하였던 상추는 금일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소폭 상승세로 거래되었음. 적상추와 적포기는 물량이 감소하면서 소폭 상승세를 보였으나 전일 14톤이 반입되었던 청상추는 금일은 12톤이 반입되었지만, 품질하락과&nbsp;고가격에 대한 부담감으로 지방시장의 매기가 주춤하면서 전일에 이어 하락세로 거래되었음. 그동안 물량 감소로 인해 선취매 현상이 나타나면서 물량 증감에 별 영향없이 2주이상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나 고가격에 따른 부담감이 작용하면서 시세 상승폭은 둔화될것으로 예상됨. 근래 강원도에서 출하량이 소폭 증가하고 있으나 여전히 경기 지역에서 전체 반입량의 85%이상이 반입되고 있고 서울 송파, 강동지역에서도 출하되고 있으나,&nbsp; 경매시세가 고가로 형성되면서 직거래 물량이나 타시장 물량이 반입된것으로 보임. <BR>현재의 상승세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많아보이나, 시세상승이 소비둔화로 이어지는 현상이 나타날수도 있어 시세상승폭은 크지 않을것으로 예상됨.<BR></P><P>- 시금치 : 반입량은 37톤으로 전일대비 10%가량 감소하였고, 물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고가격에 대한 부담감과 2주가량 이어온 상승세에 대한 부담감으로 시세는 하락세를 보였음. 지방시장 및 외부시장의 주문도 가격부담으로 인해 감소하고 있고, 주중으로 접어들면서 급식업체의 주문도 약화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시세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주말까지는 현재의 하락세를 유지할것으로 보임.<BR></P><P>- 미나리 : 반입량은 58톤으로 전일대비 3%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 장마로 인한 작업량 감소와 지방시장과 외부시장의 매기가 강하게 형성되면서 꾸준하게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주로 경기도 지역에서 반입이 이루어지고 있음. 우천으로 인해 상품성이 악화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물량 감소에 대한 부담감과 지방시장의 주문등으로 인해 선취매가 형성되면서 시세의 탄력이 이어지고 있음.<BR><BR>◈ 열매채소류 <BR>가격지수 : 101.92 전일대비 -33.66 <BR>동 향 : 오이는 전체적으로 430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16%증가하였고, *백다다기 100개기준 출하지역은 춘천 19%, 연천 13%, 서산 12%, 기타 56%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12%하락,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20%하락한 19,00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춘천시 1000~22000원, 경기 연천군 500~8000원, 충남 서산시 2000~24000원이었슴. *취청 20kg상자 출하지역은 화천 32%, 춘천 21%, 제천 13%, 기타 35%였고, 상품 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18%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27% 상승한 32,50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화천군 2000~19000원, 강원 춘천시2000~32000원, 충북 제천시 3000~12000원이었슴<BR><BR>- 호박 : 호박은 전체적으로 281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1% 감소하였슴. *애호박 20개기준 출하지역은 화천 48%, 춘천 28%, 평택 6%, 기타 17%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7%하락,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3%하락한 7,00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화천군 2000~11500원, 강원 춘천시1000~12000원, 경기 평택시 1500~5500원이었슴. *츄키니 10kg상자 출하지역은 홍천 60%, 횡성 11%, 화천 7%, 기타 22%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2%하락, 표준가격(5개년평균)대비 22%상승한 10,00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홍천군 1000~19000원, 강원 횡성군 500~32000원, 강원 화천군 2000~12000원이었슴<BR><BR>◈ 뿌리채소류 <BR>가격지수 : 116.49 전일대비 12.6 <BR>동 향 : 무는 금일 반입량은 368톤으로 전일 대비 4%감소하였슴. *봄무(5ton트럭) 출하지역은 태안 19%, 부안 14%, 인제 12%, 기타 56%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12%상승, 표준가격(5개년평균)대비 15%상승한 362만5천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충남 태안군 216~429만원, 전북 부안군220~468만원, 강원 인제군 263~373만원이었슴. 1.전체동향 - 금일은 물량이 전일보다 소폭 감소하였으며, 시장내 전체적인 재고량 감소로 인해 금일 중도매인 구매가 원활하면서, 시세는 상승세에 거래되었슴. 2. 산지동향 - 출하량은 전일보다 감소하였으며, 장마로 인해 산지에 잦은 비로 상품성은 다소 하락하고 있는 실정임. 3. 소비지 동향 - 시장내 전체적인 반입량이 적어 구매는 비교적 원활한 편이나, 비작업으로 인해 상품성이 저하된 물량들은 소비가 부진한 상황임<BR><BR>◈ 양념 채소류 <BR>가격지수 : 127.31 전일대비 -14.5 <BR>동 향 : 양파는 619톤으로 전일대비 24%증가하였으며 약보합세 거래되었음. 주요 출하지역은 무안, 함평, 함안, 김천 등 지역이며 장마와 가격하락으로 인해 출하량은 적은 편임. 금주들어 작업량이 감소하면서 주초에는 지난주말대비 오름세를 나타냈으나 주중으로 가면서 약보합세를 형성하고 있음. 대파는 184톤으로 금주들어 가장 많은 물량이 반입되었으며 상품기준 7%하락세를 나타냄. <BR><BR>◈ 서양 채소류 <BR>가격지수 : 133.79 전일대비 -47.25 <BR>동 향 : 피망은 55톤이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9%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 물량이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주중 소비둔화 및 재고 증가로 시세는 소폭 하락하여 거래되었음. 양상추는 최근 강세를 보이면서 반입량 52톤으로 전일대비 큰폭으로 증가하면서 시세는 25%가량 하락한 15,000원에 거래되었음, 기타 서양채소류중 반입량이 감소한 브로코리와 칼리플라워만이 강보합세를 보였고, 나머지 상품들은 주초 상승으로 인해 반입량이 큰폭으로 증가하면서 대부분 하락세를 보였음. 특히 비타민은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큰폭으로 전일시세의 절반까지 하락하는 현상을 보였고 케일과 파세리도 큰폭으로 하라하여 거래되었음<BR><BR><BR>◈ 버섯류 <BR>가격지수 : 82.48 전일대비 1.48 <BR>동 향 : <BR><BR>2. 수산물 </P><P>가격지수 : 113.70로 전일대비 -0.64 <BR>동 향 : 수산물은 조개류 반입량 증가에 따른 하락세 주도로 약보합세 거래. 생선류는 고등어, 갈치, 삼치, 수입생태가 반입량이 줄면서 재고가 부족해 오름세로 거래. 조개류는 바지락, 홍합, 깐바지락이 물량이 증가하면서 주중 판매부진에 따른 재고누적으로 큰 폭의 하락세 형성. 연체류는 물오징어가 동해안 조업부진에 따른 반입량 감소로 상승세를 보였고 수입낙지는 주초부터 계속 물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면서 재고가 소진된 관계로 시세 상승.&nbsp; </P><P>&nbsp;</P><P>◈ 생선류 <BR>가격지수 : 98.83로 전일대비 +3.07 <BR>동 향 : 고등어는 부산산 생물 반입량이 전일에 이어 계속 감소하면서 재고부족에 따른 강세를 보였으며 냉동품은 판매부진으로 보합세 거래. 수입생태는 일본산 물량이 적게 반입되면서 주중 판매호조를 보여 중형품 이상 오름세 거래. 갈치는 제주산 물량이 줄었고 금일 체장이 큰 대형품 반입으로 판매호조를 보여 상승세 거래. 꽁치는 반입량이 줄면서 주중 매수세 증가로 시세가 상승하였고 삼치는 여수산이 체장이 커지고 선도가 좋은데다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면서 상승세 거래. 임연수어는 전일에 비해 반입량이 크게 증가했으나 속초산이 선도가 좋고 체장이 커 판매가 활발하면서 시세 상승. 가자미는 대천산이 물량이 늘었고 체장이 작아지면서 소폭 하락세로 거래되었고 병어는 선도 좋은 여수산 반입으로 대형품 중심으로 오름세를 보였으나 체장 작은 목포산은 판매부진이 계속되면서 약보합세 거래. <BR><BR>◈ 조개류 <BR>가격지수 : 98.49로 전일대비 -29.86<BR>동 향 : 조개류는 주중 매수세 부진과 입하량 증가로 큰 폭의 하락세에 거래. 충무산 굴은 반입 물량이 비슷하나 자연산 고흥굴 시세 하락 영향으로 약세에 거래. 국내산 바지락은 반입량이 전일에 비해 큰 폭으로 늘어나고 선도가 떨어지는 하품위주로 거래되면서 급락함. 고흥, 벌교산 새꼬막은 입하량이 감소하였으나 선도가 떨어지는 하품 반입량이 늘어나 하품은 약세에 거래. 여수, 통영산 홍합은 장마 전선이 소강상태를 보이면서 채취량이 늘어나 약세를 형성함. 깐홍합, 깐바지락은 주중 매수세 부진과 거래물량 증가로 하락세에 거래됨.&nbsp; </P><P>&nbsp;</P><P>◈ 연체류 <BR>가격지수 : 140.14로 전일대비 +9.70<BR>동 향 : 연체류는 거래물량 감소로 전일에 이어 금일에도 강세장을 형성. 중국산 수입낙지는 반입량이 전일에 비해 2톤가량 증가하였으나 그동안 거래물량이 워낙 미미하여 주중임에도 불구하고 요식업체 매수세가 호조를 보이며 오름세에 거래. 삼척, 거진, 속초산 물어징어는 조업부진으로 이틀연속 반입량이 감소하여 금일에는 오름세에 거래됨. 문어는 체장이 작고 선도가 떨어지는 물량 거래가 증가하면서 약보합세를 보임. 마산, 진동산 미더덕은 입하량이 증가하고 상품 선도가 다소 떨어여 약보합세를 형성함. 오만둥이는 주중 외식업체 매수세가 부진하여 내림세에 거래. </P><P>&nbsp;</P><P>◆ 나무과일류<BR>가격지수 : 114.87 &nbsp;+4.83P<BR>동 &nbsp; 향 : 채소과일류는 555톤 반입되어 전일 360톤 대비 54% 출하량 증가함. 품목별로는 복숭아와 자두 사과의 출하량 증가가 두드러졌고, 수입과일류도 반입량이 증가하였음. 경락시세는 사과와 포도, 감귤이 오름세에 거래되었고, 출하량 증가폭이 컸던 복숭아와 자두는 내림세에 거래됨. 복숭아 출하량이 가장 많은 선프레는 장마로 인해 당도가 떨어지고 있어 점차 시세 하락이 예상되며, 포도는 가온물량이 감소하면서 보조가온 물량의 출하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복숭아는 사자조생, 월봉 등 출하 막바지 창방 등은 출하본격화 될 전망으로 점차 출하지역이 확대되면서 반입량도 꾸준히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BR><BR>◆ 채소과일류<BR>가격지수 : 120.37 &nbsp;+3.58P<BR>동 &nbsp; 향 : 채소과일류는 937톤 반입되어 전일 580톤 대비 61% 출하량 증가함. 품목별로는 수박과 참외 토마토 등 전일 출하량이 적었던 품목의 반입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전체반입량 증가하였음. 경락시세는 수박과 참외가 출하량 증가하면서 다소 내림세에 거래되었으나, 방울토마토와 멜론이 오름세에 거래되면서 전체지수 소폭 상승하였음. <BR><BR></P><P align=right>- 2005. 7. 13.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P><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1339

주간예보(7월18일 ~7월22일)

1,860
1338

2005.7.15(금)부류별 지수 및 가격 동향

2,209
1337

세계 희귀 수박 특별 전시회 개최

2,142
1336

지역농업클러스터 종합지원한다.

2,125
1335

제주산과일 다품목,차별화로 틈새시장 공략 승부수

2,215
1334

2005.7.14(화)부류별 지수 및 가격 동향 1차

2,176
1333

일본, 프랑스요리용 새끼돼지고기 출하

2,364
1332

‘외국인 농업연수제도’ 어디까지 왔나

2,298
1331

2005.7.13(수)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2,417
1330

태국서 조류독감 새로 발견

2,045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